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 minimum viable population of a seed bank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pine forest using a seed bank. It examined the germinated soil seed bank from August 2010 to November 2011.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rea and the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were the highest at 0.686.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four variables including the number of woody species, the number of woody individuals, the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and the number of herbaceous individuals using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to the minimum viable population in studied plots showed that all four variables were significant with area at the level of 0.05, and R square was 0.583. One function was selected between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from th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function square was 0.824. Both canonical function and squared canonical correlation showed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01. The result of study recommended the area size of the minimum viable population in pine forest applied by seed bank to be larger than $64m^2$, the number of species to be over 21, and the number of population to be over 120. It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herbaceous species determined the cluster size of the seed ban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erbaceous species that appear in the seed bank.
본 연구는 매토종자를 활용한 소나무림 생태복원 시 적정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개체군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2010년 8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매토종자 발아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면적과 초본 종수가 0.6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도서생물지리학의 이론에 따라 최소생존가능개체군에 적용하여 면적과 유의성이 있는 네 변수에 대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목본 종수, 목본 개체수, 초본 종수 및 초본 개체수 모두 5% 이내에서 유의하며, 회귀함수의 설명력은 58.3%였다. 종수와 개체수간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한 개의 함수가 유의하였으며 함수의 설명력은 82.4%이고, 유의수준 1% 이내에서 정준함수의 정준근 모두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결과, 소나무림 매토종자 최소생존가능 개체군의 크기는 면적 $64m^2$이상, 종수 21종 이상, 개체수 120개체 이상을 권장하며 초본 종수의 영향에 따라 매토종자 군집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토종자를 활용한 소나무림 생태복원의 적용 시 초본 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