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in Changseongameirok

<창선감의록>의 적장자 콤플렉스

  • 조광국 (아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30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triarchal ideology became central to the family and the clan, and once again became acutely felt with "the familism of clan rules that centered around a legitimate and eldest son." The establishment of the family-clan system, though somewhat complex, was largely aimed at the family line of "a paternalist-a legitimate and eldest son." The trend wa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family, but rather, was a historical and social trend. Changseonggameirok showed how to solve the family crisis by setting up a problem for the next generation's patriarch.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issue of Hwachun's complex as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First, it suggests that Hwachun's complex is as universal as the Cain complex, also known as the eldest son complex, and that Hwachun's complex is a special instance of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in Changseonggameirok. Next this paper studies the aspects of Hwachun's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combined with Mrs. Sim's complex, as well as her daughter-in-law's complex, and eventually tracks the development of the family-clan complex. As a result, we've come to a new conclusion that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was found in Changseonggameirok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literary history.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fact that when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was transferred to Hwajin, it became a family complex that Hwajin had to contend with; this paper tracks the process wherein Hwajin's filial piety solved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As a result, we realized that Hwajin's filial duty and brotherly love went beyond his feelings for Mrs. Sim and Hwachun, and supported the substantiation for "the familism of a clan that is based on rules of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in the course of public opinion. However the familism of these rules was not embodied in the absolute; in the royal family, for example, it was rather flexibly implemented when the characters admitted to breaking the law. In addition, this paper provides the room for a critical reading of Changseonggameirok, reflecting back on the underlying guilt and psychological pain of the characters who are affected by the particular rules, and concluding that guilt and suffering are fundamentally insoluble. This is because the two ideas,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and "the familism of a clan rules centered on a legitimate and eldest son"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창선감의록>은 종법주의가 확립되는 흐름 속에서 차세대 가부장인 적장자에 의해 발생하는 가문의 위기를 정면에 내세워 그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선보였다. 본고에서는 그 문제의 발생과 해소 과정을 적장자 콤플렉스 차원에서 해명하고자 했다. 화춘의 적장자 콤플렉스는 카인 콤플렉스, 특히 카인의 장남 콤플렉스와 같은 양상을 보이는바 보편성을 지니며, 한편으로 시대적 작품적으로 적장자 콤플렉스라는 특수성을 띤다. 화춘의 적장자 콤플렉스는 화춘 개인을 넘어서 심부인의 종부 콤플렉스 그리고 조월향의 총부 콤플렉스와 결합하면서 확대 심화되어 마침내 가문 차원의 콤플렉스로 자리를 잡는 일련의 과정을 밟는다. 이에 <창선감의록>은 우리 문학사에서 적장자 콤플렉스를 노련하게 다룬 최초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렇게 확대 심화된 적장자 콤플렉스는 차남 화진에게 전가되어 그가 짊어지고 해소해야 할 것이 되는데, 화진은 지극한 효제로 가문 차원에서 자리를 잡은 적장자 콤플렉스를 해소하기에 이른다. 화진의 효제는 심부인 화춘 모자에 대한 효제를 넘어서서 가문에 대한 효제로 수렴된다. 그 가문에 대한 효제라는 것이 일정 부분 종법질서에 흠결이 없는 가문에 대한 효제의 성향을 띠는바, 종법주의 실현의 요체로 작동한다. 그와 관련하여 효제는 그 자체를 위하는 무조건성과 그 자체에 복이 내재되어 있는 필연적 보상성을 띰으로써 종법주의 이념에 당위성과 필연성을 부여한다. 그리하여 화진의 효제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화욱(가부장)-화춘(적장자)-화천린(입후자)'의 종법주의를 실현하는 요체로 구현된다. 그런데 종법주의가 어떤 상황을 막론하고 절대적인 것으로 구현되는 것은 아니고, 왕가의 경우에는 종법에서 벗어나는 것을 인정함으로써 다소 유연하게 구현되는 양상을 띤다. 이렇듯 적장자 콤플렉스의 해소를 통해서 종법주의가 실현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그런데 작품 곳곳에 근원적인 죄의식과 심리적 고통이 매우 강하게 배어난다. 그런 죄의식의 고통은 적장자 콤플렉스 내지는 적장자 문제와 맞닿아 있다. 이는 종법주의가 반드시 실현해야 할 이념으로 제시될수록 그에 상응하여 언제든지 적장자 콤플렉스가 분출될 수 있음을 방증한다. 적장자 콤플렉스가 표리관계를 이루기 때문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