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spects of Type-Combination of 'Otter Legend' in 『the Joseon tale』 and recognition of the Qing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가린-미하일로프스키의 『조선설화』에 나타난 '수달 전설'의 결합 양상과 청에 대한 인식

  • 하은하 (서울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8.01.20
  • Accepted : 2018.02.27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of "Nikolai Garin - Mikhailovsky's the "Joseon tale". talks about the origin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In this paper, we revealed the features of the form of "Otter Legend". And analyzed the confrontation between Nurhachi's family and Yi Seong-gye's family shown in the story. The result is as follows. is complex tale. The start of is 'the typr of Yaraeja'. Next is the story of Myoung-Dang. Myoung-Dang is deep in the water. also has anecdotes of Jeong, Chung-shin. rearranged at least three stories or more. transformed each type of stories, communing the different patterns of stories with different logic. The basic logic of the transformation was to maximiz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NuruhachI and Yi Seong-gye clans, the origins of Manchuria and the Chosun Dynasty. As a result, the sacredness of Nurhachi's Family, the origin of the Qing Dynasty, was expanded. On the other hand, Yi Seong-gye s Family was less extraordinary than Nurhachi's Family. Also, the ability of the person is also inferior. This is not the yearning for the Qing Dynasty. This is because the Qing Dynasty and the Joseon have the same pedigree. shows that the Qing Dynasty's experiences should be shared since the Qing Dynasty was born of another clan of Joseon. This is a new perception of Qing Dynasty. This is similar to the interpretation that dragged the Qing Dynasty's history into the Joseon's ethnographic historical point of view.

이 논문은 19세기 말 가린-미하일로프스키에 의해 채록된 "조선설화" 속 수달 전설의 특징과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선설화"에 수록된 64편의 설화들은 1898년 두만강과 압록강 유역에서 채록된 것으로 이른 시기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 전승되던 설화의 일면을 보여주지만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우리에게 소개되었다. 이후 선행 연구를 통해 "조선설화"의 대체적인 성격과 연행 과정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개별 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아직 미흡하다. 이에 본고에서 조선과 만주의 기원을 다루는 설화 <수달에 관한 전설>을 중심으로 그 이야기의 형식적 특징을 살폈고, 나아가 이야기 속에 형상화된 누루하치 가문과 이성계 가문의 대결 양상에 개입하고 있는 서술시각의 의미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달에 관한 전설>의 형식적인 특징은 '야래자 유형'과 <물 속 미륵 귀에 건 아버지 유골>, 눈 빛 강한 이인, 정충신 일화처럼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설화 유형이나 화소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혼합형 설화로 만들어냈음을 밝혔다. 각각의 서사 논리를 지닌 기존의 설화들을 재배치하면서 <수달에 관한 전설>에는 여러 변형들이 생겨났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변형을 가로지르는 일관된 논리는 누루하치 가문과 이성계 가문 간의 비교와 대결을 뚜렷하게 만들기 위해 개별 설화를 활용하려 했다는 점이다. 그 결과 청나라의 기원이 되는 누루하치 가문의 신성성은 확대되고 구성원들의 인품도 높여졌다. 반면 조선의 기원이 되는 이성계 가문은 누루하치 가문에 비교해서 비범성이 떨어지고 능력도 떨어졌다. 그런데 이것은 청나라에 대한 선망에서 비롯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청나라와 조선의 혈통은 관련이 있다는 생각에 기반하고 있었다. 19세기 말 한반도 북부에서 채록된 설화에 담긴 인식은 청나라에 대한 재조명인 바, 청은 조선의 또 다른 혈통이기 때문에 청나라가 천하를 통일했던 경험을 조선 또한 공유해야 한다는 것임을 확인했다. 그것은 후일 금나라의 역사를 민족사의 관점에서 포섭하고 만주와 조선을 단군대황조의 후예이며 한 겨레로 보는 대동(大東)사관과 닮아 있는 것이기도 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여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