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의 학습과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와 일터활동 분석

An Analysis of School and Work Activity Systems Affecting the Learning and Transfer of Graduate School Student-Workers

  • 투고 : 2018.02.27
  • 심사 : 2018.04.27
  • 발행 : 2018.04.30

초록

최근 계속교육을 통한 직업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직장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과 학습을 병행하며 나타나는 학습과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와 일터활동요소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학습과 전이를 촉진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토대로 학교와 일터에서의 활동체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대학원에 재학하며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직장인의 학습과 발달적 전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원에 재학하는 직장인 13명의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했다. 대학원에 재학하면서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직장인 총 288명이 응답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활동요소에서 경쟁력 강화, 전공에서의 역할, 교수와의 상호작용 변수와 일터활동요소에서 객체인 관계향상, 자아실현 변수는 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학교활동요소에서 수업참여의 적극성, 전공에서의 역할, 교수와의 상호작용 변수와 일터활동요소에서 자아실현, 직장에서의 역할, 상사와의 상호작용, 업무시스템의 체계화는 발달적 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직장인의 학습과 전이를 촉진시키기 위한 학교와 일터에서의 노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based 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graduate school student-workers' learning and developmental transfer in school and work. For this purpose, a question is raised. how do components of activities in school and workplace impact on learning and developmental transfer? For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is study analyzed 288 graduate school student-workers. As a results, First, the components which have an effect on learning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school activity system, the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from object, the role of academic major from division of labor, and the interaction with professors from community are significant variables. Second, in case of developmental transfer, the activeness of class participation from tool, the role of academic major from division of labor, and the interaction with professors from community ar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school activity system and the self realization from object, the role in the workplace from division of labor, the interaction with supervisors from community, and the systemization of work from rule are significant variables of workplace activity system.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