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career flexibility on employment status, career growth, and job satisfaction longitudinally. Demographic information(gender, age, parent's income level, and students' perceived financial states of family), vocational identity, employment status, career growth, and job satisfaction at 1, 2, and 3 years after the first data collection with a sample of 259(time 1), 229(time 2), 182(time 3) were collected respectively. Multivariat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in-breadth career exploration positively predicted to employment status at time 1, 2, 3 consistently and career flexibility also positively predicted to employment status at time 2, 3. The longitudinal effect of career flexibility was found that the expectancy of career flexibility had shown to have stronger effect. In addition, career growth was influenced by in-depth career exploration at time 2, 3. On the other hand, no variables were related to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provided the new insights for career education and limitation and future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졸업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진로유연성의 종단적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진로유연성을 중점으로 한 진로정체감 및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나이, 부모소득수준, 학생이 지각한 가정경제수준)과 3년 동안의 실제 취업여부, 경력성장,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553명의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첫 번째 측정시기로부터 1년 뒤 1차시에는 259명, 2년 뒤 2차시에는 229명, 3년 뒤 3차시에는 182명의 학생들이 조사에 참가하였다. 다변량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유연성은 2년 후, 3년 후의 취업여부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전반적 진로탐색은 3년 동안 지속적으로 취업여부를 정적으로 예측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진로유연성이 취업여부를 예측하는 정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유연성의 종단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심층적 진로탐색은 2년 후, 3년 후에 경력성장을 예측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을 예측하는 변인은 밝히지 못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의 진로 교육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고,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