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to Aging Anxiety of Middle and Old Aged in Korea

한국 중·노년의 노화불안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김일식 ((사)대한국학기공협회 부설연구소) ;
  • 김계령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학)
  • Received : 2018.01.28
  • Accepted : 2018.05.24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34 studies reported in Korea from February 2007 through March 2017 to systematically integrate factors of aging anxiety of the middle and old aged. The variables related to aging anxiety were divided into 6 groups of variable, and the effect sizes were computed for each variable of their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showed the middle effect size, and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variable group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or the 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followed by the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 the social variable, the physical variable, the familial variable and the demographic variable. Second, the largest effect size of the sub-variables show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ath anxiety. As described above, suggesting that these variables may have a strong influence on aging anxiety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aging anxiety becau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ath anxiety were shown as the largest effective variables related to aging anxiety.

본 연구의 목적은 중 노년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2007년 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34편의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화불안 관련 변인들을 6개의 변인군으로 나누고 각각 변인군에 대하여 하위변인별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였고, 변인군에 따른 효과크기는 부정심리적변인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긍정심리적변인군, 사회적변인군, 신체적변인군, 가족적변인군, 인구통계적변인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변인들 중에서는 심리적 안녕감, 죽음불안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노화불안과 관련된 변인들 중 심리적변인군에 속한 심리적 안녕감과 죽음불안의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이러한 변인들이 노화불안 중재에 영향력이 클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