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 a "duality" of the Corps-actant structure in Misaeng: with Jang Geurae as the central figure

『미생』에 나타난 신체 행위소 구조의 이중성에 관한 고찰 - 장그래를 중심으로

  • 송태미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불문학과)
  • Received : 2018.11.23
  • Accepted : 2018.12.1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re-read" the webtoon Misaeng, which was once an important issue in the field of public discourse on "labor". Our hypothesis was that the dual actactial structure of Misaeng's hero Jang Geurae gave a dual structure to the entire text, which leads to the discovery of text meaning that was not mentioned in the existing discourse. This is based on the concept of 'meta-story character', which Hiroki Azuma talked in his postmodern literary theory. To verify this hypothesis we analyzed the text by applying the Parisian semiotics, more specifically J. Fontanille's theory. Jang Geurae is observed to be a actant of dual structure divided into 'character' of the enunciated level and 'player' of the enunciation level. Considering this characteristic of the hero, Misaeng can be interpreted as a metafiction that shows the 'shifting' between the subject of the enunciated level and the subject of the enunciation level. On the level of 'character' Jang's existence mode turns out to be "Deficiency (actualized)", but on the level of 'player' Jang 's existence mode turns out to be "Inanity(potentiallized)." His somatic responses also show a duality, which is represented by Fontanille's corps-actant model, where on the level of 'character' the somatic actant of Jang consists of 'Moi-chair(ego-flesh)' and 'Soi-idem(self-idem)', and on the level of 'player' it consists of 'Moi-chair(ego-flesh)' and 'Soi-ipse(self-ipse)'. The former mainly acts as a 'role' and takes charge of exteroceptive perception, while the latter mainly acts as 'attitude' and takes charge of interoceptive perception. Because of this dissociative nature of actant, Jang's two 'self' draw the re-adjustment of values without serious conflict between the collective norms and the individual identity. This is in sharp contrast with other characters who struggle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environment and "self". It becomes customary to adopt norms that are suspected to ineffective, but if you raise questions, the normative system can be updated. On one axis of Misaeng there are characters who have lost themselves in customs. On the other axis, there is Jang who can not help dismantling the existing ineffective norms and updating the normative system. Jang's existence mode seems to be one of many possible modes generated by this era where people share no longer solid community values, His actantial structure also communicates with readers of these days who put themselves more in subject of enunciation level than of enunciated level.

본 논문은 한때 "노동"을 주제로 한 공론의 장에서 이슈가 되었던 웹툰 "미생"의 '다시 읽기'를 시도하였다. 주인공 장그래의 행위소 구조가 갖는 이중적 성격이 텍스트 전체에 이중적 구조를 부여하며 이는 기존 담론의 장에서 이야기되지 않았던 텍스트 의미를 발견토록 해준다는 것이 우리의 독서 가설이었다. 이는 아즈마 히로키가 그의 포스트모던 문학론에서 이야기한 '탈이야기적 캐릭터' 개념에 기초한 생각이다. 우리는 본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파리학파의 주축을 이루는 기호학자 퐁타뉴의 이론을 적용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장그래는 발화체 층위의 주체 '캐릭터'와 발화 층위의 주체 '플레이어'로 분열된 이원적 행위소 구조를 보인다. 인물의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면 본 작품은 발화체 주체와 발화 주체 간의 '연동/탈연동' 관계를 메타 픽션의 양식으로 보여주는 텍스트로 해석될 수 있다. 캐릭터 층위에서 장그래는 "결핍(현동화)"의 현존양식을 보이지만 플레이어 층위에서 장그래는 "무력감(가능화)"의 현존양식을 보인다. 그의 신체성 또한 이원적 성격을 보이는데 이를 신체-행위소 모델로 나타내면, 캐릭터 층위에서 장그래는 육적 자아와 동일성-자기가 결합된 행위소로, 플레이어 층위에서는 주로 내부수용적 지각을 담당하는 육적 자아와 자기성-자기가 결합된 행위소로 이해될 수 있다. 전자가 주로 '역할'로서 움직이며 외부수용적 지각을 담당한다면 후자는 주로 '태도'로서 움직이며 내부수용적 지각을 담당한다. 이 해리적 성격으로 인해 장그래의 두 '자기'는 환경이 요구하는 가치 체계와 개인의 독자성 사이에서 큰 갈등을 겪지 않고 가치의 재조정을 유도한다. 이는 환경과 '자기' 사이의 갈등을 겪으며 고뇌하는 다른 등장인물들과 뚜렷한 대비를 이룬다. 실효성이 의심되는 규범을 습관적으로 받아들이면 관례가 되지만 문제 제기를 하면 규범 체계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작품의 한 축에는 관례 속에 매몰되어 자기를 잃어버린 인물들이 있고 다른 한 축에는 기존 규범을 해체시키고 체계를 업데이트하는 방식 외에 달리 살 수 없는 장그래가 있다. 장그래는 가치 포화의 시대, 공동체적 가치 공유가 불가능한 이 시대에 개인이 가질 수 있는 여러 가능한 현존양식 가운데 하나를 보여주는 인물이며 이러한 행위소 구조는 또한 발화체 주체보다 발화 주체에 더욱 감정이입하는 오늘날의 독자와 소통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