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 양상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Soeburi-Song' in Ulsan

  • 투고 : 2018.06.29
  • 심사 : 2018.08.12
  • 발행 : 2018.08.31

초록

울산 쇠부리소리는 1981년 8월 달천철장의 마지막 불매대장인 고(故) 최재만(1987년 별세)의 구술과 소리를 바탕으로 1980년대에 재연된 소리이다. 본 고는 1981년 영상 등 총 13종의 자료를 바탕으로 쇠부리소리를 음악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전승 과정에서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 논문이다.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17년 쇠부리소리 자료를 살펴본 결과, 풍물패는 상쇠, 부쇠, 징2, 북4, 장구4, 태평소1로 구성되어 있고, 장단은 질굿, 자진모리, 다드래기, 덧배기, 자진덧배기의 5종을 친다. 가창곡은 3소박 4박자의 덧배기 자진덧배기 장단에 맞추어, 또는 무장단으로 부른다. 구성음은 대부분 Mi-La-do의 3음 또는 Mi-La-do-re의 4음으로, 음역은 1옥타브를 넘지 않는다. 종지음은 모두 La로 동일하다. 1981년 발굴 이후 오늘날까지의 쇠부리소리 연행을 살펴본 결과, 크게 4가지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악곡의 구성이 '긴-자진'으로 분화되고, <금줄소리>, <애기 어르는 소리>, <성냥간 불매소리>가 첨가되었다. 둘째 가창 방식은 1980년대 재연 이후 '1인 선창자+다인 후창자'를 기본으로, 1인 후창자를 별도로 지정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2013년 연행된 <자진불매소리>는 <성냥간 불매소리>의 토대가 되었다. 셋째 <긴-자진 불매소리>의 선율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박자구조는 모두 3소박 4박자이나, 속도가 느려지고, Mi-La-do의 3음을 골격으로 높은 re와 낮은 Sol이 첨삭되어 메나리토리의 특성이 명확히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풍물 악기는 꽹과리, 징, 장구, 북의 사물이 주로 쓰이며, 공연에 따라 소고, 태평소, 요령 등을 첨가하기도 한다. 장단은 자진모리, 다드래기, 덧배기, 자진덧배기 장단을 처음부터 연주했으며, 이후 질굿 장단이 추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최초 발굴 당시, <애기 어르는 소리>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불매소리>가 남성 노동요로 목적이 바뀌고 연희성이 강해지며 하나의 공연 예술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Ulsan Soeburi song was reenacted in the 1980s based on the testimony and songs of late Choi Jae man (1987 death), the last blacksmith of the iron production plant at Dalcheon dong, Ulsan in August 19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eburi song from the musical perspective based on 13 kinds of data including video in 1981, and confirm the changing patterns in the tradition process. The deriv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Soeburi Song data in 2017, the percussion instruments consist of kkwaenggwari 2 (leading small gong 1, follow small gong 1), jing 2 (large gong 2), buk 4 (drum 4), janggu 4 (double headed drum 4), taepyongso 1 (Korean shawm 1), and Jangdan (rhythm) consists of five such as Jilgut, Jajinmori, Dadeuraegi, Deotbaegi, Jajin Deotbaegi. The vocal songs are sung accompanied by the Deotbaegi Jajin Deotbaegi (beat) of quarter small triplet time, or without accompaniment. The scale is mostly Mi La do's third note or Mi La do re's fourth note, and the range does not exceed one octave. All the cadence tones are the same as La. From the results of observing Soeburi song performance until today after the excavation in 1981, it is found that there are four major change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music is differentiated into 'long Jajin (slow fast)', and , , and are added. Second, the singing method is based on 'single cantor + multi post singers' since 1980's reenactment, and a single post singer was also specified from time to time. In addition, , which was performed in 2013, became the foundation of . Third, a melodic change of was observed. All beat structures are quarter small triplet time, but the speed gets slow, Mi La do's three notes are skeletonized to be corrected with high re and low sol,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Menari tori (the mode appeared in the eastern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are to be clear. Lastly, the four percussion instruments such as kkwaenggwari, jing, janggu, and buk are frequently used, an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sogo (hand drum), taepyongso, yoryeong (bell) are also added. Jangdan played Jajinmori, Dadeuraegi, Deotbaegi and Jajin Deotbaegi from the beginning, and thereafter, the Jilgut Jangdan was added. Through these results as above, it is confirmed that at the time of the first excavation, a simple form of such as has been changed into a male labor song, the purpose of which has changed, and that the playability has become stronger and changed into a performing ar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