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세명대학교
Task of circling the pagoda of Waljeongsa(Woljeongsa Tabdori) is the maj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representativeness and historical meaning as a Buddhism culture, one of the Buddhism folk plays, which was firstly played after the liberation. Woljeongsa Tabdori holds significant designation importance in terms of Buddhism folklore heritage with Korean unique tradition and identity of Gangwon-do province. Temples are demonstrating Tabdori nationwide but Woljeongsa Tabdori is the unique case that systematically inherits the culture based on the designation of be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is why it is needed to focus on the cultural and internal value of Woljeongsa Tabdori. Tabdori is the integrated symbol of Buddhism respect and worship to the Buddha and pagoda. It is hard to presume the originality of Woljeongsa Tabdori: given the history of Woljeonsa temple, it lies into Goguryeo traditional play and Bokhui(Pagoda circling folk play) in Silla era. It fits into the courtesy of Circumambulating Stupa considering Moon in Goguryo mural, background of Odaesan Hwaeom thought/tripitaka and essence of Octagonal 9-story stone pagoda. At the first stage of Tabdori, Buddhist musical instruments such as Buddhism temple bell, singing bowl, cloud-shaped gong and wooden-fish. However, later, Samhyeon Yukgak has been added and then, Boyeom and Bakpaljeongjinga were singing: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it was a pure Buddhist ceremony but it has become to have traditional aspect and been spread to the public. The origin of Woljeongsa Tabdori is related to the explanation of Circumambulating Stupa that experiences the glory of the ending ceremony. When a temple has a rite, the Buddhists make an offering to the Buddha. At that time, Buddhist prayer, sermon and chant are followed. After the rite, the Buddhists are circling the pagoda with the monks while praying for Buddhist charity and making their own wishes. It prays not only going after death to Nirvana of the one but also national prosperity and the welfare of the people for peaceful reign. As the temple holds bigger rites, many Buddhists gather and the Tabdori was a success. The scene of circling the pagoda and making own wishes in line with the Buddhist sermon was solemn. The idea on changes and convergence of Woljeongsa Tabdori requires strategic inheritance to promote the transmission while maintaining the paragon and purpose of designating the cultural heritage and reviving its identity. Korean Tabdori was held in Buddha's birthday in April and the mid-autumn day. Tabdori is a memorial service type Buddhist ceremony that once the monk holds the Buddhist rosary, circles the pagoda and sings the great mind and charity of the Buddha, Buddhists follow the step, lighting the lantern, circling the pagoda and praying for the gentle and easy death. Transmission education of the successor, diversified approach of the expert's advice and discourse on the revival of the origin should be reinforced in phases.
월정사 탑돌이는 광복 이후 재현된 첫 번째 불교민속놀이로 불교문화로서의 대표성과 역사성을 지닌 주요 무형문화재이다. 월정사 탑돌이는 한국 고유의 전통성과 강원도의 정체성이 내재된 불교민속유산이라는 점에서 지정 가치가 크다. 전국 사찰에서 탑돌이가 시연되고 있지만 무형문화재 지정을 기반으로 체계적인 전승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는 월정사 탑돌이가 유일하다. 월정사 탑돌이의 문화재 내재적 가치에 주목해야 할 이유이다. 탑돌이는 부처님, 탑에 대한 예경방식의 총체적 표현물이다. 월정사 탑돌이의 원형은 추정하기 어려우나, 월정사의 역사성으로 보아 고구려 계통의 놀이와 신라 복회(福會)에 닿아 있다. 고구려벽화의 달, 오대산 화엄사상경 배경과 팔각구층탑의 본질의 측면에서 우요삼잡의 예법에 부합한다. 탑돌이 때 처음에는 범종, 고(鼓), 운판, 목어의 사법악기(四法樂器)만 쓰이다가 후에 삼현육각(三弦六角)이 합쳐지고, "보렴"과 "백팔정진가"을 부른 것을 보면 처음에는 순수한 불교의식이던 것이 차츰 민속화해서 민중 속에 전파된 것을 알 수 있다. 월정사 탑돌이의 전형은 회향의례의 환희심을 체험하는 우요삼잡의 풀이와 관련된다. 절에서 대재(大齎)가 있으면 신도들은 공양을 올린다. 이때에 염불, 범음(梵音), 범패(梵唄)가 따르며, 재가 끝나면 신도는 승려와 함께 불탑을 돌면서 부처님의 공덕을 빌고, 또 저마다의 기원을 빈다. 일신의 왕생극락은 물론 국태민안을 빌어 태평성대를 누리고자 하였다. 큰 재일수록 많은 신도들이 모이며 따라서 탑돌이도 성황을 이루었다. 법음(法音)에 맞춰 제각기 소원을 외면서 탑을 도는 모습은 엄숙하였다. 월정사 탑돌이의 변형과 융합에 대한 발상은 전형 곧 문화재 지정의 취지 유지와 정체성 차원을 살리되 전승의 공연화를 위한 계승적 전략이 필요하다. 한국탑돌이는 4월 초팔일과 중추절인 한가위 날에는 탑돌이가 있었다. 탑돌이의 공연성은 스님이 염주를 들고 탑을 돌면서 부처의 큰 뜻과 공덕을 노래하면 사찰 신도들이 그 뒤를 따라 등을 밝혀 들고 탑을 돌면서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회향형(回向型) 불교민속놀이에 있다. 공연성 활성화는 신행 보유자 전승교육, 전문가 자문의 다차원 접근, 원형 재현의 담론 등을 단계적으로 보강하여야 한다.
Supported by : 세명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