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학연구 ((The)Korea Educational Review )
- 제24권1호
- /
- Pages.199-225
- /
- 2018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종단분석: 성별 및 학업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gender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초록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패널 3-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학업 관련 특성과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도 확인하였다. 먼저 최소제곱법(OLS) 추정을 이용한 중학교 3학년 때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학생 간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주관적 학업성취 수준이 높고 수업에 잘 적응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학습시간이 많은 학생의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관적 학업성취 효과는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 변수들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 통계적 유의미성을 상실하였으며, 부모, 교사, 친구와의 관계는 모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고정효과(fixed effect) 추정을 통해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 삶의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주관적 학업성취와 수업적응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관계가 확인되었다. 한편 중학교 3학년때 크게 나타났던 여학생과 남학생의 삶의 만족도 격차는 고등학교 2학년 시기에 좁혀졌다. 가정및 학교 내 사회적 관계의 효과를 보면 교우관계, 부모자녀 관계는 남녀 모두에게 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으나 교사학생 관계는 여학생에게서만 정적인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상의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국교육의 풍토에 대해 논의하였다.
Using the 3rd to the 6th wav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we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relations on the trajectories of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OLS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than female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s academic characteris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level of class adjustment improved life satisfaction but the amount of learning time spent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lost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including variables of social relations.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e longitudinal analysis using the fixed effect estimation also showed a similar result of the associations among the variables to that in the OLS analysis. The life satisfaction gap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narrowed over time from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to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friend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but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was significant only for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ssues of Korean education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