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Workers

병원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조직몰입간의 관계 분석: 국·공립과 민간종합병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유호 (충청대학교 보건의료정보과)
  • Received : 2018.09.11
  • Accepted : 2018.09.27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emotional labor among the National General Hospital and Private General Hospital in Chungcheong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difference of public and private general hospitals. In addition, we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distinguishing between workers in National and Private General 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e data for mitigating emotional labor of hospital worker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employees working at the National General Hospital, the influence of the emotional labor of the hospital worke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hospital workers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increased. However, it was found that as attentivenes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ve dissonance deepened,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workers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f the hospital worke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hospital workers in the Private General Hospital was found to be better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y pay more attention to emotional expression. However, in the case of emotive dissonance, The more deeply emotive dissonance, the les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rivate General Hospital workers. Second,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in the hospital workers' perception difference of emotional lab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ational General Hospitals. However, in the variety of emotional exp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loyees of the Private General Hospitals had more varied expressions of emotions than those of the National General hospit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hospital workers according to the type of hospital work was higher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mployees of the National General Hospital than those of the Private General Hospitals.

이 연구는 충청지역 국 공립종합병원과 민간종합병원 근로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인식정도를 살펴보고, 아울러 국 공립과 민간종합병원 근로자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국 공립종합병원 근로자와 민간종합병원 근로자들을 구분하여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병원 근로자의 감정노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국 공립종합병원 근로자들로 한정하여, 병원 근로자들의 감정노동이 병원 근로자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감정표현 빈도의 경우에는 많아질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졌으나, 감정표현 주의정도, 감정부조화는 깊어질수록 병원 근로자들의 조직몰입 정도는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민간종합병원 근로자들로 한정하여, 병원 근로자들의 감정노동이 병원 근로자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감정표현에 주의를 더 기울일수록 조직몰입이 오히려 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감정부조화의 경우에는 감정부조화가 더 깊어질수록 민간종합병원 근로자들의 조직몰입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병원 근무형태에 따라 감정노동에 대한 병원 근로자의 인식 차이에서 감정표현의 빈도는 민간종합병원 근로자들에 비해 국 공립종합병원 근로자들이 감정표현의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감정표현의 다양성에서는 국 공립병원 근로자들에 비해 민간종합병원 근로자들이 더 감정표현을 다양하게 구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병원 근무형태에 따른 병원 근로자들의 조직몰입 인식 차이는 민간종합병원 근로자들에 비해 국 공립종합병원 근로자들이 조직몰입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NEWSIS News paper, "망치 맞는 의사, 뺨 맞는간호사...솜방망이 처벌이 조장한다," 2018.07.14.
  2. J. V. Brown,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Social Forces, Vol.64, No.4, pp.223-224, 1985.
  3. 조성, 류상일, 이민규, "소방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 Crisisonomy, 제13권, 제6호, pp.153-160, 2017.
  4.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4, pp.986-1010, 1996.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1
  5. B. E. Shforth and R. H. Humphrey,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8, No.1, pp.88-115, 1993. https://doi.org/10.5465/amr.1993.3997508
  6. 김기중, 일선 지역경찰관서 경찰공무원들의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7. 김동환,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8. T. E. Becker, R. S. Billings, D. M. Eveleth, and N. L. Gilbert, "Foci and bases of employee commitment: Implications for job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9, No.2, pp.464-482, 1996. https://doi.org/10.2307/256788
  9. R. T. Mowday, R. M. Steers, and L. W. Porter,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4, No.2, pp.224-247, 1979.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10. 홍순복, "공공조직에서 상사신뢰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3호, pp.197-206,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3.197
  11. R. M. Steers,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2, pp.46-56, 1977. https://doi.org/10.2307/2391745
  12. 정명선,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자율성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6권, 제3호, pp.121-138, 2015.
  13. 김태성, 허찬영,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KTX승무서비스 종사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9호, pp.3761-3780, 2012.
  14. 김종필, 김유호, "국립대병원 근무자의 감정 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Crisisonomy, 제13권, 제2호, pp.57-66, 2017.
  15. 추상효, 류현철, 배규정, 송재철, 이수진, 김인아, "일부 은행업 종사자에서 감정노동과 우울증상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제22권, 제4호, pp.316-323, 2010.
  16. 김수근, 직업건강 가이드라인 감정노동종사자, 안전보건공단,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