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hool Based Intervention with Mental Health Problem in the Elementary School : Systematic Review

정신건강 어려움이 있는 국내 초등학생의 학교-기반 중재 : 체계적 고찰

  • 김기웅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조선영 (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8.08.20
  • Accepted : 2018.10.02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more effective mental health intervention for school based intervention with mental health problem in an elementary school.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ISMA checklist. We accessed databases including RISS, K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Subject stud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ype of intervention, subject characteristic, and evaluation. Finally, twenty-five studies matched the inclusion criteria. According to types of intervention, it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which are psychoeducation(self-management skills, social skills, social emotional learn ing), behavior intervention(positive behavior support, modeling), psychotherapy(art therapy, counseling and parent coaching), and recreation intervention(robot intervention, horticultural therapy). The most of subjects were intellectual disability, the following subjects were ADHD. The most areas of evaluation were emotional change and attention. The findings of this review support school based intervention and provide evidence. And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basic data for preparing more effective mental health-related school-based interventions.

본 연구는 정신 건강에 어려움을 가진 국내 초등학생의 학교기반 중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추후 더욱 효과적인 정신건강 관련 학교 기반 중재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PRISMA 체크리스트와 흐름도를 통해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고, 데이터베이스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가과학기술센터, 국회도서관을 이용하였다. 대상 연구의 중재 특성, 대상자 특징, 평가도구로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25개의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학교 기반 중재 특징에 따라 심리교육 중재(자기관리기술, 사회기술, 사회정서학습), 행동 중재(긍정적 행동지원, 모델링), 심리치료 중재(미술치료, 상담치료 및 부모교육), 레크리에이션 중재(로봇 중재, 원예치료)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로는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평가 영역은 주로 정서의 변화, 주의력의 변화를 알아보는 도구가 사용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기반 중재의 연구 분야, 대상자, 평가도구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는 추후 더욱 효과적인 정신건강 관련 학교기반 중재를 마련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본 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창호, 강석영, 이동훈,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2. 임진희, 방명애, "도덕과와 연계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초등 정서 행동장애 위험학생의 수업참여도와 비장애 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 행동장애아교육학회지, 제32권, 제1호, pp.191-211, 2016.
  3. 한국특수교육원, 특수교육통계, 2014.
  4. 손민정, 유형근, 신효선,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구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제24권, 제4호, pp.141-160, 2008.
  5. C. L. Bagwell, A. F. Newcomb, and W. M. Bukowski,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Child Development, Vol.69, No.1, pp.140-153, 1998.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39.x
  6. C. Chan, D. Dennis, S. J. Kim, and J. Jankowski, "An Integrative Review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s for Elementary Students: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Vol.33, No.1, pp.81-101, 2017. https://doi.org/10.1080/0164212X.2016.1202804
  7. J. R. Koller and J. M. Bertel, "Responding to Today's Mental Health Needs of Children, Families and Schools: Revisiting the Preservice Training and Preparation of School-Based Personnel,"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Vol.29, No.2, pp.1-24, 2006.
  8. 송영준, 김영태, 육주혜, 이병인,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요구조사 및 지원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8.
  9. M. Leahy and C. Robb, Building a better school environment for youth with mental health and addiction issues, Children's Mental Health Ontario, 2013.
  10. D. Moher, A. Liberati, J. Tetzlaff, D. G. Altman, and PRISMA group,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pp.1-7, 2009.
  11. M. Arbesman, J. Scheer, and D. Lieberman,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pp.1-6, 2008.
  12. B. W. J. H. Penninx, T. Tiburg, D. M. W. Kriegsman, A. J. P. Boeke, D. J. H. Deeg, and J. T. M. Eijk, "Social Network,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Older Persons with Different Chronic Diseases," J Aging Health, Vol.11, No.2, pp.151-168, 1999. https://doi.org/10.1177/089826439901100202
  13. J. Case-Smith and J. C. Obrie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7th edition, Mosby, 2015.
  14. 문병훈, 이영철,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지, 제51권, 제2호, pp.71-92, 2016.
  15. College of occupational therapist of Ontario (COTO), Standards of psychotherapy, 2010.
  16. L. N. Long, "Guest editorial: Benefits of recreation therapy servic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39, No.5, 2002.
  17. 노혜영, 박승희, "자기조절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통합학급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또래지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친 영향," 한국정서 행동장애아교육학회지, 제32권, 제3호, pp.115-138, 2016.
  18. 김소연, 이숙향, "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계획하기 교수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일과계획하기 및 자기주도행동 수행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27-153, 2017.
  19. 이신희, 김윤희, "자기관리전략이 ADHD 아동의 숙제이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81-196, 2016.
  20. 박미정, 김정연, "초등통합학급에서의 역할 수행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기술과 사회적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지, 제51권, 제2호, pp.93-114, 2016.
  21. 김은미, 이경호, "자기점검법이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63-85, 2015.
  22. 신지혜, 이숙향, "태블릿 PC를 활용한 자기관리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독립적인 일과수행과 수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지, 제15권, 제3호, pp.203-229, 2013.
  23. 염지혜, 이숙향, "태블릿PC기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중재가 초등학교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151-178, 2015.
  24. 김진희, 김수진, 이효신, 신윤희, 박채진, 강정배, 김창걸, "또래로봇을 활용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정서 행동장애아교육학회지, 제30권, 제2호, pp.57-89, 2014.
  25. 장시현, 강옥려, "놀이 활용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문제행동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275-303, 2013.
  26. 홍정아, 박승희,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정서학습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서지능과 또래지원에 미친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지, 제49권, 제2호, pp.213-239, 2014.
  27. 문병훈, 장천, 이영철,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05-126, 2017.
  28. 문병훈, 이영철, "메트릭스를 이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통합학급 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지, 제16권, 제4호, pp.57-84, 2014.
  29. 김창호, 이미애,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중증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81-198, 2013.
  30. 임은숙, 권득자, 신경옥, 백은희,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특수학교 초등부 발달장애학생의 자리이탈 행동과 수업참여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 행동장애아교육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07-127, 2015.
  31. 김태용 최하영, "장점강화활동이 초등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제12권, 제1호, pp.107-132, 2013.
  32. 고예린, 김소희, "명시적 교수와 비디오 피드백이 결합된 중재가 ADHD 아동의 대화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 행동장애아교육학회지, 제32권, 제1호, pp.1-31, 2016.
  33. 정유미, 전순영, "놀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지, 제23권, 제3호, pp.763-788, 2016.
  34. 표한순, 원희랑,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또래관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23권, 제2호, pp.531-553, 2016.
  35. 조은숙, 이호준, "교류분석(TA)중심 집단미술치료가 ADHD아동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과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지, 제9권, 제4호, pp.31-52, 2013.
  36. 이지영, "초등학교 도움반 학생지도를 위한 미술치료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지, 제25권, 제1호, pp.207-225, 2016.
  37. 김연, 황혜정,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대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0권, 제3호, pp.99-116, 2013.
  38. 남현욱, 이진향, "로봇교육을 통한 조작적 활동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81-199, 2014.
  39. 금지헌, 한승원, 이윤정, 손장호, "원예활동이 학업부적응 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85-198, 2014.
  40. L. Hayes, R. Giallo, and K. Richardson, "Outcomes of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ruptive behaviour," Australasian Psychiatry, Vol.18, No.6, pp.560-566, 2010. https://doi.org/10.3109/10398562.2010.498047
  41. C. P. Bradwhaw, C. W. Koth, L. A. Thornton, and P. J. Leaf, "Altering school climate through school-wide pos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Findings from a group-randomized effectiveness trial," Prevention Science, Vol.10, No.2, pp.100-115, 2009. https://doi.org/10.1007/s11121-008-0114-9
  42. S. Bazyk, Mental health promot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and youth: A guiding framework for occupational therapy,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1.
  43. C. A. Essau, J. Conradt, S. Sasagawa, and T. H. Ollendick, "Prevention of anxiety symptoms in children: Results from a universal school-based trial," Behavior Therapy, Vol.43, No.2, pp.450-464, 2012. https://doi.org/10.1016/j.beth.2011.08.003
  44. F. Perepletchikova, S. R. Axelrod, J. Kaufman, B. J. Rounsaville, H. Douglas-Palumberi, and A. L. Meiller, "Adapting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for children: Towards a new research agenda for pediatric suicidal and non‐suicidal self‐injurious behaviors,"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Vol.16, No.2, pp.116-121, 2011. https://doi.org/10.1111/j.1475-3588.2010.00583.x
  45. T. Mendelson, M. T. Greenberg, J. K. Dariotis, L. F. Gould, B. L. Rhoades, and P. J. Leaf, "Feasibility and preliminary outcomes of a school-based mindfulness intervention for urban youth,"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8, No.7, pp.985-994, 2010. https://doi.org/10.1007/s10802-010-9418-x
  46. K. P. Koenig, A. Buckley-Reen, and S. Garg, "Efficacy of the Get Ready to Learn Yoga Program Amo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6, No.5, pp.538-546, 2012. https://doi.org/10.5014/ajot.2012.004390
  47. 최은진, 김미숙, 김지은, 박정연,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