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in College English Class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Affects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이 영어말하기 능력향상과 정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9.04
  • Accepted : 2018.10.05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 good sense of language through professors' reduced role and university students' cooperative learning with overcoming the limit of existing English teaching materials and learning methods. To analyze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in university general English classes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affective achievement, cooperative learning for English speaking was applied to 50 university students of K university in Seoul for 4 months from March 2 to June 20 in 2018. And then the affective achievement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ist, the cooperative learning in university general English classes made a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English speaking ability (accuracy, fluency, complexity). Second, the cooperative learning in university general English classes made a difference in confidence of learning and interest in learning among the affective achievement but there's no difference in study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Third, the cooperative learning in university general English classes made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improvement of English speaking ability (accuracy, fluency, complexity) on the confidence of learning and interest in learning of the affective achievement, but there's no difference in study attitude and learning motivation.

본 연구는 기존 영어교재 및 학습법의 한계를 뛰어넘어, 교수의 비중을 줄이고 대학생들의 협동학습을 통해 언어감각 발전을 증진시키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이 영어말하기 능력향상과 정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소재 K대학 대학생 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018년 3월 2일부터 6월 30일까지 약 4개월에 걸쳐, 직접 영어말하기를 위한 협동학습을 진행하고, 정의적 성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은 대학생의 영어말하기 능력 향상(정확성, 유창성, 복잡성)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세부요인별로는 정확성, 유창성, 복잡성순으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은 대학생의 정의적 성과 중 학습자신감과 학습흥미에 차이가 있었지만, 학습태도와 학습동기에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은 영어말하기 능력향상(정확성, 유창성, 복잡성)이 정의적 성과의 학습자신감과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발생하였지만, 학습태도와 학습동기에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지, 영어인터뷰 동영상 활용수업이 영어말하기 능력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3.
  2. 이완기, "대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모형," 영어교육, 제50권, 제1호, pp.27-38, 2018.
  3. 방희정, 소집단 협동학습이 대학생의 학습동기와영어 듣기,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충남, 2014.
  4. 강서정, 영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대학영어 수업에서 읽기의 현상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1.
  5. 한재영, "협동학습에서 학생의 유화성에 따른 집단 구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제22권, 제4호, pp.717-724, 2012.
  6. 최은영, 대학영어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수업경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17.
  7. 박상옥, "대학 교양영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영어교육, 제35권, 제1호, pp.83-105, 2016.
  8. 김다원, "개인별 책무성 강화에 따른 협력학습의 긍정적 상호의존성 효과분석," 교양교육 연구, 제8권, 제5호, pp.485-515, 2014.
  9. 이예식, "교양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중등교육 연구, 제53권, 제3호, pp.257-276, 2015.
  10. 신수정, "소집단 영어협동학습이 대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과 지기 주도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현대 영어영문학, 제56권, 제4호, pp.107-124, 2012.
  11. S. Kagan, Co-op Co-op: A Flexible Cooperative Learning Technique, In Slavin, R., S. Sharan, S. Kagan, R. Hertz-Lazarowitz, C. Webb & R.Schmuck (Eds.). Learning to Cooperate, Cooperating to Learn, New York: Plenum, 1985.
  12. 김진철, 교육혁신의 성과와 전망 연구로 답하다, 형설출판사, 2018.
  13. H. D. Brown, Teaching by Principles :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2nd ed.), New York, NY: Longman, 2017.
  14. 김현정, 전략적 협동학습이 대학생의 영어 어휘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1.
  15. 유정민, 대학 교양영어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9.
  16. A. Heyd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he oral production of a second language, Ph.D. Thesis,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1979.
  17. 변지현, 박선희, "교양영어 읽기 전략 훈련의 비교분석,"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2호, pp.207-241, 2012.
  18. J. Harmer, How to teach English, Pearson Education, 2017.
  19. C. Griffiths, Lessons from good language learne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0. D. W. Johnson, R. Johnson, and E. Holubec, Nuts and bolts of cooperative learning, Edina, MIN: Interaction Book Company, 1998.
  21. 서초순, "대학영어교육을 위한 ESP교과 설계," 응용언어학, 제3호, pp.85-108, 2017.
  22. 이혜련, 협동학습 기본요소의 차이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양식과 수업 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5.
  23. 김현옥,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 외국어교육, 제14권, 제3호, pp.179-205, 2017.
  24. 홍순태, 이상국, "협동학습과정에서 나타난 한국대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영어영문학연구, 제55권, 제3호, pp.555-594, 2013.
  25. 조정순, "대학 교양영어교육의 현황과 방향성 탐구," 영어교육, 제57권, 제2호, pp.365-394, 2012.
  26. 안인숙, 의사소통 중심 교양영어 수업에서의 영어소설 교재 사용의 효과,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대전, 2016.
  27. 전찬국, 동료평가활동을 통한 협동학습이 대학생 영어말하기와 쓰기에 미치는 효과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1.
  28. 윤소영, "중학교 영어과 수행평가의 개발과 적용효과에 대한 분석," 응용언어학, 제15권, 제1호, pp.253-282, 1999.
  29. 위정현, 오나라, 김양은, "온라인 게임을 통한 아동 경제 학습 효과 분석," 한국게임학회지, 제5권, 제4호, pp.13-22, 2005.
  30. 김보영, 학습자의 자기수정활동이 영어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8.
  31. 이완기, "대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평가 모형," 영어교육, 제50권, 제1호, pp.37-63, 1995.
  32. 이유진, 수준별 학습이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2.
  33. 김희선, 영어말하기 말하기 연습이 성취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15.
  34. D. H. Schunk, "Peer Models and Children's Behavioral Chang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57, No.2, pp.149-174, 1987. https://doi.org/10.3102/00346543057002149
  35. M. E. Gredler, Learning and instruction: Theory into practice(5th ed.),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Education,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