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achronic Analysis on the Vertical Integration in the Domestic Digital Music Market

국내 음원 시장의 수직계열화 현상에 대한 통시적 분석

  • Received : 2018.08.29
  • Accepted : 2018.10.05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vertical integration,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domestic digital music market, appears in each period and how these phenomena affect the digital music market. As a result, we could find out that the domestic digital music market is a vertically integrated market centered on ISPs. There were a variety of subjects that led the digital music market from the early digital music in 2000s to the latest streaming market. However, ISP was the only subject that vertically integrated all aspects of cont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hrough its subsidiaries and affiliated companies. A variety of combined services, supplementary services, and fare plans provided by using its platform and network have become mainstream services in the domestic digital market and have fixed the current transaction type in domestic market.

본 연구는 국내 음원 시장의 주요 특징인 수직계열화의 시기별 유형과 이것이 음원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콘텐츠와 유통이 수직 계열화된 현상은 해외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으며, 수직계열화의 주체가 후방 시장에 대한 지배력을 전이시킬 목적과 의도의 여부에 따라 해당 현상에 규제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충분히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분석결과 국내 음원 시장은 이통사 및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수직계열화된 시장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2000년 디지털 음원 시장의 활성화부터 최근의 스트리밍 시장에 이르기까지 시기별 음원 시장을 주도했던 주체는 이통사, 대기업, 제작사, 기획사 등 다양해지고 있으며, 콘텐츠와 유통, 소비 단계에 걸쳐 계열사 및 특수관계사를 통해 수직계열화된 대기업이나 이통사가 음원 시장을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통사는 자사 플랫폼과 네트워크를 활용해서 제공한 다양한 결합서비스와 부가서비스, 요금 제도를 통해 국내 음원 시장에 주류 서비스로 자리매김했으며, CJ 등 콘텐츠 계열 대기업은 자사 콘텐츠 기획 제작력, 유통망 확보 등을 통해 온 오프라인 시장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인터넷 서비스 시장의 특성상 시장 지배력을 보유한 ISP 사업자나 콘텐츠 계열 대기업이 CP 시장에 지배력을 전이하는 행위로 파악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덕, "신한류 아이돌 음악과 한국대중음악시장의 생태계 균형에 관한 연구 2000-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6호, pp.157-16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6.157
  2. 박정은, "국내 음악산업의 디지털 음악제작과 유통구조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39-53, 2018.
  3. 양승규, 임학순, 김재범, "음원사용자들의 서비스 플랫폼 전환의도에의 영향요인," 문화경제연구, Vol.19 No.3, pp.29-56, 2016.
  4. 유재원, 형지현, 이재영, "다운로드/스트리밍이 선호되는 디지털 음원 특성에 대한 고찰," 마케팅연구, 제33권, 제1호, pp.1-21, 2018.
  5.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음악산업백서, 2015.
  6. 임현석, 정재민, "소유에서 접속의 시대로,"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7. 장대철, 안병훈, "디지털 음악 콘텐츠 시장에서의 가격전략, 수익배분 및 시장구조,"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4권, 제1호, pp.133-152, 2009.
  8. 정지영, "한국 온라인 음악시장의 음악사용료 징수규정과 창작자를 위한 저작권료 수익구조,"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1호, pp.429-438,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429
  9. 김민용, 박재홍, 김현모, 온라인 디지털음원 유통업체의 추천시스템 구조분석 및 파급 효과 분석에 대한 연구, 문화부 연구보고서, 2012(12).
  10. 김현모, 김민용, 박재홍, "음원 추천시스템이 온라인 디지털 음원차트에 미치는 파급 효과에 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16, No.3. pp.49-68, 2014. https://doi.org/10.14329/isr.2014.16.3.049
  11. 이도엽, 양은영, "소유의 음악에서 접속의 음악으로: 온라인 디지털 음악시장에서 한국대중가요 스탠더드(standard)의 변화,"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7호, pp.63-81, 2017.
  12. 정지윤, 김명준, "디지털 음악 시장을 통해 본 한국 대중가요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1025-1032, 2017.
  13. 한찬희, "이동통신사의 콘텐츠 상품으로 전락한 대중음악," 대중음악, 제7호, pp.36-74, 2011.
  14. OECD, Internet Traffic Prioritisation: An Overview, DSTI/CCP, 2007.
  15. J. Farrell and P. Weiser, "nodularity, vertical integration and open aceess policies: towards a convergence of antritrust and regulation in the internet age," Harvard Journal on Law and Technology, No.85, 2003. available at http://scholar.law.colorado.edu/articles/539.
  16. B. van Schewick, "Towards an Economic Framework for, Network Neutrality Regulation," Journal of Telecommunications and High Technology Law, Vol.5, No.2, 2007.
  17. 이수일, 김정욱, 정보통신산업의 망 중립성 규제 연구: 경쟁과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정책연구시리즈 2008-12, 한국개발연구원, 2008.
  18. KOCCA, 음악산업백서(Music Industry White Paper 2011), 2011.
  19. 삼일회계법인, 디지털 음악 시장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삼일회계법인 연구보고서, 2011.
  20. 이한호, 장선구, 이성순, "이동통신사업자의 온라인 음악시장 진입 전략에 관한 경제적 분석," 산업조직연구, 제14권, 제2호, pp.133-173, 2006.
  21. 장대철, 안병훈, "디지털 음악 콘텐츠 시장에서의 가격전략, 수익배분 및 시장구조,"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4권, 제1호, pp.133-152, 2009.
  22. 전자신문, "2006 IT산업 결산 콘텐츠," 2006.12.6.
  23. 와이즈인포, "모바일음원 CP 현황분석 리포트," 2006.
  24. 백재영, "음악시장 지각변동...이통사 '뜨고' 전문포털 주춤," Dicon Insight, 2006(5).
  25. 김기덕, 최석호, "창조경제시대의 한국대중음악산업 수직계열화와 생산시스템 분석 2000-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44-5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044
  26. 송치웅, 김왕동, 박미영, 김은희, 최효민, 창조산업의 기술 및 수요기반 미래전망: 엔터테인먼트산업(방송.드라마, 영화, 음악)을 중심으로, 조사 연구 2012-8,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27. 한겨레, "콘텐츠 만들어봐야 굶는다," 2009.1.14.
  28. 미디어오늘, "만년 '을' 콘텐츠사업자 살릴 수 있을까," 2009.5.21.
  29. 박병규, "디지털음악시장을 통해 살펴본 국내 대중가요의 변화,"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제13권, 제2호, pp.177-187, 2012. https://doi.org/10.9728/dcs.2012.13.2.177
  30. 안소욱, 한국 대중음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 토론문, 문화체육관광부, 2011.7.19.
  31. 머니투데이, "데이터중심요금제, 콘텐츠 빅뱅 시대 열릴까," 2015.5.25.
  32. 남경필 의원실,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자료, 2012(10).
  33. KOCCA, 2016음악산업백서, 2017.
  34. 경향신문, "[갑의 횡포 을의 눈물]이동통신 계열사 음원유통 독점, 가격승인 문화부 전권... 음악인들은 저가 정책에 고통," 2013.6.12.
  35. P. Resnick and H. R. Varian, "Recommender System,"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40, No.3, pp.56-58, 1997.
  36. J. B. Schafer, J. A. Konstan, and J. Riedl, "Recommender System in E-Commercem," Proceedings of the ACM Conference on Electronic Commerce, pp.158-166, 1999.
  37. R. Burke, "Hybrid Recommender Systems : Survey and Experiments," User Modeling and User Adapted Interaction, Vol.12, No.4, pp.331-370, 2002. https://doi.org/10.1023/A:1021240730564
  38. J. K. Kim, Y. H. Cho, W. J. Kim, J. R. Kim, and J. Y. Shuh,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Procedure for Internet Shopping Suppor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 Vol.1, No.3, pp.301-313, 2002. https://doi.org/10.1016/S1567-4223(02)00022-4
  39. 한국경제, "IT트렌드, 춤추는 음원 시장," 2016.10.24.
  40. 이데일리, "음원시장 재편 수직계열화로 업계 양극화 우려," 20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