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wareness and Needs of Original Inhabitants on Urban to Rural Migration

귀농귀촌에 대한 원주민의 인식과 욕구

  • Received : 2018.09.12
  • Accepted : 2018.10.17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awareness and needs of original inhabitants on urban to rural migration and propose public projects with a consideration of their stance based on the results. To comprehend their awareness and needs on urban to rural migration through their experience related to it, focus group interview was done and three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which are 'relative deprivation',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of urban to rural migration', and 'plans for successful settlement'. First, the original inhabitants were discontent towards the government policies related to urban to rural migration and migrant's behaviors seemed to form negative perception on it. Second, financial difficulty and trouble in stable crop cultivation and acquirement of farming techniques were identified as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of urban to rural migration. Third, the original inhabitants recognized the need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original inhabitants and migrants and activation of meeting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to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ps and migrants should have proper attitude and effort to learn the rural culture for interaction and cooperation. Fourth, there's in need for an institution, which serves as a focal point that provides information and support urban to rural migration. Fifth, successful plans for settlements of migrants thought by the original inhabitants were found. Sixth, there's a need for the original inhabitants to play the role of a mentor to the migrants for their settlement and to promot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귀농귀촌에 대한 원주민의 인식과 욕구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기초로 원주민의 입장이 고려된 귀농귀촌정책 사업들을 제언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귀농귀촌에대한 원주민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귀농귀촌에 대한 원주민의 인식과 욕구를 면밀히 알아보기 위해 초점집단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원주민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 '귀농귀촌의한계와 어려움',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과 같이 총 3개의 상위범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구체적인 함의는 첫째, 원주민이 인식하는 귀농귀촌은 정부정책의 불만과 귀농귀촌인의 태도가 귀농귀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조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귀농귀촌의 한계와 어려움으로서 경제적 어려움과 안정적인 농작물 경작 및 농사기술 습득의 어려움 등이 나타났다. 셋째, 원주민이 생각하는 귀농귀촌인과의 관계형성 및 소통과 화합에 대한 인식으로는 원활한 관계형성을 위해 귀농귀촌인들과 직접적인 소통을 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모임의 활성화와 소통과 협업을 위해 귀농귀촌인들이 농촌문화를 이해하고 배우려는 자세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귀농귀촌과관련된 정보제공 및 지원을 위한 구심점 역할을 하는 기관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원주민이 생각하는 귀농귀촌인의정착을 위한 방안들이 도출되었다. 여섯째, 귀농귀촌인의정착과 원주민과의 관계증진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끔 원주민들이 귀농귀촌인의 멘토가 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백수, 이정화,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대한 생태체계적 분석," 농촌사회, 제23집, 제2호, pp.7-48, 2013.
  2. 통계청, 2016년 귀농귀촌인 통계, 2017.
  3.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통계청, 귀농어.귀촌인 행정통계 자료, 2018.
  4.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 2017년 경기도 귀농귀촌활성화를 이한 실태조사, 2018.
  5. 귀농귀촌종합센터, 귀농귀촌 지원정책, 2017.
  6. 최윤지,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을 위한 귀농귀촌정책의 현황과 과제," 국토, pp.43-54, 2013.
  7. 장민기, 허재욱, 김혜민, 채상헌, 김기현, 송기선, 귀농.귀촌 인구의 정착실태와 관련 정책 발전방안, 농림축산식품부, 2014.
  8. 성주인, 박시현, 윤병석, 이동필, 도시민의 농어촌 정주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9. 농림축산식품부, 2016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2016.
  10. 김정섭, 귀농.귀촌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11. 이민수, 이승형, 김명룡, 김정섭, 도시민의 귀촌행태와 전라북도 대응 방안, 전북발전연구, 2010.
  12. 정지민, 박경옥, "농촌 지역공동체 활성화지역 주민의 공동체 특성: 충남 흥동지역 사례연구,"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제26권, 제4호, pp.105-118, 2015. https://doi.org/10.6107/JKHA.2015.26.4.105
  13. S. S. Choi, Cronyism on grass-roots democracy movements and how to solve it-a study on 'Geochang Together' case, Unpublished master thesis, Sungkonghoe University, Seoul, 2011.
  14. Y. J. Jo and E. J. Jo, "An analysis on the actualstate of the settlement and the community of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 -Focused in Chu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19, No.4, pp.191-202, 2013. https://doi.org/10.7851/ksrp.2013.19.4.191
  15. 성지혜, "귀농지 적응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 -'남편연고형'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30권, 제2호, pp.161-202, 2014.
  16. 진명숙, 박성정, "귀농귀촌여성의 농촌생활 경험 분석: 진안지역 사례," 여성연구, 제83권, 제2호, pp.275-297, 2012.
  17. 김기흥, 충남지역 귀농귀촌의 현황과 정책 방안, 충남연구원, 2015.
  18. 김한성, 귀농.귀촌인의 지역사회 활동과 농어촌 삶의 질 향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43-55, 2015.
  19. 박대식, 남승희, "귀농.귀촌인의 지역사회참여 실태와 관련 요인," 농촌사회, 제25권, 제1호, pp.41-87, 2015.
  20. 김부성, 귀농귀촌 정보제공 및 교육체계 구축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p.7-34, 2012.
  21. 김철규, 이해진, 김기홍, 박민수, 귀농귀촌인의 성공적 정착과 농촌사회 발전 방안 연구, 농림수산식품부, 2011.
  22. 유일, 최혁라, 김선명,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 전남 보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332-34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