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ylock as the Abject

비체로서의 샤일록

  • Received : 2018.02.10
  • Accepted : 2018.03.01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Shylock in Shakespeare's play, The Merchant of Venice has been considered as either a devilish villain, or as a victim who was persecuted unfairly by the Christian society in Venice. By focusing on the matter of the Other, which has been summarily overlooked in literary texts and the literary criticism, it is noted that the New Historical and Cultural criticism interpreted Shylock as the racial, religious, and economic Other in the Venetian society which at the time was dominated by Christian idea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Shylock becomes an abjected Other, that is, the abject, based on Julia Kristeva's theory of abjection. According to Kristeva, an abjection is the process of expulsion of otherness from society, through which the subject or the nation tries to set up clear boundaries and establish a stable identity. Shylock is marginalized and abjected by the borders drawn by the Venetian Christian society, which in a strong sense tries to protect its identity and homogeneity by rejecting and excluding any unclean or improper otherness. The borders include the two visible borders like the Ghetto and the red hats worn by the Jews, and one invisible border in the religious and economic fields. By asking for one pound of Antonio's flesh when he can't pay back 3,000 ducats owed, Shylock tries to cross the border between Christians and Jews. Portia frustrates Shylock's desire to violate the border by presenting a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expression, 'one pound of flesh,' from Shylock's interpretation. And in doing so she expels him back to his original position of abject.

"베니스의 상인"의 샤일록은 악한이자 악마로서 간주되거나 기독교 사회에서 부당하게 박해당하는 피해자로 간주되어왔다. 신역사주의와 문화유물론 이후의 비평에서는 문학 텍스트나 문학 비평의 영역에서 배제되었던 타자의 문제를 새롭게 부각시켜서 유태인 샤일록을 베니스의 기독교 사회에서 억압당하는 인종적, 종교적, 경제적 타자로 해석해냈다. 이 논문은 크리스테바의 비체화 이론을 토대로 타자로서의 샤일록이 어떻게, 왜 비체로서의 샤일록이 되었으며 어떤 방식으로 비체가 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샤일록은 베니스의 기독교 사회가 깨끗하고 동질적인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어놓은 경계선에 의해 주변으로 밀려난 타자, 즉 비체가 되었다. 샤일록을 비체로 만드는 장치인 경계선에는 게토와 특수한 유태인 복장 같은 눈에 보이는 경계선과 종교적, 경제적 측면의, 눈에 보이지 않는 경계선이 있다. 그러나 샤일록은 빌려간 돈을 제날짜에 갚지 못한 앤토니오에게 1파운드의 살을 떼어달라고 요구함으로써 이런 경계선을 넘어 기독교 사회의 정체성을 위태롭게 만든다. 경계선을 넘으려는 샤일록의 시도는 1파운드의 살에 대해 다른 해석체계를 제시한 포오샤에 의해 저지당하고 샤일록은 다시 비체의 자리로 추방된다. 비체로서의 샤일록에 대한 비평은 타자의 수동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항상 경계를 벗어나서 지배 체제에 도전하고자 하는 욕망을 강조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