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 Enemies" in the Posthuman Era: Monsters in Three Spanish Films

포스트휴먼 시대의 '주적(主敵)'들의 재현: 스페인 영화와 괴물들

  • Received : 2018.02.10
  • Accepted : 2018.03.01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It is commonly emphasized that the metaphor of the monster is a rhetoric universally used to identify the "main enemy" of a society, for its effective function is seen as useful for the uniting of citizens to bend together to survive or succeed before the external threat. The problem of this metaphor is that it homogenizes and dehumanizes the heterogeneous individual members of the subsequently identified enemy group.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me traits of the posthuman subject, such as the flexibility and the multiplicity of consciousness, to overcome the otherizing binary perspective which is commonly held regarding the concepts of good and evil. To observe specific dimensions of the posthuman consciousness, we analyze three films based on Spanish history and reality: The Spirit of the Beehive, The Day of the Beast and Pan's Labyrinth. All of these films progress around the figure of the enemy-monster(s), showing how to transgress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consciousness that defines the self/good dividing it from the other/evil. The heroes in the films seek to overcome the fear about the monster, and approach him to discover new ethical horizons, that can emerge only when an individual's consciousness chooses to stay on the border between the established beliefs and the unfamiliar voice of the dangerous stranger(s).

한 사회가 주적을 괴물에 비유하는 수사는 사회 구성원들을 단결시키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세계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적으로 정의된 집단의 다양한 구성원들을 단순화하고 대상화하며 나아가 비인간화하는 폭력적인 인식을 만든다.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포스트휴먼 주체의 특징인 의식의 유연성과 복수성(複數性), 차이를 긍정하고 포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며, 주적-괴물을 다루는 세 편의 영화 <벌집의 영>, <야수의 날>, <판의 미로>에서 그런 포스트휴먼 주체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볼 수 있음을 논한다. <벌집의 영>은 내전 직후 스페인 사회가 절대적으로 타자화하고 배척한 공화파에 속했던 사람들의 죽음을 애도함으로써 주적-괴물을 인간의 위치로 귀환시키고, <야수의 날>은 괴물에게 투영된 스스로의 믿음을 의심하고 서로 대립하는 현실의 해석들을 동시에 유지하는 경험을 제공하며, <판의 미로>는 의식 안에 존재하는 낯선 관점들의 대립을 통해 성장하고 부조리에 맞서는 주체를 재현한다. 세 작품의 주인공들은 모두 괴물에의 두려움을 극복하고 괴물에게 접근해서 새로운 앎과 가치를 성취한다. 이들은 선과 악 또는 정상과 비정상이라는 경계의 한쪽을 택하는 대신 경계 위에 머물며 이분법의 한계를 넘어서는 의식의 능력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