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of Adult Literacy Policies of UK and Australia

영국과 호주의 성인문해교육정책 비교 분석

  • Received : 2018.08.15
  • Accepted : 2018.12.29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Social changes have added to new challenges to adult literacy policies in Korea. These changes not only require most adults to improve their literacy skills, but also require them to learn new competenc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Korean literacy policy has properly responded to the new literacy nee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not only aims to examine the adult literacy policies of UK and Australia, but also plan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Both UK and Australian governments have developed literacy education funding program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literacy educators, all of which are needed for the provision of high quality adult literacy programs.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implemented the similar system since it formulated the adult literacy policy in 2006.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case and those of Australia and UK. Where both UK and Australia governments target every adult who has needs for literacy education, the Korean government only targets the poorly-educated elderly.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has failed to accommodate various literacy needs of adults. As a way of addressing the limitations of the Korean policy, the government should innovate the adult literacy policy in a way that it helps every adult develop knowledge and skills at anytime and anywhere.

민간 주도로 오랫동안 실시되던 문해교육이 2006년 성인문해교육지원사업을 필두로, 성인문해교육 학력인정제도, 국가 및 지자체의 문해교육센터 설치 등을 통해 빠른 속도로 제도화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성인문해교육정책을 선도해온 영국과 호주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문해교육 정책이 현대사회의 문해교육 요구를 적절히 담고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비교 준거로서 국가문해교육정책의 중심이 되는 4개 요소(문해교육 추진기반, 문해교육 지원정책, 문해교사 자격정책, 성과관리정책)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2007년 평생교육법 전부개정을 통해 문해교육사업 및 학력인정문해교육제도에 대한 프레임?을 마련하면서 단 기간에 외형적으로는 영국과 호주에 준하는 문해교육지원체제를 구축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성인의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양국에 비해 우리나라 문해교육 대상은 저학력 중고령층이고, 문해교사제도 및 성과관리 등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영국과 호주처럼 성인 모두의 역량 개발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문해교육 패러다임을 혁신하고, 그에 맞추어 문해교육정책 전반을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