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troduction Time of a Reefer Ship in Korea

우리나라 빙장선 도입 시기에 관한 소고

  • 김진백 (동명대학교 경영대학 유통경영학과)
  • Received : 2018.07.25
  • Accepted : 2018.11.29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Cold storage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play major roles in the implementation of fishery cold chain systems. Most fishes are more easily perishable than other food products such as agricultural products and livestock products. Therefore, fishery cold chain systems were earlier introduced than other food clod chain systems. It is acknowledged that a reefer ship as a component of cold chain systems was used in the fishery transportation in the Joseon Dynasty. But researchers disagree on the introduction time of a fishery reefer ship.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roduction time of a fishery reefer ship by some conditions including the number of private cold storage facilities, the magnitude of fishing vessels, and the plenty catch of fish species. According to reviewing the introduction conditions of fishery reefer ships, it was estimated that fishery reefer ships were introduced in 15th century. Therefore, the introduction time of a fishery reefer ship is more advanced about 300 or 400 years than as we know.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동명대학교

References

  1. 고동환. 1994. 조선후기 장빙역의 변화와 장빙업의 발달. 역사와 현실, 제14권, pp. 152-191.
  2. 고동환. 1998.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연구, 지식산업사.
  3. 고동환. 2009. 조선시대 얼음의 문화사. 물질문화와 농민의 삶, pp. 177-201.
  4. 김병삼. 2003. 식품냉동 및 냉장기술, 대한설비공학회 강연회, pp. 133-141.
  5. 김진백. 2016. 조선왕조실록상의 수산업 - 공급사슬 관점의 수산업관련 기록 -, 수산경제연구원.
  6. 김진백.장수호.김철희. 2017. 국가 기록으로 본 조선 500년 수산업 연구: 수산물 생산 활동편, 국립수산과학원.
  7. 김진백.장수호.김철희. 2018. 국가 기록으로 본 조선 500년 수산업 연구: 수산물 유통과 수산업 조세제도, 국립수산과학원.
  8. 박구병. 1966. 한국수산업사, 태화출판사.
  9. 박원선. 1965. 보부상: 한국상법사 상의 행상제도 연구, 한국연구원.
  10. 이영학. 2001. 조선후기 어물의 유통. 한국문화, 제27권, pp. 205-245.
  11. 장국종. 2010. 조선수산사, 사회과학출판사.
  12. 정연식. 1999. 조선시대의 수레에 대하여. 인문논총, 제6권, pp. 131-164.
  13. 下啓助.山脇宗次. 1905. 韓國水産業調査報告, 農商務省水産局.
  14. 농상공부수산국(農商工部水産局). 1908. 한국수산지(韓國水産誌), 제1집, 조선총독부 인쇄국.
  15. 경국대전(經國大典)
  16. 경세유표(經世遺表)
  17. 고려사(高麗史)
  18.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19. 국조보감(國朝寶鑑)
  20. 대학(大學)
  21. 동인지문(東人之文)
  22. 만기요람(萬機要覽)
  23. 범해소록(汎海小錄)
  24. 북학의(北學議)
  25.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26. 삼국사기(三國史記)
  27. 삼국유사(三國遺事)
  28.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29.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30. 시경(詩經)
  31. 예지(禮志)
  32. 일성록(日省錄)
  33. 자산어보(玆山魚譜)
  34. 정조병오소회등록(正祖丙午所懷謄錄)
  35.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36.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37. 청권집유(淸權輯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