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Tasks for bringing the Marine Healing Industry to Waterfront Spaces

해양친수공간에서 해양치유산업의 정책 과제

  • 박홍균 (순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무역학과)
  • Received : 2018.11.22
  • Accepted : 2018.12.2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ocean is a unique space for exchange with the city, forming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waterfront areas. The marine healing industry improves quality of life through medical care and well-being, and creates added value by combining with the medical industry. The policy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rine healing industry is the newest high-growth area. Furthermore, a professional medical service hospital is the first priority. This will include the development of marine healing facilities and strengthening forest healing connectivity,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highly specialized medical technologies. The second priority is value creation in marine healing specialization, accompanied by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policy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medicines in marine healing effects. It is also important to apply new market trends and develop applied marine healing service programs. Thirdly,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fragmented market for policy development.

해양은 도시와 연계되어 교류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며 인간과 친수 공간을 구성한다. 해양치유산업은 의료와 웰빙으로 삶의 질을 개선하는 융합 부분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의료산업과 결합 되어가는 미래 산업이다. 해양치유산업의 정책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치유산업 운영이 가장 높다. 종합 중요도는 제1순위가 해양친수공간에 해양치유산업 운영의 부분의 전문의료서비스 병원형이다. 해양치유시설 개발과 산림치유 연결성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구성하고 의료기술의 고도의 전문화된 전문의료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제2순위는 해양치유산업 특성화에서 가치창조성이다. 해양치유효과에 대한 새로운 가치창조성을 위하여 의 신약학 연구개발 등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이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해양치유산업의 정책 개발을 위하여서는 세분화된 시장의 가능성을 탐색 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세부항목에 관한 구체적 정책제안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순천대학교

References

  1. 권해윤(2016), 의료관광객 수요증가를 위한 한국의료관광 포지셔닝 전략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호텔관광연구, 제18권 제1호, pp.83-103.
  2. 김가야 황보주(2016),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수요자 특성을 고려한 해양관광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제28권 제12호, pp.135-149.
  3. 김남석(2017), 부산 해양관광콘텐츠의 활용과 변용에 관한 연구-샌프란시스코 해양관광콘텐츠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향도부산, 제33호, pp.301-333.
  4. 김도영(2011), 한국형 의료관광 발전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제23권 제3호, pp.205-206.
  5. 김민철 부창산(2015), 해양의료관광지의 방문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7권1호,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pp.230-242.
  6. 김종덕(2017), 해양수산부문의 지역연계를 통한 연안, 해양발전구상, 2017전국 해양수산 대 토론회, 해양수산개발연구원
  7. 김진옥 이충기(2017). 한국형치유관광의 개념모델 정립 및 치유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 Research, Vol31, No5, pp5-21.
  8. 김주현 한상완 주원 장후석 백흥기(2013), 성장동력으로서의 의료관광 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VIP Report, 제521권 제10호, 현대경제연구원, p.1-32.
  9. 김향자(2016), 지역관광자원 개발 방향 연구, 기본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p.22-23.
  10. 김향자(2013), 섬관광 활성화 방안연구, 기본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49.
  11. 남동현(2006), 외국해양관광 현황을 통해본 한국 해양관광의 발전 방향, 기본연구 한국관광문화연구원, pp.66-73.
  12. 문경원(2015), 대전의 힐링.치유관광 발전방안 연구,기본과제 연구보고서, 2015-55, 대전발전연구원, pp.99-103.
  13. 부창산(2009), Health TOURISM 유형별 개념정립과 개발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QFD적용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4. 손은미 정란수 정철(2014), 웰니스관광 시설 선호도 및 선호선택- 건강리조트 잠재관광객을 대상으로 - 관광연구논총, 제26권3호, pp51-77.
  15. 손호기(2016), 농촌 치유관광프로그램 개발 및 상품화 전략,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43-59.
  16. 이진형 강신겸(2014), 전남 서남해안의 섬관광: 성찰과 제안, 한국도서연구, 제26권4호, pp.47-70.
  17. 이원갑 이종훈 홍장원 이윤정 현우용(2014),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해양문화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정책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p.49-70.
  18. 여호근 김재원(2014), 해양레저 및 관광활동 유형별 선호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6권 6호, 한국관광레저학회, pp.27-42.
  19. 유지윤(2013), 의료관광 산업특성과 한국의 의료관광 육성정책, 한중 세미나 발표자료 pp.1-17.
  20. 윤인주(2017), 지속가능한 관광의 해, 해양생태관광 도약기대, 월간 해양수산February, p.17-18.
  21. 윤인주 홍장원 이종훈 이정아, 해양치유시설의 국내도입 방향에 관한고찰, 2017년 한국 해양과학기술 협의회 공동학술 대회, pp.198-200.
  22. 이정아(2017), 해양치유정책 도입방향: 산림치유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2017년 한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 창립20주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p.144.
  23. 장보문(2015), 독일인이 사랑하는 요양지, 쿠어오르트(Kurort),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 웹진, 5월호.
  24. 진영재(2017), 관광트랜드 변화와 해양관광정책 추진방향, 국토 429, 국토연구원, pp.6-12.
  25. 조현근 김창현, 지속가능한 해양관광 개발을 위한 환경적 조건과 요인의 상관적 관계, 한국과학예술포럼, http:dx.doi.org/1017548/ksaf.2015.06.20.429 pp429-440.
  26. 채동렬(2017). 해양자원의 웰니스 산업적 이용가능성과 해외치유관광 개발 전략, 해양관광연구, 제10권 제2호, pp.65-81.
  27. 채동렬(2014). 지속가능한 해양관광 실현을 위한 해양보호구역제도 적용 방안, 한국도서연구, 제26권 제2호, pp.81-99.
  28. 최일선(2017), 웰니스 관광 트렌드 분석 및 활성화 방향에 관한 연구, 2017년 한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 창립 20주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p.123
  29. 하경회(2017). 해양관광활성화를 위한 해양문화 관광자원 활용방안, 해양관광연구, 제11권 제1호, pp.9-25.
  30. 홍장원(2017), 해양관광 트랜드변화와 과제, 2017해양수산전망대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1. 홍장원 윤인주 최일선 이정아(2017), 국내해양치유관광 육성 계기마련, KMI동향분석, Vol. 55, pp1-15.
  32. 홍장원 박수진(2017), 해양치유관광 법제화 방안, 2017년 한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 창립20주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p.145.
  33. 홍장원 장정인 윤인주 이정아(2015), 해양레저.관광의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와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1-165.
  34. 황경후 송상헌 정철(2016),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영향인식과 효과인식이 지역애착과 개발지지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논총, 제28권 제1호, pp.105-132.
  35. 황진희 홍장원 강수미(2014), 연안 크루즈 산업의 성장 잠재력과 발전전망연구, 연구보고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p.1-179.
  36. 대한민국 아름다운 섬 발전협의회(2017), 도서여객운송 대중교통화 정책방안 연구, 최종연구보고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7.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관광공사(2016), 한국의료관광 마케팅,-한국의료관광의 현재와 미래, 연구보고서.
  38.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2), 월니스 산업의 비즈니스모델 분석을 통한 산업 발전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39. Ashbullby, K. J., Pahl, S., Wesley, P., & White, M. P. (2013). "The beach as a setting for families' health promotion: A qualitative study with parents and children living in coastal regions in Southwest England," Health & Place 23, pp138-147.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13.06.005
  40. White, M. P.,, Alcock, I., Wheeler, B. W., & Depledge, M. H. (2013). "Coastal proximity, health and well-being: results from a longitudinal panel survey", Health & Place 23, pp97-103.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13.05.006
  41. Wheeler, B. W., White, M., Stahl-Timmins, W., & Depledge, M. H. (2012). "Does living by the coast improve health and wellbeing?," Health & Place, 18, pp1198-1201.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12.06.015
  42. Volker, S., & Kistemann, T. (2011). "The impact of blue space on human health and wellbeing - Salutogenetic health effects on inland surface waters: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14, pp449-460. https://doi.org/10.1016/j.ijheh.2011.0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