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해운계약상 정기용선자의 선주에 대한 안전항담보의무에 관한 연구 -Ocean Victory호 사건을 중심으로-

The Safe Port Warranty Undertaking for Shipowner by Time Charterer -Evidence from the Ocean Victory Case-

  • 한낙현 (경남대학교 국제무역물류학과) ;
  • 주세환 (경상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HAN, Nak-hyun (Dept. of International Trade and Logistics, Kyungnam University) ;
  • JOO, Se-hwan (Dept of International Trad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8.11.15
  • 심사 : 2018.12.27
  • 발행 : 2018.12.31

초록

본 연구는 Ocean Victory호 사건을 중심으로 특히 정기용선자의 선주에 대한 안전항담보의무위반 여부의 논점에 대해 영국대법원 판결을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 사건에서 선체보험자의 하나인 Gard는 정기용선자가 용선계약을 위반하여 불안전한 항구로 선박의 항해를 지시했다고 하여 정기용선자에 대한 구상청구를 위하여 선박소유자와 선체용선자의 권리를 양도받았다. 그 청구는 성공했지만 항소법원에서는 이 결정을 번복하였다. 영국대법원은 안전항, 공동보험, 책임제한 등 세 가지 중요한 문제에 대해 판결을 내렸다. 특히 안전항 문제에 관해서, 영국대법원은 용선자가 용선계약을 위반하지 않았으며 안전항담보의무의 의미 내에서 항구가 불안전하지 않았다고 판시하였다.

This study analyse the safe port warranty undertaking for shipowner of time charterer with the Ocean Victory Case. Litigation ensued between those in the charterparty chain. When the hull insurer, Gard, took an assignment of the rights of the vessel's owners and demise charterers in a claim against the time charterers that the vessel had been ordered by them to an unsafe port in breach of the charter. Although the claim succeeded, the Court of Appeal overturned the decision. The Supreme Court delivered its judgment on May 10, 2017, dealing with three important issues, safe port, joint insurance, and limitation of liability. Especially on the safe port issue, the court held that the port was not unsafe within the meaning of the safe port undertaking so the charterers were not in breach of it. The conditions in the port amounted to an abnormal occurrence as that expression is understoo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종구.김태정.이승엽(2015), NYPE 2015 정기용선계약양식해설, 법무법인(유한)태평양.
  2. 권태일(2017), 영국보험법상 공동피보험자에 대한 보험자권의 행사, 한국해법학회지, 제39권 제2호, pp.195-231.
  3. 김동훈(2002), 정기용선계약에 대한 법적 검토, 한국해법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3-24.
  4. 김봉철(2008), 영국 기름유출 등 선박오염에 관한 법규제정 동향, 외국법제동향, 한국법제연구원, pp.42-48.
  5. 김영용(2018), [김영용 교수의 생활 속 경제] 규제의 공익설, http://myweb.jnu.ac.kr/-yykim/essay261.htm)(검색일 : 2018.11.1)
  6. 김인현(2017), 안전항, 공동피보험자 및 용선자의 선주책임제한 여부, 한국해법학회지, 제39권 제2호, pp.137-163.
  7. 김종석(2010), 안전항의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제15호, pp.59-80.
  8. 김진동(2005), 항내항법과 판례해설, 문원사.
  9. 문광명(2016), 최근의 선주책임제한의 적용 및 절차상 쟁점에 관한 고찰, 한국해법학회지, 제38권 제2호, pp.181-189.
  10. 박영선(2015),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에 규정된 선원의 상무의 국내적 효력, 한국해법학회지, 제37권 제1호, pp.187-188.
  11. 박용섭(1993), 정기용선계약법론, 효성문화사.
  12. 오세영.유시융(1997), 용선계약의 안전항 담보조건, 한국해법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57-190.
  13. 염정호(2010), 정기용선계약법, 법문사.
  14. 염정호(2011), 염정호칼럼/BIMCO 정기용선계약의 결빙약관, 한국해운신문, 2011.10.27., http://m.maritime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255
  15. 이광희.이원정(2009), 용선계약실무, 박영사.
  16. 이창희(2005), 용선자의 안전항 지정의무에 대한 소고, 한국해법학회지, 제27권 제1호, pp.41-73.
  17. 이희주(2017), 용선자의 안전항 담보의무, 물류신문, 2017.9.19., http://www.k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026(검색일 : 2018.11.1.)
  18. 정완용(2010), 개정 상법상의 해난구조규정에 관한 고찰, 한국해법학회지, 제32권 제2호, pp. 227-228.
  19. 한국선주상호보험조합(2014.10.31), 해상클레임 예방가이드(13): 용선계약상 '안전항(Safe Port)'의 이해, 해양한국, 제494호 (2014.10.31.), http://www.monthlymaritime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14988(검색일: 2018.11.3.)
  20. 한국선주상호보험(2015.6.30), 해상클레임 예방가이드(21)/ 정기용선자의 안전항 지정의무의 기준 과 책임범위(II), 해양한국, 502호, http://www.monthlymaritimekorea.com/news/articlePrint.html?idxno=16311(검색일 : 2018.11.1)
  21. 한낙현(2009), 항해용선계약상 안전항 담보의무위반에 의한 초과정박손해배상금의 청구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2호, pp.149-176.
  22. 한낙현.김애영(2016), 선체용선자에 대한 보험금의 대위구상에 관한 연구-Ocean Victory호 사건을 중심으로-, 국제상학, 제31권 제4호, pp.71-95.
  23. 해운공제(2012), 협회항로정한약관(Institute Warranties), 2012.6.12, http://www.haewoon.or.kr/portal/bbs/selectBoardArticle.do?nttId=585&bbsId=B_000641&menuNo=200024
  24. Korea Maritime PILOTS' Association(2018), 제1편 한국도선사협회 전사(前史), file:///C:/Users/hp/Downloads/50years_074.PDF)(검색일 : 2018.11.1.)
  25. 森本靖之(2017), 鹿島港の事故に思う, 2017.7.4., http://captain.or.jp/?page_id=354(검색일 : 2018.11.3)
  26. 津留崎裕(2013), 悲しき北風.埠頭.港の灯ー鹿島港は安全港か否か, 海運, 11月号, pp.66-68.
  27. 津留崎裕(2015), 春風駘蕩ー続鹿島港は安全港か否か-異常な出来事とは?, 海運, 1052号, pp.80-82.
  28. 津田滋.竹村英員.川原泰正(1983), 傭船契約と海上物品運送契約, 成山堂.
  29. Allen, Craig H.(2005), Farwell's Rules of the Nautical Road, Nautical Institute Press.
  30. andrewliu(2018), "International Navigation Limits(INL)(sometimes referred to as International Navigation Conditions)", https://www.andrewliu.com.hk/compweb/images/Form/INL%20-%.pdf
  31. Coghlin, T., Baker, A. W., Kenny, J., Kimball, J. D. and Belknapet, T.(2014), Time Charters, 7th ed., Informa.
  32. Gard(2017), "Gard's appeal to the English Supreme Court is decided", 16 MAY 2017, http://www.gard.no/web/updates/content/23334400/gards-appeal-to-the-english-supreme-court-isdecided(검색일 : 2018.10.29.).
  33. Knight, Austin M.(1901), Modern Seamanship, D. Van Nostrand Company,
  34. Mankabady, S.(1974), "The Concept of Safe Port", Jrnl. of Mar. L. & Comm. Vol.5, pp.636-637.
  35. Standard Club(2018), "Loss Prevention International Navigating Limits", June 2018, https://www.standard-club.com/media/2767665/loss-prevention-international-navigating-limits.pdf
  36. Wilson, J. F.(2014), Carriage of Goods by Sea, 8th ed., Pearson Education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