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 Husserl's Phenomenological Ego

E. 후설의 현상학적 자아

  • Received : 2018.04.11
  • Accepted : 2018.05.23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This essay examines the ego (I-Subject) problem in Husserl's phenomenology and consists of four parts, as follows. Section I describe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on ego and some important points to note in relation to this study. Section II discusses two aspects of the problem of pure ego, which appears as an ego-problem for the first time. The first aspect is the two opposing positions that Husserl himself took regarding pure ego. Husserl initially rejected pure ego as an object of research in Logische Untersuchungen I (1901) however, he withdrew this position in Logische Untersuchungen II (1913). The second aspect is the content of pure ego that Husserl explored in Ideen I (1913) after he accepted pure ego as a phenomenological problem. The theme of section III is the "theory of three egos" which appeared in Ideen II (1912, 1952). Here, two issues have been noted, one of which is the methodological basis for enabling this theory: the phenomenological "attitude change" (Einstellungsaenderung) and the "Underlying" (Fundierung). The other is the explanation of the content of the three egos: the "physical ego", "personal ego" and the "pure ego". Section IV concerns two themes of the "monadic ego" that appeared in the Cartesianische Meditationen (1931). The first theme is the theoretical premis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onadic ego. In conjunction with this theme, phenomenological-psychological reduction was used as a new method to open up new problem horizons. The second theme brings up the content of the monadic ego, the essence of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ego is based on a pluralistic and independent ego-concept in which each ego is equal to its own self. 2) It must be asked whether each of the monadic egos is different from one another. 3) The "other" of a certain transcendental ego is not the ego-other relationship but ego-another ego (alter-ego). 4) This phenomenological monadic ego can mutually communicate with alter-egos through empathy, unlike Leibniz's metaphysical monads.

본 소론이 논의한 것은, 후설 현상학에서의 자아 문제가 어떻게 제기되고 또 그 자아는 어떤 과정을 겪으면서 변화해 가는지, 그 추이를 추적하는 것이다. 이 소론에서 논의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이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부분은 후설 현상학에서 자아 문제로서 최초로 제기된 순수자아에 대해서이다. 이 순수자아는 2개의 소주제를 통해서 논의되었다. 그 첫 번째 소주제는, 이 순수자아에 대해서 후설 스스로가 취했던 상반된 2개의 입장에 대해서이다. 그 두 번째 소주제는, 후설이 순수자아를 '현상학적 주제'로서 수용한 이후 "이념들 I"을 중심으로 탐구했던 순수자아의 내용에 대해서이다. 둘째 부분은 "이념들 II"에서 등장하는 "3개의 자아(론)"에 대해서인데, 이 자아론은 구체적인 인간에게서 성립되는 자아(들)로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소주제를 통해서 논의되었다. 그 하나는 "3개의 자아론"을 가능케 하는 방법론에 대한 논증이고 다른 하나는 그 3개의 자아들 - 신체적 자아, 인격적 자아 그리고 모나드적 자아 - 의 내용에 대해서이다. 세 번째 부분은 '모나드적 자아'에 대해서인데, 그 내용에 있어서 가장 원숙한 자아이론으로서 두 가지 소주제를 통해서 논의되었다. 그 첫 소주제는 모나드적 자아'가 성립되기 위한 이론적 근거에 대해서이다. 둘째 소주제는 이 모나드적 자아의 내용에 관해서 인데, 이 자아는 한마디로 말해서 현실적 자아와 초월론적 자아가 종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 자아의 특징은 다원론적인 모나드적 자아라고 규정할 수 있는데, 그 장점은 데카르트적 유아론적인 타자관의 극복이라고 하겠다. 넷째 부분에서는 앞에서 논의된 3개의 자아론이 총괄적으로 정리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