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rnst Bloch and Jürgen Moltmann: The Hope for What?

블로흐와 몰트만: 무엇을 위한 희망인가?

  • Received : 2018.01.15
  • Accepted : 2018.02.21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paper reviews how $J{\ddot{u}}rgen$ Moltmann embraces and transforms the philosophy of Ernst Bloch. For what are the hopes of the two thinkers who presuppose opposing worldviews? This question will provide a good opportunity to look at how different religious types, based on different worldviews in modern philosophy of religion, can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Ernst Bloch was a philosopher who originally interpreted Judeo-Christian thought through Marxism and Persian Dualism and helped to carry out the intrinsic criticism of the doctrine of Christian eschatology by developing atheism of Christianity into a philosophy of hope. Bloch and Moltmann deal with the concepts of future, humanity, nation, and hope in the eschatological horizon, but their worldviews are so different. For examp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eginning and Ending, Disjunction or Continuation, the Core of Existence and Resurrection, Messianism and Marxism, Atheism and Theism, Persian Dualism and Judeo-Christian Monotheism. Therefore, a one-sided interpretation that ignores worldview differences in the hopes of these two thinkers should be avoided. Moltmann actively embraced the Messianism of the Jewish thinker, Bloch, by excluding Marxism, made the spectrum of broad-minded horizons diminished in the union of Messianism and Marxism. Moltmann replaced the utopian possibilities of matter in the Ontology of Not-Yet-Being, with the resurrection of Christ, who was crucified, and with the God of Creation and the God of Exodus. By overthrowing the position of atheism in Christianity, which was very important for Bloch, with the system of Trinitarian Monotheism, it resulted in the disconnec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especially the ignorance of the tension between God the Lord and Jesus Christ.

이 논문은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철학을 몰트만 교수가 어떻게 수용하고 변형하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상반된 세계관을 전제하고 있는 두 사상가가 제시하는 희망의 지향점은 무엇인가? 이 물음은 현대 종교철학에서 다양한 종교유형들 사이의 대화 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에른스트 블로흐는 마르크스주의와 페르시아 이원론으로 유대-기독교 사상을 독창적으로 해석한 철학자로서, 기독교 안의 무신론을 발굴하고 희망철학으로 발전시킴으로써 기독교 종말론 사상의 내재적 비판을 수행하는데 일조하였다. 블로흐와 몰트만은 종말론적 지평에서 미래, 인간, 나라, 희망을 말하지만, 그들이 서있는 세계관적 지평은 너무나 다르다. 그들은 물질과 하느님, 처음(시작)과 끝(마지막)의 연관성, 즉 단절 혹은 연속, 실존 원핵과 부활, 메시아주의와 마르크스주의, 무신론과 유신론, 페르시아 이신론과 유대-기독교적 유일신론 등에서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몰트만은 유대인 사상가 블로흐의 메시아주의는 받아들이고 마르크스주의는 배제하였다. 몰트만은 아직-아닌-존재의 존재론에서 물질이 가진 유토피아적 가능성을 하느님의 창조와 출애굽의 하느님과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으로 대체하였다. 또한 블로흐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던 기독교 안의 무신론이 차지하는 위상을 삼위일체 유일신론으로 대체함으로써, 구약과 신약 사이의 단절과 갈등, 특히 야훼 하느님과 예수 그리스도 사이에서 오는 긴장을 묵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울산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