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용갑(2004). 도시지역 중학생의 환경 친화 행동을 위한 환경에 대한 감수성 함양에 관한 연구: 한국 숲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인숙(2014). 누리과정과 연계한 유아녹색성장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자연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 태도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곽노의, 박원순, 이상원(2013).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419-436.
- 곽향림(2015). 구성주의 유아교육 교수학습법. 파주: 공동체.
- 권영임(2009).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방안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8(2), 211-230.
- 김다래(2013). 협동학습을 통한 동물기르기 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숙자, 홍희주, 김현정(2014). 지속가능발전 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의 개념, 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에 대한 델파이 연구. 공존소양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I. 열린유아교육연구, 19(6), 393-422.
- 김영애(2013). 그림책에 나타난 5세 누리과정 유아사회교육 내용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3(2), 1-24.
- 김영옥(2000). 전래동화에 나타난 도덕적 갈등상황의 토의활동이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정, 조부경(2013). 사진을 활용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2(2), 23-46.
- 김재경(2002). 초등학생의 환경가치와 태도가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남혜경(2008). 그림책에 나타난 환경문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류혜숙, 신금호(2010). 생태동화를 통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미치는 효과. 영유아교육학논집, 14(4), 189-208.
- 문슬기(2012).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사용자 참여디자인 과정과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세령(2013).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의 과정의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인숙(2015). 동화를 활용한 배려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5(4), 45-66.
- 박인전(2009). 체험을 통한 친환경적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및 경제기본개념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진희 , 장남기(1999). 환경교육의 평가에 관한 연구. 환경연구, 12(2), 120-138.
- 박화윤, 성정희(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엔지속가능 발전 교육 통영센터(통영 RCE).
- 신애선, 안경숙(2018). 마음이론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8(2), 17-32.
- 신은수, 박은혜(2012).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 과정의 재방향 설정. 육아지원연구, 7(1), 27-50.
- 안경숙(2015). 구성주의 교실공동체에서 이루어진 '에너지' 주제 탐구과정이 주는 교육적 시사점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 측면에서. 구성주의 연구, 2(1), 25-47.
- 양승희, 윤희경(2008). 유아의 기질 특성에 따른 그림책 유형과 그림책 그림 유형에 대한 반응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4), 49-66.
- 유구종, 함은지, 가신현(2016). 지속가능발전 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배려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491-516.
-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08). 유엔지속가능발전 교육 렌즈-정책 및 실행 평가도구.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유영의, 김은정, 신은수, 박은혜(2013a).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한국의 교육정책 및 현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319-341.
- 유영의, 김은정, 신은수, 박은혜(2013b). 지속가능발전 교육으로 살펴본 0-2세 보육과정, 3-5 세 누리과정의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2), 171-195.
- 윤장숙(2003). 환경부 선정 '우수환경 아동 도서'의 경향 분석.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정희, 김희태(2018). 유아 지속가능발전교육 활동의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8(1), 147-168.
- 이선경(2018). 학교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융복합교육의 통합 전략 탐색 연구. 환경교육, 32(1), 83-99.
- 이수연(2016). 지속가능발전지향 환경교육 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희(2009). 생활주제 중심의 환경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지식 및 환경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눈문.
- 인재천(2012). STS접근법을 활용한 통합적 유아 에너지 교육이 환경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2(3), 83-101.
- 장정애(2011). 자연의 소리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전소영, 김은정(2016).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을 적용한 음식주제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환경친화적 태도, 경제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유아교육논집, 25(1), 227-244.
- 전수옥(2004).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환경감수성 함양을 위한 환경교육 교재 개발 연구: 자연환경 영상 및 사진자료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희준(2014). 토의활동에 중점을 둔 지속가능발전 교육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환경친화적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기섭(2010). 독일에서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생성 및 전개. 교육의 이론과 실천, 15(3), 153-173.
- 정미라, 백은주, 허미화, 지옥정(2013).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유치원 교사의 물교육 실태 및 인식. 유아교육연구, 33(5), 115-137.
- 조준오, 김소향(2015). 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환경친화적 교육태도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5(3), 69-87.
- 지옥정(2011).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 사례로서의 '무심천 프로젝트'에 나타난 유아들의 지역사회 참여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363-382.
- 지옥정(2013).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공원 프로젝트'중 유아들의 공원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2(3), 393-396.
- 지옥정(2014).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종이프로젝트'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연계 주체들에게 미친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199-225.
- 지옥정, 허미화, 백은주, 정미라(2012). 5세 누리과정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와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물교육 활동내용 분석. 유아교육연구, 32(6), 489-507.
- 한수정(1999). 유치원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및 교육현황 분석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은주(2006). 환경음악교육이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허경희(2012).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환경교육 내용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허윤정(2001). 통합적 접근에 의한 동물 기르기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지명(2006). 환경동화를 활용한 통합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Chawla, O. P. (1986). Advances in biogas technology. Indian Council of Agricultural Research: New Delhi.
- Krebs, J. R., & Davies, N. B. (Eds.). (2009). Behavioural ecology: An evolutionary approach. Academic Internet Publishers: John Wiley & Sons.
- Musser, L. M., & Diamond, K. E. (1999).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0(2), 23-30. https://doi.org/10.1080/00958969909601867
- Pratchett, L., & Wilson, D. (Eds.). (1996). Local democracy and local government. Basingstoke: Macmillan.
- Samuelsson, I. P. (2012).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 박은혜, 신은수 역(2012).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Shrigley, R. L. (1983). The attitude concept and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67(4), 425-442. https://doi.org/10.1002/sce.3730670402
- Siraj-Blatchford, J., Smith, K. C., & Samuelsson, I. P. (2010).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arly years. Gothenburg: World Organiz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Sivek, D. J. (2002). Environmental sensitivity among Wisconsi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2), 155-170. https://doi.org/10.1080/13504620220128220
- UNESCO (2008). The contribu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 sustainable society. Paris, France: UNESCO.
- UNESCO (2012).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ourcebook. 한민경 역(2013). 지속가능발전교육 길잡이 2판. 유네스코한국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