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지식체계 고찰: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System on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Using Analyses of Content Map

  • An, Su Hyu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 Lim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8.07.30
  • 심사 : 2018.09.04
  • 발행 : 2018.09.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Novak & Gowin, 1984)을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지식체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65명을 대상으로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개념도 작성을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Novak과 Gowin(1984) 및 유진선과 김상림(2018)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개념도에 나타난 내용지식(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의 내용과 빈도) 및 지식수준(상위개념별 종속개념의 수와 위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내용지식을 분석한 결과 282개의 상위개념과 종속개념이 나타났으며, 상위개념을 범주화했을 때 '북한에 대한 이해', '분단/통일의 이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통일정책', '남북관계', '교육활동',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7개 대표용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수준을 분석한 결과 상위개념별 종속개념의 수와 위계는 대표용어별로 상이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내용지식은 다양하나 지식수준의 체계성과 위계성은 다소 결여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통일교육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이의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지식체계를 고찰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유아통일교육을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연수 등 유아교사의 지식체계를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and knowledge level on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a concept map (Novak & Gowin, 1984). Methods: The subjects, including 6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 metropolitan area, were asked to draw concept maps illustrating their understanding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concept map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s utilized by Novak and Gowin (1984) as well as You and Kim (2018). Results: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282 superordinate concepts and 1,766 subordinate concepts were shown. The 282 superordinate concepts were categorized into 7 representative superordinate concepts: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understanding of separation/unification, identification as Korean citizen, unification policy,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 North Korea, educational activities, connection with home and society.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level, the numbers of subordinate concepts and hierarchical level were shown to be varied according to the 7 representative superordinate concepts. Conclusion/Implications: Discussions were included to support and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nt knowledge on unifica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rograms and teacher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2018남북정상회담(2018). http://www.koreasummit.kr/koreasummit.html에서 2018년 5월 6일 인출
  2. 강은주(2003). 어린이의 전쟁에 관한 인식 조사연구.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4(1), 43-71.
  3. 강진웅(2017). 남북한의 언어통합-북한이탈주민의 언어 사용실태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3(2), 345-365.
  4. 교육과학기술부(2012a).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2012b).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2013).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7.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8.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9. 권순희(2014).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561-586.
  10. 김보영(2015). 유치원 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신애(2018). 유아통일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양희, 곽경화, 안진경(2015).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반편견 극화활동이 유아의 편견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5), 149-171.
  13. 김지영(2013). 유아언어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태연(2015). 예비보육교사의 전공과목 수강에 따른 보육교사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3), 193-209.
  15. 김혜진(2003).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나은경(2015). '먹는방송'과 '요리하는 방송'음식 미디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적 탐색: 텔레비전 먹방/쿡방 유행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뉴미디어 이용 요인. 사회과학연구, 28(1), 183-215.
  17. 민보경(2017).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민혜영(2015).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원장, 교사, 예비유아 교사의 인식 연구. 평화학연구, 16(4), 233-254.
  19. 박은혜(2002).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유아교사의 지식. 서울: 창지사.
  20. 박인숙(2015). 유아교사 다문화소양과 다문화교육태도와의 관계: 다문화교육내용과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1), 92-111.
  21. 박진희(2014).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의 개념도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박찬석(2014). 2000년대 이후 통일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초등도덕교육, 44, 151-180.
  23. 서민주, 임부연(2015). 유아교사와 미술교사의 유아미술 교육에 대한 개념 및 지식수준의 비교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 403-422.
  24. 양승희(2017).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보육학회지, 17(4), 31-50.
  25. 유경숙(2010). 유아 요리활동의 실태 및 교사 인식: 경기지역 유치원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9(4), 63-80.
  26. 유진선, 김상림(2018). 유아창의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7(3), 179-190.
  27. 윤경혜(2005).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강훈(2016). 교사 다문화 태도와 유아 다문화 인식의 관계에서 교사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6(1), 21-51.
  29. 이경선(2015).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실습기관에서의 수업 실연의 어려움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3), 211-230.
  30. 이경하(2017).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연구.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성아(2005). 유치원교사의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송이, 송원경(2012).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67-87.
  33. 이연희(2015).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영심(2016). 3 - 5세 누리과정 신체운동영역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행 시 어려움. 한국보육학회지, 16(3), 163-185.
  35. 이윤진, 양미선, 조아라(2015). 유아교사의 통일인식 실태와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2015-20. 육아정책연구소.
  36. 이인재, 박균열(2012). 초․중등학교급별 교사와 학생의 통일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윤리교육연구, 28, 63-90.
  37. 이효숙, 김경의(2014).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평화교육에 대한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137-156.
  38. 정혜경(2015). 한국 음식문화의 의미와 표상. 아시아리뷰, 5(1), 97-121.
  39. 조경자, 이현숙(2016).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유치원 통일 교육의 변화. 유아연구논총, 37(4), 71-99.
  40. 조숙영, 원혜경(2016).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북한'관련 교육활동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1(5), 699-218.
  41. 주영애, 곽미숙, 김우정(2017). 남북통일 대비 통합문화의 모색: 세시풍속 생활문화를 중심으로. 유학연구, 39(1), 399-433.
  42. 지성애, 김숙자, 최민수(2003).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229-259.
  43. 최민수, 신현미(2012).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및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에서의 남북한 민족공동체의식 관련 내용 비교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365-388.
  44. 최유숙, 양명희, 이찬규, 임현열(2015). 남북 언어 통합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다문화콘텐츠연구, 18(1), 395-426.
  45. 통일교육원(2016). 통일교육지침서. 서울: 통일교육원 교육 개발과.
  46. 통일교육원(2017a). 통일문제이해. 서울: 통일교육원 교육 개발과.
  47. 통일교육원(2017b). 초등교원기본과정 연수자료. https://www.uniedu.go.kr/uniedu/lecmain/main.do에서 2018년 5월 26일 인출
  48. 통일부(2018). 2018 남북정상회담 결과 설명자료. http://www.unikorea.go.kr/unikorea/open/parliament/ 에서 2018년 5월 2일 인출
  49. 하새봄, 송원경(2015). 유아건강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개념도 분석. 교사교육연구, 54(2), 188-198.
  50. 한겨레신문(2018). 평양냉면 열풍에 즉석 냉면도 '불티'. http://www.hani.co.kr/arti/economy/consumer/842797.html에서 2018년 5월 3일 인출
  51.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2014).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59-79.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1.059
  52. Ausubel, D. P., Novak, J. D., & Henesian, H. (197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2nd ed.). N.Y.: Holt, Rein Reinehart and Winston Inc.
  53. Mason, C. L. (1992). Concept mapping: A tool to develop reflective science instruction. Science Education, 76(1), 5163.
  54. Novak, D.,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