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원미, 문혜련(2017). 영아반 보육교사의 MBIT 성격 유형에 다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7(2), 137-158.
- 국립국어원(2014). 표준 대 국어사전. 서울: 국립국어원.
- 권은라(2008). 음악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언어 창의성과 언어표현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8(1), 49-68.
- 권혜경(2014). 유치원 교사 수업 전문성 강화를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모형 개발 및 적용에서의 협력적 실행 연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광자(2004). 포괄적 음악교육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난실, 권수현, 이승연(2013). 보육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 이해 간의 관계 및 변인별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0(1), 281-304.
- 김미정, 이숙희(2011). 사회, 정서 통합에 기초한 영아 음악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5(5), 359-382.
- 김민성(2012). 국제학교 초임교사의 교직 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13차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012(1), 211-222.
- 김소향, 안경숙(2009). 음악 교육내용 영역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수 방법 실제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음악교육연구, 36, 29-54.
- 김수임(2012). 유아들에게 있어서 '음악하기'의 의미. 한국콘텐츠학회, 12(11), 527-538.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527
- 김안나(2013a).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수업컨설팅의 의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347-366.
- 김안나(2013b).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4(3), 153-175.
- 김영천(2013).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김태연(2015). 예비보육교사의 전공과목 수강에 따른 보육 교사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3), 193-209.
- 김하종(2015). 유치원교사의 수업 전문성 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희숙(2010). 자진모리장단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연구. 음악교육연구, 39, 77-100.
- 남옥선(2007). 음악활동이 영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4(2), 18-40.
- 모용희, 김규수(2013). 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과 교직 신념에 관한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241-260.
- 박미경, 엄정애(2008). "새노래 부르기"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지도의 어려움. 아동 학회지, 29(3), 93-113.
- 박부숙, 임명희, 박윤조(2017). 통합적 음악감상을 통한 유아 소그룹 동시짓기 활동의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4), 233-258.
- 박수경, 여선옥(2018). 음악수업 계획과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그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 108, 123-145.
- 박은영(2012). 교사용 유아 음악적 태도 검사도구 개발. 예술 교육연구, 10(1), 15-29.
- 박은혜(200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수업 사례집. 이화교육총서, 2003(8), 1-83.
- 박재우(2012). 미디어에 나타난 학교 체육 진흥법 제정 관련 사회적 담론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9), 434-446.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434
- 방은영(2009). 음악교육 전문가의 멘토링을 통한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실제의 변화과정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365-395.
- 배희진(2009).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종합 예술과 음악학회지, 3(2), 91-114.
- 사영숙(2017). 수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영유아교사의 학습 공동체 경험 탐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엄정애, 송정, 박미경(2009). 교사를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교육과 실행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9(1), 133-158.
- 여선옥, 박수경(2017).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음률영역에서 나타난 유아 또래 간 교수의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 103, 23-44.
- 염지숙(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 윤지영, 임승렬(2011). 유아교사의 음악수업과 교수방법에 대한 실제적 연구. 음악교육연구, 40(1), 113-141.
- 이 경(2002).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언, 조성기, 권덕원, 민경훈, 최은식, 한윤이(2007). 초.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미경, 이시자(2014).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137-161.
- 이영애(2010). 4-5세 유아의 음악 장르별 선호도. 유아교육학논집, 14(5), 79-98.
- 이인아, 이완정(2015).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영아반에서의 음악경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3), 1-17.
- 이효숙, 심성경(2001). 유아음악극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실태. 유아교육연구, 21(3), 267-292.
- 임동호(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1), 1-17.
- 임부연 , 오정희(2009). 유아교사와 아이들의 "생명의식" 성장에 관한 의미 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371-396.
- 임부연, 이정금, 송진영(2014).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수업설계 및 적용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8(3), 505-524.
- 임승렬(2009). 유아교사 수업전문성 신장의 실제. 열린 유아교육연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9(5), 11-36.
- 장근주(2011).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음악교육공학, 13, 41-58.
- 장윤정, 황윤숙(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만3-5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2), 181-203.
- 장은주(2007).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정륜(2013).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불안과 관련요인과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진원(2012). 음악 인지능력 신장을 위한 음악학습활동 구성방안 연구. 예술교육연구, 10(1), 149-171.
- 정태범(2002). 교원교육의 방향과 과제. 서울: 양서원.
- 조희진(2010). 미디어에 나타난 의류 재활용 관련 담론과 사회적 논의 방식. 실천민속학연구, 16, 121-165.
- 최승현, 황혜정(2009). 교수내용지식(PCK)에 기초한 수업 컨설팅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1), 911-115.
- 최연철(2007). 유아교육에서의 '통합'에 대한 논의. 교원교육, 23(3), 115-124.
- 최진령, 이연승(2010).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관한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335-360.
- 한수웅(2007).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중립성 및 교사의 교육의 자유. 저스티스, 101, 36-59.
- 현경실(2003). 신체표현을 위한 음악놀이 개발과 수업에의 적용방안. 음악과 민족, 26, 469-487.
- 홍찬의(2014). 교육 계획에 내재된 유치원 교사의 수업 전문성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황인주, 김희진(2008). 만 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 경험이 음악적성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8(6), 65-90.
- Aoki, T. (2005). Sonare and Videre: A story, three echoes and a lingering note. In William F. Pinar & Rita L. Irwin Mahwah (Eds.).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 [electronic resourc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Ballantyne, J., & Packer, J. (2004). Effectiveness of preservice music teacher education programs: Perceptions of early-career music teachers. Music Education Research, 6(3), 299-312. https://doi.org/10.1080/1461380042000281749
- Bogdan, R. C., & Biklen, S. K.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 Bradbury, A. (2012). ‘feel absolutely incompetent’ Professionalism, policy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13(3), 175-186. https://doi.org/10.2304/ciec.2012.13.3.175
- Carlgren, I. (1999). Pedagogy and teachers’ work. Nordisk pedagogik, 19(4), 223-234.
- Danielson, C. (2007). Enhancing professional practice: A framework for teach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Dewey, J. (1934). Art as Experience. New York: Perigee Books.
- Evans, L. (2008).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ty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fessional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6(1), 20-38. https://doi.org/10.1111/j.1467-8527.2007.00392.x
- Freire, P. (2000). 기꺼이 가르치려는 이들에게 보내는 편지 프레이리의 교사론(교육문화연구회역). 서울: 아침이슬. (원저 1998 출판).
- Glatthorn, A. A. (1997). Differentiated supervis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Hedges, H., & Cullen, J. (2005). Subject knowledge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pedagogy: Beliefs and practices.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6(1), 66-79. https://doi.org/10.2304/ciec.2005.6.1.10
- Hodges, B., Ginsburg, S., Cruess, R., Cruess, S., Delport, R., Hafferty, F., ...Wade, W. (2011).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Recommendations from the Ottawa 2010 Conference. Medical Teacher, 33(5), 354-363. https://doi.org/10.3109/0142159X.2011.577300
- Kim, J. (2004). The musical teacher: Preparing teacher to use music in the childhood classroom. Dubuque, IA: Kendall Hunt Publishing.
- Lee, Y. (2009). Music practices and teachers' needs in preschools of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27(4). 356-371. https://doi.org/10.1177/0255761409344663
- Levinowitz, L. M. (2001). Golden age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eaching Music, 93, 40-43.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 Inc.
- Pearson, C., & William, M.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utonomy and stress, work satisfaction, empowerment, and professionalism.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29(1), 38-54.
- Scott-Kassner, C. (1999). Developing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Music Educators Journal, 86(1), 19-26. https://doi.org/10.2307/3399572
- Seidman, I. (2006).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3rd ed).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 Shawer, S. F. (2010). Classroo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EFL teacher as curriculumtransmitt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 173-184. https://doi.org/10.1016/j.tate.2009.03.015
- Shawer, S. F., Gilmore, D., & Banks-Joseph, S. R. (2008). Student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classroo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8(1), 1-28.
- Temmerman, N.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music activity preferences of preschool children. British Journal of Music Education, 17(1), 51-60. https://doi.org/10.1017/S0265051700000140
- Tschannen-Moran, M. (2009). Fostering teacher professionalism in schools: The role of leadership orientation and trus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45(2), 217-247. https://doi.org/10.1177/0013161X0833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