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Discourse on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Classes for Infants and Children

영유아 음악수업 전문성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담론 분석

  • Yeo, Sun Ok (Dept. of Child Educare Welfare, Hanyang Women's University) ;
  • Sim, Yun Hee (Dept. of Child Educare Welfare, Hanyang Women's University)
  • 여선옥 (한양여자대학교 아동보육복지과) ;
  • 심윤희 (한양여자대학교 아동보육복지과)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09.06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discourse on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classes infants and children.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second-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 care and welfare at the H university in S city. Methods: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s of Bogdan and Biklen (2006). Results: The results of interviews showed,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felt that it was too soon to talk about their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needed further education and experience in the field. Additionally, regarding the professional music classes,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were suggested to require the knowledge of infants' individual development, difference and interest. Secondly, to be able to comply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build an integrated education plan based on the themes that of infants and children' interests. Thirdly, to be familiar with the teaching methods guiding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And in order to possess such expertise, the discourse suggested that the teachers should enjoy music themselves, learn musical instruments to develop their musical abilities, and have a variety of artistic experiences. In spite of their efforts, if they do not meet the needs, they should overcome by co-operating with their colleagues rather than giving up the music class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esents the practical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for the prospective child car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음악수업 전문성에 대한 예비보육교사들의 담론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위치한 H대학 아동보육복지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Bogdan과 Biklen(2006)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예비보육교사들은 아직 전문성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이르다고 느끼고 있었고, 교사의 전문성은 학교교육의 배움과 현장에서의 경험과 경력이 더해져야 갖추어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영유아 음악수업을 위해 갖추어야 하는 전문성에 대해 첫째, 영유아의 발달과 개인차, 흥미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며, 둘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준수하고, 영유아들의 흥미를 반영하여 주제중심으로 통합적인 교육계획을 세울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지 가르치는 교수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가 음악을 즐거워해야하고, 음악적 능력을 기르기 위해 악기를 배우며,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문성이 갖추어지지 않을 경우, 영유아들과의 음악수업을 포기하기보다는 동료들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보육교사를 위한 음악교육에 실질적인 방안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미, 문혜련(2017). 영아반 보육교사의 MBIT 성격 유형에 다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7(2), 137-158.
  2. 국립국어원(2014). 표준 대 국어사전. 서울: 국립국어원.
  3. 권은라(2008). 음악감상을 통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언어 창의성과 언어표현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8(1), 49-68.
  4. 권혜경(2014). 유치원 교사 수업 전문성 강화를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모형 개발 및 적용에서의 협력적 실행 연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광자(2004). 포괄적 음악교육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난실, 권수현, 이승연(2013). 보육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 이해 간의 관계 및 변인별 차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0(1), 281-304.
  7. 김미정, 이숙희(2011). 사회, 정서 통합에 기초한 영아 음악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5(5), 359-382.
  8. 김민성(2012). 국제학교 초임교사의 교직 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13차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012(1), 211-222.
  9. 김소향, 안경숙(2009). 음악 교육내용 영역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수 방법 실제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음악교육연구, 36, 29-54.
  10. 김수임(2012). 유아들에게 있어서 '음악하기'의 의미. 한국콘텐츠학회, 12(11), 527-538. https://doi.org/10.5392/JKCA.2012.12.11.527
  11. 김안나(2013a).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수업컨설팅의 의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347-366.
  12. 김안나(2013b).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4(3), 153-175.
  13. 김영천(2013).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14. 김태연(2015). 예비보육교사의 전공과목 수강에 따른 보육 교사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3), 193-209.
  15. 김하종(2015). 유치원교사의 수업 전문성 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희숙(2010). 자진모리장단에 대한 초등교사의 PCK연구. 음악교육연구, 39, 77-100.
  17. 남옥선(2007). 음악활동이 영아의 사회,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4(2), 18-40.
  18. 모용희, 김규수(2013). 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과 교직 신념에 관한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241-260.
  19. 박미경, 엄정애(2008). "새노래 부르기"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지도의 어려움. 아동 학회지, 29(3), 93-113.
  20. 박부숙, 임명희, 박윤조(2017). 통합적 음악감상을 통한 유아 소그룹 동시짓기 활동의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7(4), 233-258.
  21. 박수경, 여선옥(2018). 음악수업 계획과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들의 경험과 그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 108, 123-145.
  22. 박은영(2012). 교사용 유아 음악적 태도 검사도구 개발. 예술 교육연구, 10(1), 15-29.
  23. 박은혜(2003).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수업 사례집. 이화교육총서, 2003(8), 1-83.
  24. 박재우(2012). 미디어에 나타난 학교 체육 진흥법 제정 관련 사회적 담론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9), 434-446.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434
  25. 방은영(2009). 음악교육 전문가의 멘토링을 통한 유아 교사의 음악 교수 실제의 변화과정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365-395.
  26. 배희진(2009).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종합 예술과 음악학회지, 3(2), 91-114.
  27. 사영숙(2017). 수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영유아교사의 학습 공동체 경험 탐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엄정애, 송정, 박미경(2009). 교사를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교육과 실행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9(1), 133-158.
  29. 여선옥, 박수경(2017).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음률영역에서 나타난 유아 또래 간 교수의 의미. 한국영유아보육학, 103, 23-44.
  30. 염지숙(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31. 윤지영, 임승렬(2011). 유아교사의 음악수업과 교수방법에 대한 실제적 연구. 음악교육연구, 40(1), 113-141.
  32. 이 경(2002).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경언, 조성기, 권덕원, 민경훈, 최은식, 한윤이(2007). 초.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34. 이미경, 이시자(2014).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137-161.
  35. 이영애(2010). 4-5세 유아의 음악 장르별 선호도. 유아교육학논집, 14(5), 79-98.
  36. 이인아, 이완정(2015).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영아반에서의 음악경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3), 1-17.
  37. 이효숙, 심성경(2001). 유아음악극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실태. 유아교육연구, 21(3), 267-292.
  38. 임동호(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1), 1-17.
  39. 임부연 , 오정희(2009). 유아교사와 아이들의 "생명의식" 성장에 관한 의미 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371-396.
  40. 임부연, 이정금, 송진영(2014).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수업설계 및 적용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8(3), 505-524.
  41. 임승렬(2009). 유아교사 수업전문성 신장의 실제. 열린 유아교육연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9(5), 11-36.
  42. 장근주(2011). 음악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인식. 음악교육공학, 13, 41-58.
  43. 장윤정, 황윤숙(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만3-5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2), 181-203.
  44. 장은주(2007).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장정륜(2013).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불안과 관련요인과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진원(2012). 음악 인지능력 신장을 위한 음악학습활동 구성방안 연구. 예술교육연구, 10(1), 149-171.
  47. 정태범(2002). 교원교육의 방향과 과제. 서울: 양서원.
  48. 조희진(2010). 미디어에 나타난 의류 재활용 관련 담론과 사회적 논의 방식. 실천민속학연구, 16, 121-165.
  49. 최승현, 황혜정(2009). 교수내용지식(PCK)에 기초한 수업 컨설팅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1), 911-115.
  50. 최연철(2007). 유아교육에서의 '통합'에 대한 논의. 교원교육, 23(3), 115-124.
  51. 최진령, 이연승(2010).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관한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335-360.
  52. 한수웅(2007).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중립성 및 교사의 교육의 자유. 저스티스, 101, 36-59.
  53. 현경실(2003). 신체표현을 위한 음악놀이 개발과 수업에의 적용방안. 음악과 민족, 26, 469-487.
  54. 홍찬의(2014). 교육 계획에 내재된 유치원 교사의 수업 전문성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황인주, 김희진(2008). 만 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 경험이 음악적성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8(6), 65-90.
  56. Aoki, T. (2005). Sonare and Videre: A story, three echoes and a lingering note. In William F. Pinar & Rita L. Irwin Mahwah (Eds.).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T. Aoki, [electronic resourc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7. Ballantyne, J., & Packer, J. (2004). Effectiveness of preservice music teacher education programs: Perceptions of early-career music teachers. Music Education Research, 6(3), 299-312. https://doi.org/10.1080/1461380042000281749
  58. Bogdan, R. C., & Biklen, S. K.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59. Bradbury, A. (2012). ‘feel absolutely incompetent’ Professionalism, policy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13(3), 175-186. https://doi.org/10.2304/ciec.2012.13.3.175
  60. Carlgren, I. (1999). Pedagogy and teachers’ work. Nordisk pedagogik, 19(4), 223-234.
  61. Danielson, C. (2007). Enhancing professional practice: A framework for teach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62. Dewey, J. (1934). Art as Experience. New York: Perigee Books.
  63. Evans, L. (2008).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ty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fessional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6(1), 20-38. https://doi.org/10.1111/j.1467-8527.2007.00392.x
  64. Freire, P. (2000). 기꺼이 가르치려는 이들에게 보내는 편지 프레이리의 교사론(교육문화연구회역). 서울: 아침이슬. (원저 1998 출판).
  65. Glatthorn, A. A. (1997). Differentiated supervis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66. Hedges, H., & Cullen, J. (2005). Subject knowledge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pedagogy: Beliefs and practices.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6(1), 66-79. https://doi.org/10.2304/ciec.2005.6.1.10
  67. Hodges, B., Ginsburg, S., Cruess, R., Cruess, S., Delport, R., Hafferty, F., ...Wade, W. (2011). 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Recommendations from the Ottawa 2010 Conference. Medical Teacher, 33(5), 354-363. https://doi.org/10.3109/0142159X.2011.577300
  68. Kim, J. (2004). The musical teacher: Preparing teacher to use music in the childhood classroom. Dubuque, IA: Kendall Hunt Publishing.
  69. Lee, Y. (2009). Music practices and teachers' needs in preschools of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27(4). 356-371. https://doi.org/10.1177/0255761409344663
  70. Levinowitz, L. M. (2001). Golden age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eaching Music, 93, 40-43.
  71.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 Inc.
  72. Pearson, C., & William, M.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utonomy and stress, work satisfaction, empowerment, and professionalism.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29(1), 38-54.
  73. Scott-Kassner, C. (1999). Developing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Music Educators Journal, 86(1), 19-26. https://doi.org/10.2307/3399572
  74. Seidman, I. (2006).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3rd ed).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75. Shawer, S. F. (2010). Classroo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EFL teacher as curriculumtransmitt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 173-184. https://doi.org/10.1016/j.tate.2009.03.015
  76. Shawer, S. F., Gilmore, D., & Banks-Joseph, S. R. (2008). Student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classroo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8(1), 1-28.
  77. Temmerman, N. (2000). An investigation of the music activity preferences of preschool children. British Journal of Music Education, 17(1), 51-60. https://doi.org/10.1017/S0265051700000140
  78. Tschannen-Moran, M. (2009). Fostering teacher professionalism in schools: The role of leadership orientation and trust.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45(2), 217-247. https://doi.org/10.1177/0013161X0833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