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rivate Day Care Center Teachers on Infant's Right Respect Care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 Cho, Sin Sook (Graduated Post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
  • Kim, Jung He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 조신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
  • 김정희 (총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7.30
  • Accepted : 2018.09.04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data to effectively implement day 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infants in day care center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day care center teachers'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infant's right respect care, and examining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rivate day care center teachers on Infant's right respect care. Methods: The 228 day care teachers who work in private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the investigated subjects. For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frequency, percentage, reliability, t-test,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were used as SPSSWIN 20.0 program.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of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teachers was different to career, monthly salary, marital status, and turnover intentions.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showed difference to age, career, marital status, type of work organization, and number of teachers and classes.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ant's right respect care to age and marital statu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empowerment and infant's right respect car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fant's right respect care showe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fant's right respect care and all other factors except for the pay and promotion 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ird, Expert extension, autonomy, fellow relationship and job self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fant's right respect care.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specific efforts should be made at the daycare center to raise the level of expertise and autonomy of private daycare teachers and to give satisfaction to their fellow relationship and their job self factors to effectively implement infant's right respect care.

본 연구는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차이와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권리를 존중하는 보육을 효과적으로 실행 하는데 필요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28명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김선희(2012)의 임파워먼트와 신현주 (2016)의 직무만족도, 김진숙(2009)의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등이다. 연구결과 첫째,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수준은 교사의 경력, 월 급여, 결혼유무, 이직의도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개인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연령, 경력, 결혼유무, 근무기관 유형, 교사수, 학급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차이에서는 교사의 연령, 결혼 상태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 둘째,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 임파워먼트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간의 관계에서는 모든 하위 요인 간에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직무만족도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간의 관계에서는 직무만족도의 보수와 승진 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 모두에서 영유아 권리존중보육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민간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 중 전문성신장과 자율성 요인이, 직무만족도 하위요인 중 동료관계와 직무자체 요인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주(2016). 누리과정정책 시행 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영식, 문현경(2011). 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교사 효능감 및 교육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161-181.
  3. 강형옥(2016). 민간․가정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한 조직 분위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구정화, 설규주, 송현정(2004).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교육의 이해. 서울: 아침이슬.
  5. 김선희(2012). 유치원교사가 지각하는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성미(2012). 어린이집교사의 보육신념, 행복감과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성신(2003).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영미, 이경님(2018).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원장의 코칭리더십, 조직문화, 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8(2), 183-202.
  9. 김예은(2016).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정미, 전정민(2016). 시설유형별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차이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 만족도 수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0(3), 89-108.
  11. 김정은(2015).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에 따른 전문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5(4), 201-219.
  12. 김정희(2007). 원장의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개인 및 조직특성 중재효과와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정희, 문혁준(2011). 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인식 차이. 유아교육학논집, 15(5), 445-466.
  14. 김진숙(2009).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현정, 남궁선혜(2011). 유아인권 및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아동보육연구, 7(2), 5-27.
  16. 문명란(2016).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가 영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문병환, 조은정(2015). 유아교사 변인과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홀리스틱교육연구, 19(2), 21-39.
  18. 박수연(2012). 어린이집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조직문화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영준, 정혜영(2005).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건강, 직무 만족도의 인과모형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45-67.
  20. 박진아, 이경숙, 최명희(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227-252.
  21. 배송희(2010). 유아권리교육을 통한 보육교사의 성찰과 영유아 이미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백선희(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 발생과 보육정책. 월간한국노총, 513, 26-27.
  23. 백영숙, 서영숙(2012). 보육교사의 개인요인과 직무요인, 직무환경요인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2, 359-378.
  24. 보건복지부(2017). 보육사업안내. 3-17. 세종: 보건복지부.
  25. 서유임(2006). 영유아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인식에 관한 연구-부천시, 광명시, 시흥시를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성경주, 황성원(2017).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4), 71-90.
  27. 송유진(1993). 유아고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신건호(2014). 보육교사의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이 교사의 직무 만족과 삶 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4(4), 87-104.
  29. 신광순, 유연옥(2016). 어린이집 유형과 보육교사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사회과학연구, 35(1), 115-141.
  30. 신지현, 김경화(2005). 어린이집 학부모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보육학회지, 5(1), 123-140.
  31. 신현주(2016).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와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안정례(2015).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안지혜, 이유미(2014).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3), 239-259.
  34. 유성연(2015). 유아교사의 직무환경 만족도와 자아개념의 아동학대경향에 대한 관계.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윤순옥(2010).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윤진희(2006).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동권리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동아(2006). 기관 유형과 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미나, 장정백(2015).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유아인권의식의 관계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5(3), 251-264.
  39. 이미래(2012). 보육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아동인권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용주(2015).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 보수와 승진에 대한 인식이 어린이집 교사의 정신건강과 영유아권리 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23-150.
  41. 이윤행(2014).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재연(1996). 아동권리보장과 보호. 정신건강연구, 15, 46-54.
  43. 이희정(2012).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임동호(2012).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3), 21-38.
  45. 장은옥(2017). 영아반교사의 감사성향과 직무만족도가 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미순(2013).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정은주(2013).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조숙영 어린이집 (2015). 교사의 정신건강, 직무만족도 및 행복감이 영유아 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19(4), 553-574.
  49. 중앙일보(2017, 12, 20). 아이에게 발길질한 보육교사, 알림장엔 "애가 때렸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219145에서 2018년 7월 28일 인출
  50. 최하현(2016). 유아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창의적인 수업능력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한신애, 문수백(2012).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2(3), 1-20.
  52. 황선아(2014).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황은식(2012). 유아교사가 인지한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연구.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SBS 뉴스(2018. 7. 27). '아이 학대 사망' 보육교사, 원생 5명 지속적으로 학대.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866346&plink=ORI&cooper=DAUM&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에서 2018년 7월 28일 인출
  55. Jorde-Bloom, P. (1989). Measuring work attitudes in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manual for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Evanston, IL: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National-Louis University.
  56. Lansdown, G. (2005). The evolving capacities of the child. Florence, Italy: UNICEF Innocenti Reseach Centre.
  57. Short, P. M., & Rinehart, J. S. (1992). 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 Assessment of level of empowerment within school environmen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4), 951-960. https://doi.org/10.1177/0013164492052004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