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학연구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 제74호
- /
- Pages.261-310
- /
- 2018
- /
- 1225-5246(pISSN)
- /
- 2671-8758(eISSN)
DOI QR Code
1284년 충렬왕(忠烈王), 원성공주(元成公主) 발원 금자대장(金字大藏) 『백천인다라니경(百千印陁羅尼經)(합부(合部))』의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f Golden Manuscript Baegcheonin-dalanigyeong, Manufactured from Chunglyeol-King & Wonseong-Princess in 1284
초록
이 연구는 고려시대 충렬왕대(忠烈王代)에 조성된 금자대장(金字大藏) 중 최근 확인된 『백천인다라니경(百千印陁羅尼經)(합(合)4경(經))』에 대한 소개와 서지적 분석을 시도하고 더불어 지금까지 알려진 서로 다른 시기에 제작된 금은자대장(金銀字大藏)들의 함차를 비교, 검토하여 그 계통을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자료는 고려 충렬왕(忠烈王) 10년(年)(1284)에 국왕(國王)과 궁주(宮主)인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의 발원에 의하여 제작된 금니(金泥)로 쓴 사경(寫經)이다. 둘째, 이 금자사경(金字寫經)은 '경(景)'자의 함차(函次)가 표시된 대장경(大藏經)의 일부이며 수정축(水晶軸)을 가진 권자본(卷子本)의 형태로 전체는 9장의 연결이며 감지(紺紙) 바탕에 금니(金泥)의 테두리와 계선(界線)을 긋고 한 행에 17자를 기준으로 간혹 16-18자의 출입이 있다. 셋째, 수록된 경전은 4종이 합본되어 있는 형식으로 『백천인다라니경(百千印陁羅尼經)』, 『구면연아귀다라니신주경(救面然餓鬼陁羅尼神呪經)』과 『불설감로다라니주(佛說甘露陁羅尼呪)』 7행, 『장엄왕다라니주경(莊嚴王陁羅尼呪經)』, 『향왕보살다라니주경(香王菩薩陁羅尼呪經)』이 차례로 포함되어 있다. 넷째, 표지(表紙)의 이면(裏面)에 충렬왕(忠烈王)의 2번째 개명한 휘(諱)인 '춘(賰)'자가 붉은 색 수결로 있고 나란한 위치에 '원성전(元成殿)' 즉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의 기록과 '봉인(封印)'이란 파스파문자가 인장이 날인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궁주(宮主)가 누구인지 분명해졌으며 국왕의 수결(手決)과 궁주(宮主)의 인장(印章)은 처음 확인되는 것이다. 다섯째, 표지화(表紙畵)와 신장상(神將像)은 13세기 후반의 다른 금은자사경(金銀字寫經)과 유사하고 특히 신장상(神將像)을 그린 화원(畫員)의 이름인 '정(鄭)〔익우(益迂)(추정)〕'란 기록이 그림의 우측 하단에 있다. 특히 신장상의 표현은 다른 사경과 비슷하지만 지물(持物)을 잡은 자세가 각각 다르다. 여섯째, 권말의 발원문(發願文)과 필사기(筆寫記)는 다른 금자대장(金字大藏)과 문장 내용은 대동소이하나 표기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또 이 사경을 직접 쓴 인물은 최정(崔楨)으로 사료 등에서 그 인물은 확인되지 않으나 음직(蔭職)의 하위 직급을 받은 글씨를 잘 쓰는 젊은 사람인 까닭에 사경작업에 동원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곱째, '경(景)'자의 함차와 4종(감로수다라니(甘露水陁羅尼) 포함) 경전의 수록 내용은 방산석경(房山石經)과 『신집장경음의수함록(新集藏經音義隨函錄)』 제9책의 '경(景)'함에 포함되어 있어서 거란장(契丹藏)의 순서와 일치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이 4종 경전이 조성금장(趙成金藏),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에서는 '고(羔)'함에 포함되고 경전의 배열순서도 본 사경과는 역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밖에도 세부적인 표기나 이체자(異體字) 등에서도 특징적인 요소를 지닌 귀중한 자료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troduce and analyze Baegcheonin-dalanigyeong(百千印陀羅尼經) which were recently confirmed among the golden manuscript in the Koryo Dynasty. The summary is as follows. (1) This is a book written in golden manuscript and it was manufactured by King Chunglyeol & Jegukdaejang-Princess in the 10th year of King Chongryeol's reign (1284). (2) This golden manuscript is written down on the blue paper(紺紙) with gold line border, has a scroll-form with a crystal axis on each end of it, and belongs to the part of the Scripture Tripitaka with the sign of "景". The text were formally written down in 17 letters in a line, however few 16 and 18 letters in one line were discovered. (3) The contents are consisted of following four scriptures in order; Baeg-cheon-in-dalanigyeong(百千印陀羅尼經), Gu-myeon-yeon-agwi-dalani-sinjugyeong (救面然餓鬼陁羅尼神呪經), Bul-seol- gam-lo-dalaniju (佛說甘露陁羅尼呪) 7 line and Jang-eom-wang-dalani-jugyeong (莊嚴王陁羅尼呪經), Hyang-wang-bosal-dalani-jugyeong (香王菩薩陁羅尼呪經). (4) There are unprecedented red signature and a stamp on the reverse side of the front page. The signature belongs to the King Chungryeol and it is the second name of him. The stamp shows 'Wonseongjeon(元成殿)' which is the Princess Jegukdaejang's original temple, and it could be the answer of the controversial debates about the original palace owner. (5) On the cover, there are a figure and floral pattern which seems to be made in the 13th century and the craftsman's name is '鄭(Zheng)[益迂(ig-u)]'. The figure's expression is similar to the other gold and silver manuscript version, but the postures and object hold in a hand are different. (6) Records of publications are similar to the other golden manuscripts, but showed some differences. In addition, the person who wrote this sutra is Choi jeong(崔楨), but the person is not confirmed in the historical data. Yet, it is presumed that he were in lower classes but had outstanding writing skills to be mobilized for the Scripture work. (7) The contents of '景' and four kinds of scriptures (including gamlosudalani(甘露水陁羅尼)) are included in the '景' of the 9th book sinjibjang-gyeong-eum-uisuhamlog (新集藏經音義隨函錄) and Bangsan-seoggyeong(房山石經). It is presumed that the narrative sequence of the scriptures corresponds to the order of The Khitan Tripitaka(契丹藏). In addition, these four types of scriptures are included in the "羔" of joseong-geumjang(趙成金藏), chojo Tripitaka(初雕大藏經), and jaejo Tripitaka(再雕大藏經) but the order of the scripture is recorded in reverse. In addition, this golden manuscript is a valuable data as it holds a lot of differentiator character and various sobriquet of Buddhist literature that can be utilized frequently in researches about Buddhist litera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