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rrelations among the Empathy Ability,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아동의 공감능력, 또래관계,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연구: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 Jang, Eun Jung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owoon Technical University College)
  • 장은정 (두원공과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10.29
  • Accepted : 2018.12.26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y possible correlations among the empathy ability,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ffects of empathy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on smartphone addi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pathy ability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To this end, the empathy ability, peer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tests were conducted among 154 six-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nd Ou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rrelations among empathy ability,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empathy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 empathy ability and smartphone addiction turned out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hich was also the case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Second, when it came to the effects of the empathy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on smartphone addiction, the emotional empathy as part of the empathy ability and the esteem out of peer relationships were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indicating that an increase of emotional empathy and esteem resulted in less smart phone addiction.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of peer relationships on smartphone addiction with the empathy ability as a medium,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were shown to be partially mediated by the empathy ability.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ould serve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세연 (2015).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블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감과 부모감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 강형순 (2014).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정도가 또래관계와 온라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희양, 박창호 (2012).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31(2), 563-580.
  4. 구혜인 (2017). 초등학교 고학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기태, 이현주, 문신일 (2016). 청소년의 스마트폰 네트워크 크기, 이용행태, 또래친구와의 관계지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30(4), 5-40.
  6. 김대명, 조준수 (2015).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관계에서 불안과 우울의 매개효과. 교육종합연구, 13(2), 151-169.
  7. 김동균, 김종우 (2013). 초등학생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 실태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367-373.
  8. 김동일, 정여주, 이윤희 (2014). 청소년 스마트폰 건전 사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청소년상담연구, 22(1), 393-421.
  9. 김소영 (2015). 청소년의 또래애착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주헌 (2014). 남녀에 따라 중학생이 지각한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 정서조절 양식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민영종 (2003). 참 만남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아동의 교우관계 및 성격에 미치는 효과.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동화 (2012). 아동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미진, 김광웅 (2015). 아동,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개념과 개인 심리적 요인 및 임상적 개입에 대한 논의: 2011년-2015년까지 발표된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놀이치료연구, 18(2), 97-113.
  14. 박성준, 장문선, 곽호완 (2015).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유형에 따른 실행기능과 대인관계문제 및 공감능력 결함.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54- 254.
  15. 박성희 (1997). 공감과 친 사회행동. 서울: 문음사.
  16. 박정림 (2016).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다사용, 또래관계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서신자 (2014). 청소년의 가족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서지혜 (2012). 고등학생의 개인, 부모, 또래 및 스마트폰 이용 동기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성윤지 (2013). 청소년의 소외감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송두리 (2013). 부모 및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신승옥 (2015). 청소년에서 따돌림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신지선 (2015). 청소년의 또래관계 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스마트폰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양혜경 (2014). 개인적, 환경적, 매체 특성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여성가족부 (2014). 2014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결과.
  25. 여성가족부 (2015). 2015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결과.
  26. 여성가족부 (2016). 2016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
  27. 여지영, 강석영, 김동현 (2014). 초기 청소년의 애착불안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충동성, 외로움의 매개효과: SNS 집단과 게임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2(1), 47-70.
  28. 유승숙, 최진오 (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불안, 공격성의 관계: 자기통제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3(1), 131-144.
  29. 유예림 (2014).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학교 치유상담대학원.
  30. 이윤미 (2014). 애착과 자기 통제력이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 통제력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정민 (2014). 부모의 성취압력과 진로포부의 관계 연구 : 학업적 자기효능감,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정은 (2017).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임정희 (2015). 또래관계 문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물리적 따뜻함의 조절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정하나 (2015).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조미희 (2013). 초등학생의 부모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을 매개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조재범 (2010). 초등학생의 공감하기, 체계화하기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조춘범 (2017). 청소년의 또래관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연구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2(1), 5-34.
  38. 최진오 (2015). 스마트폰중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결함과 학교 생활적응의 중다매개 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3(2), 43-54..
  3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 중독(S-척도) 진단척도.
  4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2012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실태조사 결과.
  4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2015년 스마트폰.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4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2017년 스마트폰.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43.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 개발.
  44. 홍옥순 (1984). 집단상담을 통한 지도가 학급 내의 인간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현장교육의 이론과 실제 II. 서울: 갑을 출판사.
  45. Anderson, C., & Keltner, D. (2002). The role of empathy i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social bond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 25, 21-22. https://doi.org/10.1017/S0140525X02230010
  46.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85.
  47. Lawrence, E. J., Shaw, P., Baker, D., Baron-Cohen, S., & David, A. S. (2004). Measuring empath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mpathy Quotient. Psychological Medicine, 34, 911-920. https://doi.org/10.1017/S0033291703001624
  48. Parker, J. D., Taylor, R. N., Eastabrook, J. M., Schell, S. L., & Wood, L. M. (2008). Problem gambling in adolescence: Relationships with internet misuse, gaming abuse and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5, 174-180. https://doi.org/10.1016/j.paid.2008.03.018
  49. Planalp, S. (2009). Emotional communication. In H. Reis & S. Sprecher (Eds.), Encyclopedia of human relationships, 488-491. Mahwah, NJ: Sage.
  50. Zhou, Y., Lin, F. C., Du, Y. S., Zhao, Z. M., Xu, J. R., & Lei, H. (2011). Gray matter abnormalities in Internet addiction: a voxel-based morphometry study.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 79, 92-95. https://doi.org/10.1016/j.ejrad.2009.1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