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onggang-ri area, Cheongsong-gun, which is located in the Sobaeksan province of Yeongnam Massif near the southwestern boundary of Yeongyang subbasin of Gyeongsang Basin, consists of age unknown metamorphic rocks (banded gneiss, granitic gneiss, limesilicates) and age unknown igneous rock (granite gneiss) which intrudes them. This paper researched the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Songgang-ri area from the geometric and kinematic features and the developing sequence of multi-deformed rock structures in the geological outcrops exposed about 170 m along the riverside of Yongjeoncheon in the eastern part of Songgang village, Songgang-ri. In the Songgang-ri geological outcrops are recognized three times (Fn, Fn+1, Fn+2) of folding, three times (Dk-I, Dk-II, Dk-III) intrusion of acidic dykes, one time of faulting, which are different in deformation and intrusion timing each other. These geological structures are at least formed by five times (Dn, Dn+1, Dn+2, Dn+3, Dn+4) of deformation. The Dn deformation is recognized by Fn fold which axial surface is parallel to the regional foliation. The Dn+1 intruded the (E)NE trending Dk-I dyke in the earlier phase and formed the NW trending Fn+1 fold in the later phase under compression of (E)NE-(W)SW direction. There are tight, isoclinal, intrafolial folds, boudinage, ${\sigma}$- or ${\delta}$-type boudins, asymmetric fold, C' shear band as the major deformed rock structures. The Dn+2 intruded the (N)NW trending Dk-II dyke in the earlier phase and formed NE trending Fn+2 fold in the later phase under compression of (N)NW-(S)SE direction. There are open fold and folded boudinage as those. The Dn+2 intruded the Dk-III dyke which cuts the Dk-I and Dk-II dykes and the axial surface of Fn+2 fold. The Dn+3 formed the left-handed reverse oblique-slip fault of NNE trend in which hanging wall moves into the SSE direction. Considering in that such five times of deformation recognized in the Songgang-ri geological outcrop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and geological structure of the constituents in the more regional area as well as Songgang-ri area, the research result is expected to play a great data in clarifying and understanding the geological structure and its development process of the surrounding and boundary constituents of the Yeongnam Massif and Gyeongsang Basin.
경상분지 영양소분지 남서 경계부의 영남육괴 소백산지구에 위치하는 청송군 송강리지역은 시대미상의 변성암류(호상편마암, 화강암질편마암, 석회규산염암류)와 이를 관입하는 시대미상의 화성암류(화강편마암)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은 송강리 송강마을의 동측에 흐르는 용전천 하안을 따라 약 170 m 노출된 지질노두에서 중첩 변형된 암석구조의 기하학적 운동학적 특성과 이들 변형구조의 선후관계로부터 송강리지역 구성암류의 변형사를 연구하였다. 송강리 지질노두에서 변형 및 관입 시기를 서로 달리하는 3회(Fn, Fn+1, Fn+2)의 습곡작용과 3회(Dk-I, Dk-II, Dk-III)의 산성암맥들의 관입작용 그리고 1회의 단층운동이 인지되고, 이들은 적어도 다섯 번의 변형단계(Dn, Dn+1, Dn+2, Dn+3, Dn+4)를 걸쳐 형성되었다. Dn 변형은 광역엽리를 형성시키는 Fn 습곡작용으로 인지된다. Dn+1 변형은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압축응력에 의해 전기단계에 (동)북동 방향의 Dk-I 암맥을 관입시켰으며, 후기단계에 북서 방향의 Fn+1 습곡을 형성시켰다. 주요 변형된 암석구조로는 밀착, 등사, 층간습곡, 부딘구조, 부딘의 ${\sigma}$-형 내지 ${\delta}$-형 구조, 비대칭습곡, C' 전단띠 등이 있다. Dn+2 변형은 (북)북서-(남)남동 방향의 압축응력에 의해 전기단계에 북서 방향의 Dk-II 암맥을 관입시켰으며, 후기단계에 북동 방향의 Fn+2 습곡을 형성시켰다. 주요 변형된 암석구조로는 개방습곡과 습곡된 부딘구조 등이 있다. Dn+3 변형은 Dk-I과 Dk-II의 암맥들과 Fn+2 습곡축면을 절단하는 Dk-III의 암맥을 관입시켰다. Dn+4 변형은 상반이 남남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북북동 방향의 좌수향 역이동성 사교이동 단층을 형성시켰다. 송강리 지질노두에서 인지되는 이러한 다섯 번의 변형작용은 송강리지역 뿐만 아니라 보다 광역지역 구성암류의 분포 및 지질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결과는 영남육괴의 소백산지구와 경상분지의 경계부와 그 주변부의 구성암류가 경험한 지질구조 및 그 발달사를 규명하고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