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Investment Decision-making Factors of Informal Investors for Start-up Investment

비공식투자자의 창업기 투자의사결정요소 연구

  • 김태년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 박선영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 송영화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Received : 2018.09.07
  • Accepted : 2018.09.19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e startup, which is a common noun to start a small business, has been recently one of main targets for policymakers due to its important role for job creation and considerable potential for sustainability of an economy. However,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decreased by 5.0% p from 2013 to 2016. The revitalization of entrepreneurial investment promoted by the government is mainly supported in fruitable venture companies at grow stage or 2~3 years before IPO through venture capital firms and angel funds. It is far from an investment at start-up.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motivate private investment to be active in the private start-up sector. In addition, the start-up investment requires institutional support and government support to meet the expectations of investors about the possibility of payback and profitability of private investment invested in the founding period. As a small entrepreneur at a comparably early stage in the lifecycle of business, investments for the startup are generally made by informal investors such as family, friends and fools, and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es are relatively non-programmed compared with ones for listed corporales such as venture capital and angel fund agency.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decision making factors in investment, and verifying an impact of such factors, specifically the possibility of investment payback and investment profitability, in a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startup especially at the very early stage.

창업은 국가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고용창출 효과가 크므로 국가는 창업활성화의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창업은 2016년 현재 2013년 대비 오히려 5.0%p 감소하였다. 정부가 추진하는 창업투자활성화는 벤처캐피탈과 엔젤 펀드들을 통해 창업 이후 성장기 또는 주식상장 2~3년 전의 유망한 벤처기업들에 주로 투자되며, 실제적으로 창업기의 투자와는 투자의 시기적 차이가 있고, 이러한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의사결정요소에 관한 연구는 많다. 창업활성화는 민간의 창업투자가 활발하도록 환경조성이 필요하며 창업기에 투자하는 민간 투자금의 현금화 가능성과 수익성에 관해 투자자들의 기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창업기에는 창업자, 가족, 친구, 바보들 등의 비공식투자자들에 의해 투자되고 공식투자자들인 벤처캐피탈 및 엔젤펀드 등의 전문투자에 비해 비정형화된 투자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비공식투자자의 특성과 투자의사결정요소, 그리고 투자금의 현금화 가능성 및 투자수익성이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현금화 가능성은 자영업창업의 투자의도에 매개효과가 있고, 투자수익성은 기업창업의 투자의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GEM보고서, p.11, 2017
  2. 중소벤처기업부, "벤처투자_고용창출_효과분석_결과_발표(벤처투자과)," pp.1-3, 2018(8).
  3. 안수진, "소상공업의 일자리 창출효과분석," 한국창업학회, 제1권, 제1호, pp.214-231, 2006(6).
  4. Jon Hoyos Iruarruzaga, "The informal investment context," Investigaciones Regionales, Vol.26, pp.179-198, 2013.
  5. 이장우, 장수덕, 이병열, 창조경제에서의 기업가 정신과 창업, 법문사, 2014.
  6. Stephen G. Morrissette, "A profile of angel investors," The Journal of Private Equity, Summer, Vol.10, No.3, p.52, 2007. https://doi.org/10.3905/jpe.2007.686430
  7. 구경철, AHP를 활용한 벤처캐피탈의 투자결정 모형 도출 및 타당성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8. Andrew I. Maxwell, "Business angel early stage decision making," Journal of Venturing, Vol.26, No.2, pp.212-225, 2009.
  9. Mason and Harrison, "The Role of Trust in the Informal Investor's Investment Decision,"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21, No.4, 1997.
  10. van Osnabrugge, "Angel Investing:Matching Startup Funds with Startup Companies," John Wiley&Sons, pp.2-448, 2000(5).
  11. Sudeck, "Angel Investment Criteria," Journal of Small Business Strategy, Vol.17, No.2, p.89, 2006(9).
  12. 중소벤처기업부, "2018년도 중소-벤처기업 지원 사업," 2018.
  13. 이동희, 국내 벤처캐피탈의 IT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