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ocal Economy and Local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Job Creation

지역경제와 지역대학: 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 김선재 (배재대학교 전자상거래학과)
  • Received : 2018.08.27
  • Accepted : 2018.09.04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conomy and local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job creation. The study estimates the impacts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expenditure in 2018 on the Korean industry using the 2014 input-output table releas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6.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production inducement was 30.2 trillion Won which reached 1.5 times of the total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expenditure 19.6 trillion Won. The effect of labor inducement was estimated to employ 35 thousand people.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inter-industries, the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activit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education sectors showed much higher effect of both production and labor inducement in the Korean industry. Therefore,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expenditure in Korea has to be focused on those industries in order to increase job creation effects from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본 연구는 지역경제와 지역대학의 산학협력효과를 일자리창출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도 한국의 산학연 연구개발사업이 국내 부문별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2014년 산업연관 연장표를 이용하여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를 추정하였다. 생산유발의 부문별 파급효과로는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 관련부문의 생산증가가 10조 6,130억 원, 교육서비스업 9조 5,080억 원, 정보통신 및 방송업 1조 2,500억 원, 전력, 가스, 및 증기업 8,990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렇게 유발된 생산증가액은 약 30.2조 원으로 최초 지출액의 약 1.5배로 추정되었다. 고용유발효과로는 역시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 부문이 13,691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교육서비스 부문이 13,026 명, 그리고 정보통신 및 방송업 부문이 1,287명의 순으로 총 35,000여명의 유발효과를 보였다. 이들의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2018년도 정부의 산학연 연구개발사업비 지출로 연간 창출되는 생산과 고용창출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분야는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분야, 교육, 정보통신 및 방송업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학연 연구개발사업은 일자리창출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는 이들 첨단산업기술 분야에 지역대학과의 산학연 협력을 통하여 일자리 창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재, 이영화, 임광혁, "인적자본형성으로서의 교육투자와 경제성장과의 관계: OECD 비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315-325,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315
  2. P. Romer,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8, No.5, pp.71-103, 1990. https://doi.org/10.1086/261725
  3. C. Jones, "R&D-Based Models of the Economics of Religion,"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36, Sep. pp.1465-1496, 1995.
  4. 김선재, 이영화, "한국 공공부문의 R&D 투자가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제28권, 제1호, pp.71-88, 2015.
  5. 한국은행, 2014년 산업연관표, 한국은행, 2016.
  6. 기획재정부, 2018년 국가재정운용계획, 2018.
  7. 교육부, 2018년도 교육부 예산안, 2018.
  8. 교육부,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각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