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the Improvement and Operation of R&D Project Management Process

R&D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개선 및 운영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연구

  • 이설빈 (경상대학교 산업경영학과)
  • Received : 2018.08.10
  • Accepted : 2018.08.27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improvement and operation of R&D project management process. To achieve this, an empirical survey was carried out to small companies specializing in technology-centered R&D. First, 12 evaluation indicators showed that there was a deviation of more than 2 times from the highest score of 60.77 to the lowest score of 30 in integrated management, which the R&D project management process needs to be selectively used for the improvement and operation. Second, the difference in industry showed that the biotech industry was the highest, while the chemical, electrical and electronic industries were the lowest. Third,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employees showed that companies with 50~100 employees were relatively high, while small companies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were somewhat low. Fourth, the difference in career showed that 5~7-year career was relatively high, while 7~10-year career was somewhat high. Overall,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improvement and operation of R&D project management processor showed that integrated management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communication management, risk management, and time management. This implies that small companies specializing in technology-centered R&D need to concentrate on the importance of efficient integrated management and rapid decision-making and risk management among individual participation subjects.

본 연구는 R&D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개선 및 운영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 하는 국내 중소기업체를 대상으로 실증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2개 평가 지표에 있어 최고 점수인 통합 관리의 60.77점에서부터 최저 점수인 30점대까지 무려 2배 이상의 편차를 보여 R&D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및 개선 운영을 위해 선별적 사용이 요구된다. 둘째, 업종별 차이 검정 결과 바이오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과 전기전자산업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종업원 규모별 차이 검정 결과 50~100인 미만이 중소기업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100인 이상 규모에서는 다소 낮은 차이를 보였다. 넷째, 경력별 차이 검정 결과 5~7년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7-10년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R&D 프로젝트 프로세스 개선 운영을 위한 평가 지표 검정 결과 통합관리, 의사소통관리, 리스크관리, 시간관리의 4가지 요인의 순으로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효율적인 통합관리의 중요성과 각 개별 참여 주체간의 빠른 의사결정과 위험관리에 중심을 두고 집중관리가 요구됨을 시사해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PMI,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PMBOK Guide)-Fourth Edition,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2008.
  2. 신학수, 전사적 프로젝트경영을 위한 건설 프로젝트관리 성숙도 모델 개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 J. R. Turner, The handbook ofproject-based management: improving the processes for achieving strategic objectives, McGraw-Hill, 1992.
  4. J. Jurison, "Software Project Management: the manager's view," Journal Communications of the AIS, Vol.2, No.3, pp.3-12, 1999.
  5. C. Gary, "Attribution and reciprocity in an experimental labor market," Journal of Labor Economics, Vol.22, No.3, pp.665-688, 2004. https://doi.org/10.1086/383111
  6. 정규성, 최종화, 임춘성, "공급자 및 수요자 관점의 IT프로젝트 성과평가 영역 및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제2005권, 제5호, pp.403-409, 2005.
  7. 김승철, 이재성, 글로벌 스탠다드 프로젝트 경영, 한경사, 2010.
  8. 김웅기, 강창욱, "프로젝트 조직구조형태에 따른 구성원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차이분석," 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학술대회, pp.85-96, 2012.
  9. 박인서, 김성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프로젝트 관리방법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경영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455-486, 2015.
  10. 프로젝트경영(PM)공동발전추진위원회, "예산절감과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국책사업에 프로젝트 경영 제도 도입," 정책 건의서, 2013.
  11. 이용규, 조무관, 김승철, "프로젝트 수행단계별로 본 리더십 유형의 영향: 국가 R&D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프로젝트경영연구, 제3권, 제1호, pp.109-121, 2013.
  12. 손권일, 프로젝트 발주담당자 개인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3. 민택기, "프로젝트관리 성숙도별 리스크관리 적용,"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34권, 제2호, pp.19-29, 2011.
  14. 김은홍, 김화영, "SI 프로젝트에 있어서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량과 리더십 유형이 프로젝트 성과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과학학회, 제31권, 제4호, pp.157-179, 2006.
  15. 이설빈, 부제만, 김승철, "프로젝트 관리자의 리더십이 참여자 개인 역량과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5호, pp.175-188, 2016.
  16. 엄혜미, 개인의 창의적 특성과 프로젝트 특성의 적합이 R&D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7. 지선희, 손권일, 김승철, "프로젝트관리 지식이 SI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프로젝트경영연구, 제2권, 제2호, pp.17-33, 2012.
  18. 목성균, CMMI 적용 조직에서의 OPM3 구현 방안, 한국프로젝트관리기술회, 2005.
  19. 박순규, 프로젝트 통합관리, 프로젝트 일정관리, 프로젝트 범위관리, 프로젝트 원가관리, 프로젝트 품질관리, 프로젝트 인적자원 관리,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 프로젝트 위험관리, 프로젝트 조달관리, 대한전기협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