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김정자,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예, 이상배 (2015). 통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4A039.
- 고은성 (2012). 통계적 변이성 사고 요소 간의 관계 연구. 학교수학, 14(4), 495-516.
- 고은성, 강현영, 신보미, 이자미, 하병수, 정승호, 지영명, 김은하, 홍창섭, 탁병주 (2017). 실용통계 교육을 위한 교사용 가이드북.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8].
- 교육과학기술부 (2013a). 수학 2-1. 서울: 천재교육.
- 교육과학기술부 (2013b). 수학 2-2. 서울: 천재교육.
-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 교육부 (2017a). 수학 2-1. 서울: 천재교육.
- 교육부 (2017b). 수학 2-2. 서울: 천재교육.
- 교육부 (2017c). 수학 2-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 김상룡 (2009). 초등 통계 교육의 문제점 및 그 해결방안. 초등수학교육, 12(2), 133-143.
- 박경미 외 43인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연구보고 BD15120005, 한국과학창의재단, 서울.
- 박영희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 방정숙, 유은서, 김유경 (2016). 통계 내용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정보처리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3), 499-519.
- 배혜진, 이동환 (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 신보미 (2014). 교사들의 수업 분석 특징에 대한 연구: 통계 지도를 위한 교사 지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6(3), 519-542.
- 우정호 (2000).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학교수학, 2(1), 1-27.
- 우정호 (201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하).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이영하 (2014). 인문학으로 풀어 쓴 통계교육 원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이영하, 태성이 (2009). 수학과 수학교육학의 학문학적 비교연구: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9(4), 493-511.
- 탁병주 (2017).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통계 교수 지식 연구: 표본 개념 지도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탁병주, 이경화 (2017).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2), 269-289.
- Ben-Zvi, D., & Garfield, J. (2010). 통계적 소양, 추론, 사고: 목표, 정의, 난제. In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지은정, 고은성, 강현영, 신보미, 이동환, 이은경, 이정연, 박민선, 박미미 역) (pp. 3-17).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4년 출판).
- delMas, R. C. (2002).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learning: A commentary.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10(3). [Online]
- Franklin, C. A., Bargagliotti, A. E., Case, C. A., Kader, G. D., Scheaffer, R. L., & Spangler, D. A. (2015). The statistical education of teachers.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 Franklin, C. A., Kader, G. D.,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report.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1-25. https://doi.org/10.1111/j.1751-5823.2002.tb00336.x
- Garfield, J. B., & Ben-Zvi, D. (2008). Developing students' statistical reasoning: Connecting research and teaching practice. New York: Springer.
- Konold, C., & Higgins, T. (2002). Highlights of related research. In S. J. Russell, D. Schifter, & V. Bastable (Eds.), Developing mathematical ideas: Working with data (pp. 165-201). Parsippany, NJ: Seymour Publications.
- MacKay, R. J., & Oldford, W. (1994). Stat 231 course notes (fall 1994). Waterloo: University of Waterloo.
- Makar, K., & Rubin, A. (2009). A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informal statistical inference.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8(1), 82-105.
- Moore, D. S. (1992). Teaching statistics as a respectable subject. In F. Gordon & S. Gordon (Eds.). Statistic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pp. 14-25).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ation of America.
- Moore, D. S., & Cobb, G. (1997). Mathematics, statistics, and teaching.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4, 801-823. https://doi.org/10.1080/00029890.1997.11990723
- Moore, D. S., & Notz, W. I. (2009). 논쟁거리로 배우는 통계학 (심규박, 조태경, 신미영 역).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영어 원작은 2006년 출판).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0년 출판).
- Pfannkuch, M., & Wild, C. (2010). 통계적 사고의 이해. In D. Ben-Zvi & J. Garfield (Eds.).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이경화, 지은정, 고은성, 강현영, 신보미, 이동환, 이은경, 이정연, 박민선, 박미미 역) (pp. 19-54).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4년 출판).
- Remillard, J. T., & Heck, D. J. (2014). Conceptualizing the curriculum enactment process in mathematics education. ZDM, 46(5), 705-718. https://doi.org/10.1007/s11858-014-0600-4
- Sullivan, P., Askew, M., Cheeseman, J., Clarke, D., Mornane, A., Roche, A., & Walker, N. (2015). Supporting teachers in structuring mathematics lessons involving challenging task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8(2), 123-140. https://doi.org/10.1007/s10857-014-9279-2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2005). Education for all: Literacy for life. Paris: Author.
- Wallman, K. K. (1993). Enhancing statistical literacy: Enriching our socie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8, 1-8.
- Watson, J. M. (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박영희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6년 출판)
- Weiland, T. (2017). Problematizing statistical literacy: An intersection of critical and statistical literac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6(1), 33-47. https://doi.org/10.1007/s10649-017-9764-5
- Wild. C. J. (2006). The concept of distribution. Statis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5(2), 10-26.
- Wild, C. J.,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48. https://doi.org/10.1111/j.1751-5823.1999.tb0044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