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서산 대산항은 서해 중부권의 거점항만으로 31개 무역항 중 전체화물 처리량 6위, 유류화물 처리량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의 거점항만으로 액체화물 뿐만 아니라, 벌크, 컨테이너 화물 등의 처리 그리고 향후 여객의 수송까지 담당하며 서산시의 새로운 부가가치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부산항, 인천항, 광양항 등에 비해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며, 특히 중장기적 관점에서 서산 대산항의 발전전략 방향을 제시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급변하는 미래를 대비하여 서산 대산항의 역할을 진단하고, 단 중기와 장기의 두 가지 측면에서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AHP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발전전략을 크게 운영 활성화, 인프라 구축, 정책 지원으로 설정하고, 항만이용자, 학자, 정책입안자 등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 중기적 관점에서는 '운영 활성화'(0.493)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선정된 반면, 장기적 관점에서는 '인프라 구축'(0.437)이 더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세부 항목별로는 단 중기의 경우 지속가능한 컨테이너 화물 유치, 다목적 부두 건설, 대산항 관리부두 건설, 대중국 국제여객선 정기항로개설의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한편 장기적 관점에서는 항만배후단지 조성, 석유화학산업 클러스터 구축, 자동차산업 클러스터 구축, 항만관리체계 개선의 순으로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산 대산항의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각 전략별 단계별 이해관계자별로 세부적 실천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며,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속적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Seosan-Daesan Port is a representative trade port in Chungnam, and has the sixth largest total cargo throughput and the third largest oil cargo throughput in Korea. However, research on this port's development is lacking relative to that for Busan Port, Incheon Port, and Gwangyang Port, and no study exists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Seosan-Daesan Port.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role of Seosan-Daesan Port in preparation for a rapidly changing future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that should be established. Using the AHP, a development strategy is provided for Seosan-Daesan Port from short/mid-term and long-term viewpoints for three aspects: operation activati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policy support. Operation activation is chosen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rom a short/mid-term viewpoint, whereas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s recognized as important from a long-term viewpoint. Specifically, from a short/mid-term viewpoint, sustainable container cargo attraction, multipurpose dock construction, management pier construction, and opening of international passenger ferry lines are important factors while from the long-term viewpoint, hinterland construction, petrochemical industry cluster construction, automobile industry cluster construction, and management improvement system are important. Establishing action plans for each strategy and a cooperative network for sharing goals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