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Single Elderly Households

고령자 1인 가구의 스트레스와 우울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Kim, Seok-hwan (Department of Health Care Administration, Seoyoung University Paju campus) ;
  • Kim, Eun-yeob (Department of Health Care Administration, Seoyoung University Paju campus)
  • 김석환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보건의료행정과) ;
  • 김은엽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보건의료행정과)
  • Received : 2018.05.11
  • Accepted : 2018.06.28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Objec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one elderly househol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I tried to make a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one elderly. Methods: In this stud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ne elderly household were frequency analyzed.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stress, depression,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on average. And continuous analysis of stress, depression, quality of life, etc., conducted a technical analysis. Relationship to stress, depression, quality of life,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The effect of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was linear regression analysis. SPSS Version 23.0 was used for analysis. Result: Increased stress and increased depression in elderly single households was a static (+) correlation. A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tress and depression of one elderly household,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Conclus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one elderly househol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stress and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s according to sex, age, number of chronic diseases.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남, 지영주. 한국노인의 식품안정성과 우울, 삶의 질.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7;7(7):575-582.
  2. 김귀분, 석소현. 노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008;20(2):146-155.
  3. 김명화. 한국의 지역사회 거주노인들에게 있어서 우울증, 만성질환, 일상생활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4;14(5):190-198.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190
  4. 김분한, 김윤숙, 전혜원.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구조. 성인간호학회지 2007;19(5):92-103.
  5. 김은하, 이지원.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및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009;29(2): 425-440.
  6. 김형기.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7;18(12):443-451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443
  7. 김시월, 조향숙. 중 고령자 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와 재정, 건강, 심리 상태와의 관계. Financial Planning Review 2012;5(3):89-116.
  8. 김태현, 한은주.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04;9(3):81-106.
  9. 김영주.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2009;16(3):333-344.
  10. 김형기.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7;18(12); 443-451.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443
  11.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index/index.do 2017. 2018.06.25.검색.
  12. 권오균, 허준수.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 인과모형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13;41(4):65-93.
  13. 남일성, 염소림.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 규칙적 운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013;62:109-126.
  14. 문성미. 노인의 사회경제적 상태, 건강상태, 건강행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_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2017;15(6):259-271. https://doi.org/10.14400/JDC.2017.15.6.259
  15. 박정숙, 오윤정. 농촌노인의 건강문제와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14(2):274-286.
  16. 박지은 외 0명. 독거 노인이 경험하는 우울증상의 특성 : 희망 없음(Hopelessness)과 지루함(Boredom). 노인정신의학 2012;16:97-103.
  17. 서순림, 김미한. 독거노인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 한국노년학 2014;34(4):705-716.
  18. 서은주, 차남현. 융합시대의 일 지방 독거노인의 일상생활동작과 스트레스.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14(7):251-258. https://doi.org/10.14400/JDC.2016.14.7.251
  19. 서인균, 고민석. 학대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사회연구 2011;31(1):127-157.
  20. 서인균, 이연실. 독거노인의 사회적 자원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농촌과 도시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016;71(2):219-247.
  21. 서인균, 조혜정.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2013;61: 135-162.
  22. 송희승. 노인의 우울, 걷기,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걷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14(8):515-525. https://doi.org/10.14400/JDC.2016.14.8.515
  23. 안제용, 서은란, 임경희, 신재현, 김정범.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표준화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2013;19(1):47-56.
  24. 양성지. 노인들의 신체운동 참여와 사회자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2018;57(1):23-36.
  25. 오인근. 독거여성노인의 스트레스가 무망감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건강증진행위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012;17(4):237-255.
  26. 원미라, 이광자.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증 경험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016;25(3):195-206.
  27. 이강일, 이종훈. 장기요양기관 노인의 일상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17;8(6):325-336. https://doi.org/10.15207/JKCS.2017.8.6.325
  28. 이신숙, 김성희. 농어촌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지역발전연구 2011;11(1):23-60.
  29. 장영은, 김신열. 독거노인의 사회자본과 스트레스. 인문사회 21 2015;6(3):441-464.
  30. 정경희. 노년기 독거 현황과 정책적 대응 전략. 보건.복지 Issue&Focus 2015.
  31. 지영주, 김경남. 노인의 신체활동, 정신건강과 삶의 질.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7;7(5):625-632.
  32. 추진아, 김은경. 지역사회 저소득층 노인의 연령주기별 주관적 건강지각 관련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 16(3):1615-1628.
  33. 최연희, 김수현. 재가 노인의 우울에 따른 자살 생각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008;28(2):345-355.
  34. 통계청. http://kostat.go.kr/ 2017. 2018.06.25.검색.
  35. 하경분, 송선희.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3;13(7):278-28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78
  36. 한혜경, 이유리.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2009;29(3):805-822.
  37.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www.mois.go.kr/frt/sub/a05/ageStat/screen.do 2018. 2018.06.25.검색.
  38. 홍은희, 김순애, 이주영. 이웃사랑봉사단 활동을 경험한 독거노인의 삶의 질과 스트레스의 상관 관계.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2017;19(2):101-106. https://doi.org/10.12812/ksms.2017.19.2.101
  39. Andersson L, Stevens N. Associations Between Early Experiences With Parents and Well-being in Old Age. Journal of Gerontology 1993;48(3):109-116. https://doi.org/10.1093/geronj/48.3.P109
  40. Han C, Jo SA, Kwak JH, Pae CU, Steffens D, Jo I, Park MH. Valida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Korean ver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Ansan Geriatric study. Compr Psychiatry 2008;49(2):218-23.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07.08.006
  41. Krause N. Lifetime trauma, emotion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Gerontologist 2004;44(5):615-23. https://doi.org/10.1093/geront/44.5.615
  42. Park SM. Health status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elderly: the role of living arrangement. Journal of Mental Health 2014;23(2):94-98. https://doi.org/10.3109/09638237.2013.869569
  43. Segulin N, Deponte A. The evalua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 modificat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7;44(2):105-112. https://doi.org/10.1016/j.archger.2006.04.002
  44. West SG, Finch JF, Curran PJ.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Ed.), Structual equation modeling: Co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Newbury Park, CA: Sage, 1995. pp.5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