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splacement of Mobile OTT Video Services on Home TV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 이용이 홈 TV 시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주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 Received : 2018.06.25
  • Accepted : 2018.07.30
  • Published : 2018.08.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obile OTT video service substitutes home TV by using 3 screen data of Nielson-KoreanClick. According to the 2SLS estimation results, when the time spent on mobile OTT video service increased by 1% p, the time spent watching home TV decreased by 12.4%.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1%p increase in the time spent using YouTube app and the mobile OTT video services provided by telecommunication company(Oksusu, Alleh TV, VideoPortal) reduced the time spent on watching terrestrial channels on TV by 16.2% and 23.9%, respectively. The displacement of mobile OTT video service on home TV will be accelerated in the near future.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 of regulatory unfairness with pay TV services and to safeguard viewer's interests, discussions to establish regulation for OTT video services should be taken place more quickly.

본 연구는 닐슨-코리안클릭사의 3 screen data를 이용하여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 이용이 홈 TV 시청을 대체하는지 여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시간이 1% p 증가하면 홈 TV 시청시간이 12.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튜브나 통신 3사가 제공하는 OTT 동영상 서비스(Oksusu, Alleh TV, 비디오포털)의 이용시간이 1%p 늘어나면 지상파 채널 시청시간이 각각 16.2%와 23.9%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향후 모바일 OTT 동영상 서비스의 홈 TV 대체 양상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유료방송 산업과의 규제 형평성 논란을 해소하고 시청자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OTT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규제 범위와 수준에 관한 논의가 보다 신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업자 측면에서는 콘텐츠의 차별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결합상품을 제공하는 등 요금제의 다양화 전략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배기형, OTT 동영상 서비스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2. 이선미, 류성일, 성승창, 모바일 영상시대! 그 의미와 시사점, KT 경제경영연구소, 2013(6).
  3. 황용석, "국내외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이용 행태," 방송트랜드 & 인사이트, 통권 제3호, pp.19-26, 2015.
  4. 황성연, "N Screen 이용행태와 시사점," 스마트 TV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 2014(10).
  5. 김형지, 김정환, 정세훈, "스마트폰 이용이 기존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1권, 제1호, pp.88-119, 2013.
  6. 최민재, "스마트폰 방송 및 동영상 서비스의 가정 TV 시청 대체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3호, pp.172-205, 2013.
  7. 한윤, 이상우, "N 스크린 서비스와 홈TV간 대체 및 보완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국내 대표 N스크린 서비스인 티빙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144-15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144
  8. S. Jang and M. Park, "Do New Media Substitute for Old Media?: A Panel Analysis of Daily Media Use,"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29, No.2, pp.73-91, 2016. https://doi.org/10.1080/08997764.2016.1170021
  9. 강미은,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여름호, pp.179-208, 2000.
  10. 황용석, "시간과 공간의 맥락에서 본 텔레비전과 인터넷 이용의 상호관계성 탐구,"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59호, pp.309-338, 2004.
  11. 이광훈, "스마트 환경 하에서 미디어 대체에 대한 실증 분석: 인터넷과 TV를 중심으로," 제1회 한국미디어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157-168, 2013.
  12. M. L. James, C. E. Worting, and E. J. Forrest, "An exploratory study of the perceived benefits of electronic bulletin board use and their impact on the other communication activiti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9, pp.30-50, 1995. https://doi.org/10.1080/08838159509364287
  13. D. A. Ferguson and E. M. Perse, "The World wide web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4, No.2, pp.155-174, 2000.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402_1
  14. J. M. Kayany and P. Yelsma, "Displacement effects of online media in the socio-technical contexts of household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4, No.2, pp.215-229, 2000.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402_4
  15. 이광훈, "인터넷 이용의 TV 시청에 대한 영향력의 정량적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3호, pp.128-158, 2009.
  16. 유세경, "텔레비전과 인터넷 이용 행위의 상호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3권, 제8호, pp.475-520, 2004.
  17. J. Kim, S. Kim, and C. Nam, "Competitive dynamics in the Korean video platform market: Traditional pay TV platforms vs. OTT platform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3, No.2, pp.711-722, 2016. https://doi.org/10.1016/j.tele.2015.06.014
  18. S. Y. Lee, S. W. Lee, and C. Kim, "Time displacement effect of online video services on other media in South Korea,"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3, No.2, pp.247-255, 2016. https://doi.org/10.1016/j.tele.2015.08.002
  19. 이승엽, 이상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유료방송에 대한 대체현상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0권, 제4호, pp.73-103, 2013.
  20. 함민정, 신유진, 이상우, "OTT 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124-13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124
  21. 이선희, 온라인 동영상 제공 서비스(OTT) 이용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소 KISDI Stat Report 18-08, 2018.
  22. 이종원, 주성희, 곽동균, 육은희, 매체 및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방송법제 대응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