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in school lives and Family Protection Factors focusing on youths in single-parent families

한부모가족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학교적응유연성과 가족보호요인의 상관성 연구

  • Received : 2018.06.13
  • Accepted : 2018.07.10
  • Published : 2018.07.31

Abstrac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suppor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flexibility, and the following is family function. Second, the effect of family protection factors on the interest in the school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family support.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the achievement of the family,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the family support, and the family function were not found to be influential.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pliance with school norms,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family function, the better the adherence to school norms.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parents was significant. This was to know how important parental relationship,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are in the adjustment of single parent families.

본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지가 학교적응유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가족기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보호요인이 학교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수가 되는 부모와의관계, 가족지지 모두가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보호요인이 학업성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모와의 관계, 가족지지, 가족기능의 변수들이 특별히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밝혀지지 않았다. 넷째, 가족보호요인이 학교규범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가족기능이 좋을수록 학교규범준수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부모가족 청소년은부모와의 관계와 가족기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있어 부모와의 관계, 가족기능, 가족지지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우 외(2012). 가족복지론. 서울: 창지사.
  2. 김근홍 외(2013). 사회문제론. 서울: 신정.
  3. 김민강(2009).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탐색".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보기 외(2016): 최신사회문제론. 파주. 양서원.
  5. 김지미 외(2016). 사회문제론, 파주. 경기: 정민사.
  6. 박용순 외(2014). 사회문제론, 서울: 학지사, 2014.
  7.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신명희 외(2013).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9. 이가은(2008). "이혼가정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소희 외(2005). 청소년복지론. 서울: 나남.
  11. 장경아(2008). "한부모 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가족보호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혼가정을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조흥식 외(2010).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13. 통계청(2017), 2016 인구주택총조사 .
  14. 통계청(각 연도), 인구동향조사 .
  15. 최일섭․최성재(2004).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
  16. 표갑수(2014).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 2014.
  17. 한미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18. 현승일(2012). 사회학. 서울:박영사.
  19.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1977, 37 : pp. 122-147.
  20. Garmezy, N. Children in poverty. Psychiatry, 1993, 56 : pp. 127-136. https://doi.org/10.1080/00332747.1993.11024627
  21. Gelman, D. Themiracleofresiliency. Newsweek, 1991, 117(26) : pp. 44-47.
  22. Giddens, A. Sociology, Cambridge : Polity Press, 2013.
  23. Rutter, M. Commentary: Some fous and Process considerations regarding effects of Parental depression on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990, 26 : pp. 60-67 https://doi.org/10.1037/h0092669
  24. Santrock, J. W.& Warshak, R. A. Father custody and social development in boys and girls, Journal of SocialIssues, 1979, 35 : pp. 11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