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ew of Human Beings in Daesoon Thought viewed from the Perennial Philosophy: Focusing on Kant's Anthropology

영원의 철학(The Perennial Philosophy)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 칸트의 인간학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05.08
  • Accepted : 2018.06.16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ain concepts of human beings established by the saints and wise men in the Perennial Philosophy, and to reveal that the human view of Perennial Philosophy is consistent with the view of human beings of Daesoon Thought. In addition, Kant, who synthesizes Western modern philosophy, also sets out the ultimate goal of his philosophy of identifying human beings, wherein Kant asks what human beings are. The view of human beings in the Daesoon Thought reveals one kind of answer that can be given to Kant's anthropological question. If we compare this idea with that of the Western world (a Kantian view of humanity) based on this Perennial Philosophy, the characteristics of Daesoon Thought can be revealed clearly. Kant set the ultimate goal of his philosophy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man?" With regards to this, he posits four questions: 1) What can I know? 2) What should I do? 3) What can I hope for? 4) What are human beings? And Kant says that the fourth question (related to anthropology) involves three other questions. However, he does not offer up his own definition of human existence anywhere in his works. He regarded humans as being rational, and he did not think that humans had any special cognitive ability to intuit into humanity itself. In the end, Kant leaves the human being as a sort of unknown entity.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Perennial Philosophy) can provide a straightforward answer to Kant's question. This possible is because human beings in Daesoon Thought are not seen as different from the Dao (道) or deities (神), which can be called the essence of ultimate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Daesoon Thought, humans have divine cognitive abilities. In Perennial Philosophy, this could be the best way to simultaneously lead the object of mind and cognition to the divine Ground. Humans have special cognitive or perceptual abilities. The ultimate identity of every person is God. The realization of the divine being by finding one's true nature as a human being (the self) and the essence of the enlightenment of those who have shown this special intellectual intuition through training are both outcomes found at the core of perennial philosophy. These can be expressed clearly and obviously through the essence of Daesoon Thought.

본고의 목적은 인간관을 중심으로 영원의 철학에서 성인·현자, 사상가들이 정립한 주요 개념들을 살펴보고, 영원철학의 인간관이 대순사상의 인간관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이다. 아울러, 서양 근대 철학을 종합한 칸트 역시 자신의 철학의 궁극적인 목표를 인간을 규명하는 데 두고 있는데, 대순사상의 인간관이 칸트가 인간학에서 제기했던 물음에 어떤 답변을 줄 수 있는가를 구명한다. 이렇게 영원한 철학을 근거로 대순사상과 서구의 그것(칸트의 인간관)을 비교해 보면, 대순사상의 특징이 극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칸트는 자신의 철학의 궁극적인 목표를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데 두었다. 그는 네 가지 물음을 던진다. 1)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2) 나는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3)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4) 인간은 무엇인가? 그리고 네 번째 물음(인간학)이 다른 모든 물음을 집약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저작 어디에서도 인간 존재를 규정짓지 못한다. 그는 인간을 이성적 존재로 보았으며, 인간이 인간 자신을 직관할 수 있는 어떤 특별한 인식능력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결국 칸트는 인간 자신을 알 수 없는 존재로 남겨 놓는다. 반면에, 대순사상(영원의 철학)의 관점에서는, 칸트의 물음에 직설적인 답을 줄 수 있다. 대순사상의 인간은 본질적으로 궁극적 실재라고 할 수 있는 도(道) 혹은 신(神)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은 신적 인식이 가능한 존재다. 영원의 철학에서도 '마음과 인식의 대상을 동시에 신성한 근본으로 이끄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하였다. 모든 사람의 궁극적인 정체성은 바로 신(神)이며, 실존하는 인간을 통해 궁극적 존재가 현실에 구현된다. 인간은 특별한 인식 능력 혹은 지각 능력을 갖추고 있다. 실천 수행을 통해 이 특별한 지적 직관을 발휘했던 사람들의 깨달음의 정수를 모아 놓은 것이 바로 영원 철학이며, 그 요지를 대순사상에서는 간명하게 표현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74.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3. 『대순진리회요람』,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69.
  4. 고병철, 「대순진리회의 인간관」, 『대순사상논총』 28,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8.0.1
  5. 김대현, 「대순사상에 나타난 인간 주체에 관한 연구-인존 개념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6.0.111
  6. 김진. 한자경, 『칸트: 인간은 자연을 넘어선 자유의 존재다』, 파주: 21세기 북스, 2015.
  7. 대순종학 교재연구회, 『대순사상의 이해』, 포천: 대진대학교출판부, 2003.
  8. 마르틴 하이데거, 『칸트와 형이상학의 문제』, 이선일 옮김, 파주: 한길사, 2001.
  9. M. 쉘러, 『우주에서의 인간의 지위』, 최재희 옮김, 서울: 대한교육연합회, 1973.
  10. 문성학, 『칸트의 인간관과 인식존재론』,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2007.
  11. 미카엘 란트만, 『철학적 인간학: 역사와 현대에 있어서 인간의 자기해명』, 진교훈 옮김, 서울: 경문사, 1985.
  12. 박정진, 『선도와 증산교』, 서울: 일빛, 1992
  13. 에르빈 라슬로, 『과학, 우주에 마법을 걸다: 현실에 대한 통합적 비전의 등장』, 변경옥 옮김, 서울: 생각의 나무, 2007.
  14. 에머리히 코레트, 『철학적 인간학』, 진교훈 옮김, 서울: 종로서적, 1989.
  15. 오강남, 『또 다른 예수』, 고양: 예담, 2009.
  16. 이경원, 『한국 신종교와 대순사상』, 서울: 문사철, 2011.
  17. 이경원, 『대순진리회 교리론』, 서울: 문사철, 2013.
  18. 장병길, 『대순진리강화 II』,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9.
  19. 진교훈, 『철학적 인간학연구1』, 서울: 경문사, 1988.
  20. 켄 윌버, 『현대물리학과 신비주의』, 박병철. 공국진 옮김, 서울: 고려원미디어, 1990.
  21. 켄 윌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용기』, 김재성. 조옥경 옮김, 서울: 한언, 2006.
  22. 켄 윌버, 『감각과 영혼의 만남: 새천년 영성의 시대를 위한 과학과 종교통합의 길』, 조효남 옮김, 고양: 범양사, 2007.
  23. 폴 데이비스, 『현대물리학이 탐색하는 신의 마음』, 과학세대 옮김, 서울: 한뜻, 1994.
  24. 한자경, 『칸트 철학에의 초대』, 파주: 서광사, 2006.
  25. 한자경,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파주: 서광사, 2009.
  26. 한자경, 『자아의 탐색』, 파주: 서광사, 2012.
  27. 허 훈, 『영원한 철학』, 서울: 울력, 2013.
  28. 허 훈, 『한눈에 보는 세계철학사』, 서울: 양철북, 2015.
  29. 허 훈,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으로 본 대순사상의 신관」, 『대순사상논총』 25, 2015. https://doi.org/10.25050/jdaos.2015.25.2.177
  30. A. Huxley, The Perennial Philosophy, New York: Harper Perennial Modern Classics, 1990.
  31. A. Huxley, The Divine Within: Selected Spiritual Writings, New York: HarperPerennial, 2013.
  32. Alan M. Laibelman, The Other Perennial Philosophy: A Metaphysical Dialectic, Lanham: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0.
  33. Arthur Versluis, Perennial Philosophy, Minneapolis: New Cultures Press, 2015.
  34. Huston Smith, Forgotten Truth: The Common Vision of the World's Religions, New York: HarperSanFrancisco, 1992.
  35. Jane Roberts, Robert F. Butts, Seth Speaks: The Eternal Validity of the Soul, California: Amber-Allen Publishing, 1994.
  36. John Holman, The Return of the Perennial Philosophy: The Supreme Vision of Western Esotericism, London: WatkinsPub, 2008.
  37. John White, The Perennial Philosophy and the Future of America: Toward a United States of the World, Createspace, 2014.
  38. Martin Lings, Clinton Minnaar, The Underlying Religion: An Introduction to the Perennial Philosphy, Indiana: NatlBookNetwork, 2007.
  39. Norman Friedman, Bridging Science and Spirit: Common Elements in David Bohm's Physics, the Perennial Philosophy and Seth, WoodbridgeGroup, 1993.
  40. Richard Chartier Carnac Temple, "Pieter Bruegel and The elder and Esoteric Tradition", Ph.D. Dissertation, The Prince's School of Traditional Arts, University of Wales,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