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ison of American and Korean Experimental Studie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within a Multi-Tiered System of Supports

다층지원체계 중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실험연구 비교분석

  • Received : 2018.07.03
  • Accepted : 2018.12.14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mmarize the empirical literature on implementa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within a multi-tiered system of supports in American and Korean schools and to compare its key features and outcomes in an attempt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a Korean school-wide PBS model and implementation manuals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wenty-four American articles and 11 Korean articles (total 35 articles) that reported the outcomes of implementation of PBS at a tier 1 and/or tier 2, or tier 3 level and that met established inclusion criteria were analyzed using systematic procedures. Comparisons were made in the areas of key features and outcomes of PBS in addition to general methodology (e.g., participants, design, implementation duration, dependent measures) at each tier of PB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sitive outcomes for student behavior and other areas were reported across tiers in all American and Korean studies. At the tier 1 level, teaching expectations and rules were the primary focus of PBS in American and Korean schools. However, Korean schools focused on modifying the school and classroom environments and teaching social skills whereas American schools focused on teacher training on standardized interventions or curricular by experts and teacher support during implementation of PBS. At the tier 2 level, more American studies reported implementation of tier 2 interventions within school-wide PBS, and Check/In Check/Out (CICO)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ly used tier 2 intervention.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in comparison to Korean schools, American schools were more likely to use systematic screening tools or procedures to identify students who need tier 2 interventions and more likely to promote parental involvement with implementing interventions. At the tier 3 level, more Korean studies reported the outcomes of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but more American studies reported that design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 plans based on comprehensive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results and establishment of systematic screening systems were focused when implement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Furthermore, few Korean studies reported the assessment of procedural integrity, social validity, and contextual fit in implementing PBS across tiers, indicating the need for development of valid instruments that could be used in assessing these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일반학교에서 실행한 다층지원체계 중심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에 관한 실험연구 논문들을 비교분석하여 한국형 학교차원 PBS 모형 및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한국에서의 PBS 실행에 관한 연구 방향의 제시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학술 검색엔진을 통해 2005년부터 2018년까지의 PBS 실행 논문 중, 보편적 1차 지원, 또는 1차 지원을 실행하면서 2차 혹은 3차 지원을 실행한 한국의 연구 논문 11편과 미국의 연구 논문 24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연구특성(대상, 설계, 기간, 종속 변인 등)과 PBS의 주요특성 및 결과(대상자 선별과정, 중재 과정과 내용, 사회적 타당도 등)를 지원 차원 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의 모든 연구에서 PBS는 지원 차원을 막론하고 학생 행동과 기타 영역에서 긍정적 성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었다. 1차 지원의 경우 한국은 학교 또는 학급의 교육환경 수정과 사회적 기술교수에 초점을 둔 반면, 미국은 이 외에도 표준화된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교사훈련과 체계적인 교사지원에 초점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지원의 경우 미국은 한국에 비해 학교차원의 PBS 내에서 1차 지원과 함께 실행하고 있는 학교가 많았고, 주로 Check/In Check/Out(CICO)를 중재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대상 선별방법에서 보다 체계적인 선별도구나 절차를 사용하였고,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가정에서도 중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이를 보였다. 3차 지원의 경우, 미국은 종합적 행동기능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중재계획을 수립한 점과 선별방식이 체계화되었다는 점이 한국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다층지원체계 중심의 학교차원 PBS 실행을 위한 각 차원별 PBS 실행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 및 맥락적 적합성(contextual fit)에 대한 타당화된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 등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5A2A03068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