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iasing Factors in Self-Report Assessment of Bullying/Victimization: Examining Variability in Involvement Rates by Testing Conditions

자기보고식 괴롭힘 경험률 평가의 편향요인 탐색: 평가조건 변인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10.23
  • Accepted : 2018.12.21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e self-report assessment has been most commonly used to estimate bullying/victimization (B/V) rates in most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evalence studies. However, the presence of many potential biasing factors in such an assessment method, including specific operationalization/measurement strategies and testing conditions, has become an issue due to a considerable variability in reported involvement rates acros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self-reported B/V involvement rates on Olweus Bullying Questionnaire (OBQ) among 690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by gender and two different cut-offs (generous vs. strict cut-offs) and examined if the involvement rates were significantly varied by testing conditions such as presentation vs. omission of a precise definition of B/V, anonymous vs. non-anonymous/confidential administration, and the use of global vs. specific questions. Chi-square analyses revealed that boys displayed higher involvement rates on global measures of B/V and on items related to direct forms of B/V, with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specific measures of relational B/V rates. It was also found that a global rate of bullying and specific rates of verbal B/V were 111% to 157% higher when no definition was provided. However, anonymous vs. non-anonymous administration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rates of involvement, except for one item;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ported degrees of frankness and perceived confidentiality of their responses across two adminstration conditions. Finally, when involvement rates were assessed by using specific vs. global items, they were 68% to 148% higher with binominal correlations in low to moderate ranges.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global items had a high specificity but a relatively low sensitivit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fully discussed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B/V assessment.

국내외의 학교폭력이나 괴롭힘 실태조사에서 괴롭힘 경험률을 파악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평가방법이 널리 활용됨에도 불구하고, 자기보고에 기초한 가해율 및 피해율이 구체적인 조작화 방식, 측정방법 등에 따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괴롭힘 평가에서 편향요인은 주요 쟁점이 되어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690명의 남녀 중학생을 지시문을 통해 조작된 서로 다른 네 평가조건(정의제시/미제시, 익명/기명실시)에 무선배정한 후, Olweus 괴롭힘 질문지의 가해 및 피해문항을 실시하여 성별에 따른 경험률의 차이를 살펴보고, 정의제시 및 익명실시 여부에 따라, 그리고 질문형태(전반질문/세부질문)에 따라 경험률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두 가지 절단점과 성별을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교차분석 결과, 전반질문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가해율 및 피해율이 높았고, 직접적 괴롭힘에 대한 세부질문에서도 남학생의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았지만, 관계적 괴롭힘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괴롭힘에 대한 정의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 '엄격한' 절단점을 사용할 때, 전반적 가해 경험률뿐 아니라 언어적 괴롭힘 가해율 및 피해율이 111%~157%나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익명실시 여부에 따라서는 한 문항을 제외하고는 경험률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솔직히 응답한 정도나 비밀보장의 확신 정도도 두 조건 간에 다르지 않았다. 질문형태에 따라서는 세부질문을 통해 경험률을 측정한 경우 전반질문 대비 68%~148% 높게 나타났으며, 질문형태에 따른 괴롭힘 경험 측정치 간의 상관도 낮거나 중간 정도 수준이었다. 또한 전반질문은 민감도는 높지 않은 반면, 이에 비해 특이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학교폭력이나 괴롭힘 실태조사 문항의 개발과 실시 절차의 개선을 위해 갖는 구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7년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연구기금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