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역규모에서의 퇴적물 관리를 위한 퇴적물 수지와 개념적 틀 제안

Proposal for a conceptual framework and budgets for sediment management at the river basin scale

  • 김진관 (전남대학교 지리교육과)
  • Jin Kwan Kim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8.11.20
  • 심사 : 2018.12.27
  • 발행 : 2018.12.31

초록

기후 변화 및 큰 규모의 인간 간섭으로 인하여 유역 내 유량 및 퇴적물 이동 패턴이 변하면서 하도의 불안정성을 높아진다. 퇴적물과 관련된 문제해결에 있어서 국지적 관점, 즉 특정 지점 또는 지역에서의 특정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이들 문제점들의 해결은 단기적·지역적에 국한되어 다른 시간적·공간적인 영향 및 충격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역 내 퇴적물과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유역 규모의 관점에서의 종합적인 퇴적물 관리에 대한 개념적 틀의 소개와 제안하고자 하였다. 유역 규모에서는 종합적 퇴적물 관리가 이뤄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과학-정책-운영-주민과의 협력이 수반되는 퇴적물 이동과 관련된 종합적인 이해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Climate change and large-scale human interference increase flow instability due to changes in watershed flow and sediment transport patterns. There are local problems in solving problems related to sediments, namely the existence of specific problems at specific sites or areas, and the resolution of these problems is limited to short-term and regional, resulting in other temporal and spatial influences and impact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troduce and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for comprehensive sediment management in terms of watershed scale for solving problems related to sediments in watersheds. In the watershed scale, comprehensive sediment management should be done, to do thi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ovements of sediments accompanied by cooperation with science-policy-operation-residents should be given prior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2. 김진관, 2003, 인위적 요인에 의한 제 4기말 하상퇴적물 변동과 재해방지예측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손광익, 2013, 유역유사 예측 및 유사관리 기술 보고서, 첨단기술 기반의 하천운영 및 관리기술 개발 연구단 기술보고서
  4. 환경법령/정책, 환경부 사이트, http://me.go.kr
  5. Apitz, S., White, S., 2003, A conceptual framework for river-basin-scale sediment Management, J. Soils & Sediments 3(3), 132-138.
  6. Jung, K.H., Kim, W.T., Hur, S.O., Ha, S.K., Jung, P.K., Jung, Y.S., 2004, USLE/RUSLE factors for national scale soil loss estimation based on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 Korean J. Soil. Sci. Fert. 37(4), 199-206.
  7. Kothe, H., 2003, Existing sediment management guidelines: An overview - What will happen with the sediment/dredged material?, J. Soils & Sediments 3(3), 139-143.
  8. Lim, Y.S., Kim, J.K., Kim, J.W., Hong, S.S., 2014, Evaluation of suspended-sediment sources in the Yeongsan River using Cs-137 after major human impacts. Quaternary International 344, 64-74.
  9. Owens, P.N., 2005, Conceptual models and budgets for sediment management at the river basin scale, J. Soils & Sediments 5(4), 201-212.
  10. SedNet, 2014, Moving sediment management forward, The four SedNet Messages.
  11. Slaymaker, O., 2003, The sediment budget as conceptual framework and management tool, Hydrobiologia 494, 7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