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침수 위험관리를 위한 도시공간 위험진단 및 실무적 기술지원

  • 이종소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
  • 이상은 (국토연구원 도시연구본부)
  • Published : 2018.07.15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김종원, 김창현, 심우배. 2006. 최근 홍수피해의 실태와 수해 최소화를 위한 정책방향. 국토정책Brief 100.
  2. 이상은, 김성훈. 2015. 물복지 시대의 새로운 수자원 기술 패러다임 - 물확보, 물이용 다양성 확보와 물재난 저감. 물과 미래 48(1). pp.68-75.
  3. 이상은, 이병재, 이종소, 김슬예. 2017. 도시 침수지역 및 영향권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정책지원 시스템 구현(II). 국토연구원.
  4. 이상은, 이종소, 김슬예. 2017. 도시침수 고위험지역 선정을 위한AHP-PROMETHEE 연계. 국토연구 94권: 68-75.
  5. 이종소, 이상은. 2018.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지원을 위한 도시침수 위험도 공간정보 개발. 대한토목학회 38(2): 203-213. https://doi.org/10.12652/Ksce.2018.38.2.0203
  6. Lee, T. S. and C. S. Jung. 2014. Nonparametric statistical temporal downscaling of daily precipitation to hourly precipitation and im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Hydrology 510. pp. 182-196. https://doi.org/10.1016/j.jhydrol.2013.12.027
  7. Song, C. G., Y. H. Ku, Y. D. Kim, and Y. S. Park. 2016. Stability analysis of riverfront facility on inundated floodplain based on flow characteristic. Journal of Flood Risk Management. 9(1). pp.1-13 https://doi.org/10.1111/jfr3.12235
  8. UN DESA. 2011.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9.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UNISDR). 2013. Synthesis Report: Consultations on a Post-2015 Framework on Disaster Risk Reduction (HFA2), Geneva, UNISD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