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Ontology of Digital Photo Image Focused on a Simulacre Concept of Deleuze & Baudrillard

디지털 사진 이미지의 존재론에 관한 연구 -들뢰즈와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개념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5.01
  • Accepted : 2018.06.14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ontology of digital photo image based on a Simulacre concept of Gilles Deleuze & Jean Baudrillard. Traditionally, analog image follows the logic of reproduction with a similarity with original target. Therefore, visual reality of analog image is illuminated, interpreted, and described in a subjective viewpoint, but does not deviate from the interpreted reality. However, digital image does not exist physically but exists as information that is made of mathematical data, a digital algorithm. This digital image is that newness of every reproduction, that is, essence of subject 'once existing there' does not exist anymore, and does not instruct or reproduce an outside target. Therefore, digital image does not have the similarity and does not keep the index instruction ability anymore. It means that this digital image is converted into a virtual area, and this is not reproduction of already existing but display of not existing yet. This not-being of digital image changes understanding of reality, existence, and imagination. Now, dividing it into reality and imagination itself is meaningless, and this does not make digital image with technical improvement but is a new image that is basically completely different from existing image. Eventually, digital image of the day passes step to visualize an existent target, nonexistent things have been visualized, and reality operates virtually. It means that digital image does not reproduce our reality but reproduces other reality realistically. In other words, it is a virtual reproduction producing an image that is not related to a target, that is to say Simulacre. In the virtually simulated world, reality has an infinite possibility, and it is not a picture of the past and present and has a possibility as the infinite virtual that is not fixed, is infinitely mutable, and is not actualized yet.

본 논문은 질 들뢰즈와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개념을 바탕으로 디지털 사진 이미지의 존재론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으로 아날로그 사진 이미지는 원본 대상과의 유사성으로 재현의 논리를 따른다. 따라서 아날로그 사진 이미지의 시각적 현실은 주관적 시각에서 조명되고 해석되며 묘사될 수 있지만 해석된 그 현실을 벗어나지는 못한다. 그러나 디지털 사진 이미지는 물질적으로는 존재하지 않고 디지털 알고리즘인 수학적 데이터로 구성된 정보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사진 이미지는 모든 재현에 나타나는 현재성인, 즉 '한때 거기 존재했었음'이라는 피사체의 본질이 이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외부의 대상을 지시하거나 재현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지털 이미지는 유사성이 존재하지 않고 더 이상 지표적 지시 능력을 지니지 않는다. 이러한 디지털 사진 이미지는 가상의 영역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이미 존재하는 것의 재현이 아닌,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의 현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진 이미지의 비실재성은 현실과 실재 그리고 가상에 대한 이해를 변화시킨다. 이제는 무엇이 실재이고 가상인지 구분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게 되고, 이는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이미지가 발생한 것이 아닌, 기존의 이미지와는 근본적으로 완전히 다른 새로운 이미지라는 것이다. 결국, 오늘날의 디지털 이미지는 존재했으니 대상을 가시화하는 단계를 넘어, 이제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들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현실도 가상으로 작동한다는 것이다. 이는 디지털 이미지가 우리 현실을 재현한 것이 아니라 다른 현실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대상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이미지 생성을 하는 가상적 재현, 즉 시뮬라크르라 할 수 있다. 가상으로서의 시뮬레이션 된 세계에서 현실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질 수 있고 그것은 과거나 현재의 모습이 아닌 고정되지 않고 무한히 변화할 수 있는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무한한 잠재태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2. 김성재 외, 매체미학, 나남출판, 1998.
  3. 김원방, 몸이 기계를 말하다, 예경, 2014.
  4. 박명진, 이미지 문화와 시대 쟁점, 문학과 지성사, 2013.
  5. 박성수, 디지털 영화의 미학, 문화과학사, 2001.
  6. 박영욱, 보고 듣고 만지는 현대사상, 바다출판사, 2015.
  7. 박영욱,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향연, 2009.
  8. 심혜련, 사이버 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살림, 2011.
  9. 심혜련, 20세기의 매체철학, 그린비, 2013.
  10. 이정우, 시뮬라르크의 시대, 거름, 2002.
  11. 이진우, 테크노 인문학, 책세상, 2013.
  12. 전혜숙, 20세기 말의 미술, 북코리아, 2013.
  13. 진경아, 매체 미학과 영상 이미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4.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 1, 천년의 사상, 2014.
  15. 레프 마노비치, 서정신 역,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2004.
  16. 로널드 보그, 이정우 역, 들뢰즈와 가타리, 새길신서, 1995.
  17. 롤랑 바르트, 김웅권 역, 밝은방, 동문선, 2006,
  18. 윌리엄 미첼, 김은조 역, 디지털 이미지론, 아이비스 출판부, 1997.
  19. 장 보드리야르, 하대완 역, 시뮬라시옹, 민음사, 1995,
  20. 질 들뢰즈, 이정우 역, 의미의 논리, 민음사, 1998.
  21. 크리스티앙 메츠, 이수진 역, 상상적 기표, 문학과지성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