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카카오톡 이모티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Factors of KakaoTalk Emoticon

  • 이종윤 (상명대학교 사진영상콘텐츠학과) ;
  • 윤주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 투고 : 2018.05.01
  • 심사 : 2018.06.14
  • 발행 : 2018.06.30

초록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자들은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감정표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카카오톡(Kakao Talk) 이모티콘을 이용하고 있다. 이모티콘에 담겨진 디자인적인 요소(보조, 색채, 형태, 모션)들과 스토리텔링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감정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카카오톡 이모티콘이 지니고 있는 스토리텔링 및 디자인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로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감정 표현 수단으로 선호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모티콘의 스토리텔링적인 측면에서는 악어, 복숭아, 개, 오리, 사자, 두더지, 토끼들로 평범한 과일과 동물들로 구성하였다. 대부분의 이모티콘들은 각자 개성있는 성격의 소유자로 스토리가 구성되었으며 하나씩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지니고 있어 이용자들이 친근하게 다가가고 사용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보조요소(불꽃, 땀, 눈물, 콧물, 성난 눈 등)를 사용하여 화남, 간절함, 초조함, 애원, 기쁨, 슬픔 등을 표현하였다. 색채요소는 희, 노, 애, 락의 감정에 관계없이 이모티콘 캐릭터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 색채(초록, 빨강, 노랑, 분홍, 하양, 검정, 밤색 등)로 대부분의 난색 계열로 구성되었다. 형태 요소는 기쁨, 슬픔 등의 요소를 표현하는 경우 둥근형의 형태로 구성되었다. 반면에 FRODO, NEO가 슬픔과 분노를 표현하는 경우에는 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모션요소로는 APPEACH, NEO, TUBE, JAY-G의 슬픔, 분노, 애원의 감정 표현에는 수평/수직/사선으로 표현하고 APEACH, TUBE, MUZI & CON등의 기쁨, 슬픔의 감정 표현은 수평/수직/사선과 방사/앞뒤/회전의 역동적인 느낌을 나타내고 있다. TUBE, FRODO의 분노는 수평/수직/사선과 방사 모션을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감정을 차별화할 수 있는 스토리를 각 이모티콘 캐릭터에 맞게 구성하였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보조요소 불꽃, 땀, 눈물과 같은 감정의 대표적인 요소를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색채 요소는 감정의 차이와는 관계없이 난색 계열의 캐릭터 고유색을 사용하였다. 형태 요소는 각 감정 표현을 위해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커뮤니케이션 측면, 감성디자인 측면, 산업적인 측면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논문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스토리텔링의 분석틀과 보조요소에 대한 기호학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연구의 한계점으로 두고자 한다.

Users of KakaoTalk emoticons use Kakao Talk emoticons as means of communicating their emotions in virtual space. Emotional state is represented by design element (auxiliary, color, form, motion) and storytelling element contained in emotic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the storytelling and design elements of kakaoTalk emoticons and how they prefer the kakaoTalk emoticons as emotional expression means. In terms of storytelling, crocodiles, peaches, dogs, ducks, lions, moles, and rabbits were made up of ordinary fruits and animals. Most of the emoticons are composed of stories with unique personality, and each story has a complex one by one, which makes it easy for users to approach and use them. In terms of design, I used various auxiliary elements (flame, sweat, tears, runny nose, angry eyes, etc.) to express angry, sincere, nervous, begging, joy, and sadness. The color elements consisted of most of the warm color series with the unique colors (green, red, yellow, pink, white, black, brown, etc.) of emoticon characters regardless of feelings of joy, anger, sadness, pleasure. The form factor is composed of a round shape when expressing factors such as joy and sadness. On the other hand, when FRODO and NEO express sadness and anger, they represent the shape of a rectangle. The motion elements are horizontal, vertical, and oblique expressions of APPEACH, NEO, TUBE, and JAY-G, expressing emotional expressions of sadness, anger, and pleasure. APEACH, TUBE, MUZI & / Shows the dynamic impression of the oblique and the radiation / back / forward / rotation. The anger of TUBE and FRODO shows horizontal / vertical / diagonal and radial mo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storytelling is structured in accordance with each emoticon character. In terms of design, auxiliary elements such as flame, sweat, and tears are represented by images. The color elements used the unique colors of the character series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of emotion. The form factor represented various movements for each emotion expression.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emotional design and industrial aspect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 above paper,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storytelling and the semiotic analysis of the supplementary elements are not considered as limitations of the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진,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 특성에 관한 연구 - 국내, 해외 대표 앱(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왓츠앱)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권 1호 (2014), pp,87-96.
  2. 김아라, 한정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이모티콘" 찾기에 관한 연구, HCI2013, (2013), pp, 435-439.
  3. 양혜인, 이수진, 김수정, 이모티콘 컨텍스트에 의한 감정 커뮤니케이션 연구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8권 3호 (2017), pp,237-248.
  4. 윤민희, 카카오톡 이모티콘의 기호체계 및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권 2호 (2017), pp,443-455.
  5. 이성준,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모바일 메신저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에 미치는 영향 -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논문지, 15권 12호 (2015), pp,129-140.
  6. 이영미, SNS 모바일 메신저 융합형 이모티콘의 디자인 분석-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38권 0호 (2013), pp,93-102.
  7. 이종윤,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권 1호 (2018), pp, 435-445.
  8. 정보희, 배정호,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신뢰, 이모티콘 사용태도와 이모티콘 구매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 - 카카오톡 사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10호 (2016), pp, 311-325. https://doi.org/10.5392/JKCA.2016.16.10.311
  9. 조규명, 김경숙,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감성기호로서 이모티콘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55호 17권 1호 (2004), pp, 319-328.
  10. 홍장선, 이종윤,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통한 자아표상과 이에 따른 기호특성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5권 4호 (2014), pp, 495-505.
  11.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67335, KINEWS, 2018.04.17
  12. http://www.etnews.com/20171129000416, 전자신문, 2018.04.17.
  13. https://namu.wiki/w/어피치 나무위키, 2018. 05. 10
  14. https://namu.wiki/w/카카오프렌즈 나무위키, 2018. 05. 10
  15.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18. 05. 10
  16.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18. 05. 10
  17.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18. 05. 10
  18.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18. 05. 10
  19.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18. 05. 10
  20. https://namu.wiki/w/Jay-G 나무위키, 2018. 0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