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uccess Factors For Creating A Korean Theme Park - With a Focus on Culture Contents-Based Theme Park Strategy -

한국형 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성공 요인 분석 - 문화콘텐츠 기반형 테마파크 전략을 중심으로-

  • 이기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학과) ;
  • 김형수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 Received : 2018.05.01
  • Accepted : 2018.06.25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A theme park, in general, can be defined as a space that has both 'theme factor' and 'hands-on factor'. But theme parks in Korea are not recognized as having unity even though they provide diverse services, because they lack in a theme factor, which is the essence of a theme park. On the other side of the issue, themes and concepts that a theme park claims to stand for are not consistent, and they fail to provide representative themes as well. For this reason, although a business plan to invite overseas theme parks is pushed ahead, it causes a vicious circle to weaken the competitive edge of domestic theme park industry as well as capital outflow. Consequently, from a theoretical viewpoint, a theme park with no specific theme is in critical situation to be out of the limelight by failing to provide visitors with purposefulness and attract their atten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domestic theme park industry, and to gain profitability and expanded customers lie in heightening their receptiveness through creating unique image of each theme park. With the awareness of the issu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heme-centered park which has culture contents in it and to suggest a viable alternative that helps to create hands-on theme parks that reflect customers' receptiveness.

일반적으로 테마파크는 테마파크를 구성하는 '주제(theme)'와' 체험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 공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테마파크의 본질 요소인 주제 관련 요소를 갖추지 못하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일성 있는 테마파크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테마파크가 표방하는 테마와 콘셉트가 불일치하고 대표성 있는 테마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해외 테마파크 유치 사업이 본격 추진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자본 유출은 물론 국내 테마파크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는 악순환을 유발하고 있다. 이론적 관점에서 특정한 주제를 갖추지 못한 테마파크는 방문객들의 목적성을 상실케 하여 결과적으로는 대중의 관심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를 하게 한다. 이러한 국내 테마파크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익성과 고객 확장성을 확보하는 방안은 개별 테마파크 자체 이미지 구축을 통한 고객의 수용성 제고에 있다. 이러한 문제 인식 아래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가 내재한 주제 중심의 테마파크를 제안하고 고객의 수용성을 반영한 체험형 테마파크 이미지 구축을 위한 실용적 대안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희진, 일본 테마파크의 사례와 전략,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2. 김치호,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현지화 전략, 제44호, 인문콘텐츠학회, 2017.
  3. 김창수, 테마파크의 이해, 대왕사, 2007.
  4. 김경철, "공연을 통한 케나파크 관객개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 박지선, 프랑스테마파크 콘텐츠 현황과 기획의 스토리텔링 체계, 한국 프랑스학 논집, 제59호, 2007.
  6. 박양춘, 최정수, 테마파크 에버랜드의 수명주기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호, 한국지역지리학회, 2002.
  7. 신동의. 김희경 영상콘텐츠에서 테마공간으로의 전환양상,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2호, 2012.
  8. 엄서호, 레저 산업론, 학현사, 2002.
  9. 이규식, 창의 산업으로서의 테마파크, 프랑스문화연구, 제23호, 프랑스문화학회, 2011.
  10. 이상원, "서사구조특성에 근거한 테마파크 디자인에 관한 연구: 테마파크의 서사유형분류와 서사 체험구조 파악을 중심으로", KAIST 석사학위논문, 2012.
  11. 유희중,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테마파크 조성연구: 한국영화콘텐츠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이승진, 국내 테마파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애니메이션 산업의 연계모델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7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3.
  13. 이태희, 김지희, 윤설민 테마파크에서의 고객 체험이 신규 콘텐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의사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3권, 제1호, 서비스경영학회. 2012.
  14. 이토마사미, 박서희 역, 테마파크의 비밀, 일신사, 1997.
  15. 정재선, 우리나라 테마파크의 개황 및 발전방향, 관광정보, 제1호, 한국경제지리학회, 1995.
  16. 조준희, 국내 테마파크 콘텐츠 연출 방법 연구 제21호, 글로벌문화콘텐츠,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5.
  17. 양승훈, 최문용, 김민철, 테마파크의 쇼 이벤트의 스토리텔링 분석, 호텔관광연구, 11권 4호, 한국호텔관광학회, 2009.
  18. 최정수, "테마파크의 수명주기와 혁신체제: 에버랜드를 사례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9. 하동현, "테마파크에서의 체험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19호, 한국사진지리학회, 2009.
  20. 허태학, 테마파크의 시나리오 구상, 산경논집, 제11호,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1997.
  21. 국제무역산업박람회 조직위원회, EXPO 93사후활용계획, 1990.
  22. 增田春雄, 增田春雄, 전 도쿄 디즈니 설계 운영, 국내 E테마파크 강연자료, 2002.
  23. 加賀見俊夫, 海を超える想像力一東京ディズニーリゾート誕生物語, 講談社, 2003.
  24. Mcfniff.J, Leisure Industries. EIU Travel & Tourism Analyst, 1993.
  25. アドルノ ホルクハイマー, 徳永洵訳啓蒙の弁証法, 岩波書店, 1990.
  26. ファン=ヘネップ, 綾部恒雄, 裕子 訳, 通過 儀礼, 平凡社, 1976.
  27. 有馬哲夫 ディズニーとは何か, NTT出版, 2001.
  28. ブレーソ 誠文堂新光社, 12月号, 1996.
  29. 能登路雅子 ディズニーランドの巡礼観光 : 90-102, 山下晋司編, 観光人類学, 新曜社, 1996.
  30. 中西純夫, 東京ディズニーランドにおけるディズニー文化の受容, 人文社会科学研究, 第 22 号, 2011.
  31. Ady Milman, Theme Parks and Attractions, VNR's Encyclopedia of Hospitality and Tourism, Van Nostand Reinhold Book, 1993.
  32. TEA(Themed Entertainment Association), 2016 TEA/AECOM 2016 Theme Index & Museum Index: The Global Attractions Attendance Report, 2016.
  33. Raz, Aviad, E. Riding the Black Ship Japan and Tokyo Disneyland, Har vard University Asia Center, 1999.
  34. Fjellman, Stephen M, Vinyl leaves : Walt Disney World and America, Boulder: West view Press Gordon, Bruce, 1992.
  35. www.everland.com (검색일: 2018년 1월 13일)
  36. https://disneyworld.com
  37. http://www.newspim.com/news/view/2017111000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