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문화원형성을 모티브로 한 한국 애니메이션의 서사 구조 분석 -애니메이션 <달빛궁궐>(2016)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Narrative Structures of Korean Animations Using Formation of Archetypes of Korean Culture As Their Motifs - Focusing on Animation 'Dalbitgungjeon' (2016) -

  • 임용섭 (세한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투고 : 2018.05.01
  • 심사 : 2018.06.08
  • 발행 : 2018.06.30

초록

그레마스(Algirdas Julius Greimas)의 역할소 모델(Actantial model)에서 스토리는 6개의 역할소로 각각 3가지의 관계를 만드는데, 그 안에서 주체와 객체 사이에 관계되는 욕망이 운용된다. 또한 주체가 욕망을 행할 때 원조자의 도움과 반대자의 방해가 공존하게 되며, 주체가 원하는 욕망의 대상(객체)은 발령자와 수령자가 제공한다. 이러한 역할소 모델을 기본으로, 본 연구는 <달빛궁궐>의 서사 구조를 분석한 후 역량의 주체를 재배치하여 커뮤니케이션 전반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한국의 애니메이션은 다양한 시각에서 한국의 문화원형을 모티브로 활용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문화원형을 모티브로 각색 윤색된 외국의 애니메이션보다 서사 구조의 수준이 다소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문화원형을 모티브로 가장 최근에 제작된 <달빛궁궐>의 서사 구조를 분석해 보고, 해당 애니메이션 안에서 연출된 역량의 주체를 재배치하여 전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좀 더 발전된 형태의 서사 구조를 지닌 애니메이션의 제작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물론, 그레마스를 통한 서사 구조 연구는 지금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돼 왔다. 하지만 이 이론을 통해 문화원형성의 활용법을 강구한 애니메이션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 연구는 그레마스의 설화문 분석을 바탕으로 문화원형성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In the actantial model of Algirdas Julius Greimas, a story makes 3 kinds of relationships with 6 actants, and, in these relationships, the desires of subjects and objects are operated. And, when the subject performs its desire, there are both assistance of helper and disturbance of opponent. And, the object of desire wanted by the subject is provided by sender and receiver. Using this actantial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animation 'Dalbitgungjeon', and, by rearranging the subject of capacity, examined general stream of communication. Korean animations have tried to approach using archetypes of Korean culture as motifs with various perspectives. But, it is true that, compared with foreign animations dramatized using cultural archetypes, Korean animations still have something to be desired.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Dalbitgungjeon' which was recently producted using archetypes of Korean culture as its motif, and, rearranging the subject of capacity, examined general stream of communication. By doing this, this study tried to search for the method of producing an animation equipped with more advanced narrative structure. Of course, narrative structure of Greimas has been studied in various aspects. However, there are still not enough animation researches using cultural archetypes of Greimas. Considering such aspects, this study focused on searching for a method of using the formation of cultural archetypes based on the analysis of fables of Greimas.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치완 외, 문화콘텐츠 입문사전, 꿈꿀권리, 2013.
  2.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6.
  3. 송효섭, 인문학, 기호학을 말하다, 이숲, 2013.
  4. 김만수, 스토리텔링 시대의 플롯과 캐릭터, 연극과 인간, 2013..
  5. 전동열, 기호학, 연세대학교. 2005.
  6. A.J.Greimas, Daniele McDowell, Structural Semantics, University of Nebraska.
  7. 임용섭,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과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나타난 상호매체성 관계, 만화애니메이션연구, 2016, 43.
  8. 임운주, 그레마스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9, 5, 2009.
  9. 네이버 지식백과:doopedia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7243&cid=40942&categoryId=32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