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애니메이션 <아버지와 딸>의 회화적 표현에 관한 연구 - 시각적 표현 및 서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interly Representation in the Animated Film , Focusing on Visual Representation and Narrative Features

  • 김민규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 투고 : 2018.05.01
  • 심사 : 2018.06.12
  • 발행 : 2018.06.30

초록

본 연구는 마이클 두독 드 비트($Micha{\ddot{e}}l$ Dudok de Wit)의 <아버지와 딸(Father and Daughter), 2000>에 나타난 표현적 특징이 하인리히 뵐플린(Heinrich $W{\ddot{o}}lfflin$)이 정의한 회화성(繪畵性, painterliness)의 개념에 해당됨을 주목하고, 연구 작품의 시각적 표현방식과 서사적 특징을 회화성이라는 개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뵐플린은 16세기 르네상스 전성기 미술과 17세기 바로크 미술의 양식을 비교하면서 회화적 양식의 특징들을 개념화 하였는데, 드로잉 도구로 그려진 연구 작품의 이미지들은 비정형적이고 모호한 형상으로 연출됨으로써 뵐플린이 정의한 회화적 표현방식의 요건들을 따르고 있다. 연구 작품의 이러한 표현방식은 중의적이면서도 모호한 서사의 연출에도 효과적으로 기능하면서 작가주의적 서정성의 표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연구 작품이 지니는 회화성은 상업적 애니메이션이 보여주는 명료성과 대비되는 것으로 작가주의적 경향의 애니메이션 감독들이 활용하는 표현 방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애니메이션에서의 회화성은 디지털 기법으로 인해 표현의 영역이 일원화되고 있는 현시대에 특히 조명되어야 하는 요소로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연구 작품을 통해 애니메이션에서 활용될 수 있는 회화적 표현 방식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모색하여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표현 영역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This study notes that the concept of painterliness, as defined by Heinrich $W{\ddot{o}}lfflin$, can apply to represent features in $Micha{\ddot{e}}l$, Dudok de Wit's animated short film Father and Daughter. It intends to examine the animated film's visual representation and narrative features in terms of painterliness. Comparing the Renaissance art style of the 16th century to the Baroque art style of the 17th century, $W{\ddot{o}}lfflin$ conceptualized the features of painterly style. In respect to this animated film, the images drawn by drawing tools are represented are represented by irregular and ambiguous shapes and meet $W{\ddot{o}}lfflin^{\prime}s$ conditions for painterly representation. Such a representation method in this animated film effectively functions as a double entendre or ambiguous narrative, while playing a key role in representing lyricism. In this animated film, painterliness contrasts with clarity, which commercial animated films provide, and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representation methods utilized by auteurist animation directors. Painterliness in animated films is an element that should be highlighted, especially in the contemporary world where the forms of representation are becoming increasingly monolithic due to digital techniques. Continued research is greatly needed on this subject matter. Based on Father and Daught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thod of painterly representation that can be used in animation films, to explore its meaning and to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diversity in the forms of representation in animated films.

키워드

참고문헌

  1. 로리 슈나이더 애덤스, 박은영 옮김, 미술사 방법론, 서울하우스, 2009.
  2. 오노 고세이, 김준양 옮김, 상상에 숨을 불어넣다, 나비장책, 2008.
  3. 월간미술 엮음, 세계 미술용어 사전, 월간미술, 1999.
  4. 하인리히 뵐플린, 박지형 옮김, 미술사의 기초개념, 시공사, 2000.
  5. 강재원, '고도를 기다리며'의 시간세계, 드라마논총, No.18(2002), pp.204-224.
  6. 김영옥, 윌리엄 켄트리지의 작품에 나타난 매체의 미학적 표현 연구, 모드니예술, Vol.4(2011), pp.293-302.
  7. 김재웅, 애니메이션의 역사적 양식에 대한 연구-개인 양식과 미국의 디즈니.일본의 지브리 양식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제8호(2009), pp.49-65.
  8. 김현조, 김현조, 애니메이션 연출의 서정적 표현에 관한 연구-마이클 두독의 "아버지와 딸"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2011), pp.390-400.
  9. 정혜경, 유현배, 애니메이션 '아버지와 딸'에서의 화면 구도를 통한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Vol.14 No.1(2011), pp.167-172.
  10. 장동렬, 애니메이션 영상화면에 나타난 카메라의 구도적 관점-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33, No.33(2013), pp.127-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