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and Forecast of North Korea's Nuclear Policy through Libya Model

리비아 모델을 통한 북한의 핵 정책 평가와 전망

  • 한승조 (국방과학연구소 제1기술연구본부) ;
  • 신진 (충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Received : 2018.08.18
  • Accepted : 2018.09.23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issue of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is facing the greatest upheaval in 2018 with the inter-Korean summit and the US-North Korea summit. North Korea has pursued the parallel policy developing military and economic at the same time. However, North Korea is changing its route to give up nuclear weapons and focus on the economy through summit talks. Since the change in North Korea is similar to that of Libya in the past,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y North Korea is trying to abandon its nuclear program and how the process is flowing compared to the case of Libya. The Libya model was constru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perpectives and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by leadership. North Korea's nuclear policy was evaluated based on the Libya model. The nuclear development of Libya and North Korea has caused diplomatic and economic pressure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ultimately led to instability of the regime. Two countries have tried to abandon nuclear program in order to solve the instability of the regime, also gain the economic reward insead. Libya took economic benefits and secured some of the stability of the regime, but the regime collapsed under the wave of democracy due to the influx of foreign capital and ideas. North Korea will seek diplomatic and economic gains with the example of Libya, but will try to limit as much as possible the culture of democracy and the full opening that can be incidental.

한반도는 안보문제에 있어서 2018년에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최대의 격변을 겪고 있다. 북한은 정상회담을 통해 기존의 군사와 경제를 병행하여 발전시키려는 노선을 핵 포기를 통한 경제 중심의 노선으로 변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정상회담을 통해 자국의 경제적인 이득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핵심이다. 이러한 노선의 변화는 리비아의 핵 포기 상황과 유사하게 흘러가고 있으며, 리비아의 사례(모델)을 교훈으로 왜 북한의 노선 변화가 있었고, 이후 북한의 핵 정책을 포함한 국가전략이 어떻게 변화될 것인가에 대해 전망이 필요한 시기이다. 리비아 모델은 국제적, 국내적, 국가 지도부의 정세 인식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구축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북한의 핵 정책 노선을 평가하였다. 또한 리비아의 핵 포기 이후 국가 상황을 북한과 비교하여 일부 전망해 보았다. 리비아 및 북한에게 핵 개발은 국제사회의 외교적, 경제적 압박은 체제의 불안정성을 가져오게 되었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핵을 포기하고 경제적인 이득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리비아는 경제적 실리와 체제의 안정성은 일부 보장받았지만, 유입된 해외자본 및 사상/문화로 인해 민주주의의 물결 속에서 카다피 정권이 무너지는 결과가 있었다. 북한은 이러한 리비아의 사례를 기반으로 외교적, 경제적인 실리는 추구하겠지만, 부수적으로 유입될 수도 있는 민주주의 문화, 자유시장의 완전한 개방논리는 최대한 제한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북한 로동신문 제 111호(2018.4.21.)
  2. 한승조, "핵 개발 과정에서의 예장공격 효용성 연구: 이스라엘에 의한 이라크와 시리아 공격을 중심으로", 융합보안논문지, 제18권, 제1호, pp. 129-141, 2018.
  3. Andrew Futter(고봉준 역), '핵무기의 정치', 명인문화사, 2017.
  4. 박상운, "전망이론과 핵 정책의 결정요인", 동북아연구, 제28권, 제1호, pp. 133-157, 2013.
  5. 오피니언뉴스, 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968(2018.5.1)
  6. 김기용, "핵무기 개발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북한과 후발 핵개발 시도 7개 국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7. 황지환, "전망이론을 통해 본 북한의 핵 정책 변화: 제 1,2차 북한 핵 위기의 분석", 한국국제정치학회, 제46권, 제1호, pp. 79-101, 2006.
  8. 박정원, "2016 핵실험 이후 북한 비핵화의 모색", 21세기 정치학회보, 제26권, 제3호, pp. 107-124, 2016.
  9. 황지환, "전망이론의 현실주의적 이해: 현상유지경향과 상대적 손실의 국제정치이론", 한국국제정치학회, 제47권, 제3호, pp. 7-25, 2007.
  10. 하상섭, "북한의 경제-국방 병진 노선과 체제위기 극복효과",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11. 박형준, "중국의 대북정책 결정요인 연구", 북한학연구, 제13권, 제2호, pp. 165-194, 2017.
  12. 고유환, "북한 핵보유 요인에 관한 역사-구조적 접근", 북한연구학회보, 제20권, 제1호, pp. 63-88, 2016.
  13. 통계청 북한통계, http://kosis.kr/bukhan/index.jsp
  14. 장용훈, "도발-제재 악순환 속 강대강 위기 고조 지속", 통일한국, 제406호, pp. 12-13, 2017.
  15.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2541706
  16. 김기석, "경제안보연계분석: 동아시아에 대한 적실성의 점검", 한국과 국제정치, 제33권, 제2호, pp. 1-34, 2017.
  17.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22606176
  18. 최민혁, "북한 장마당이 경제와 체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 가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19.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10/2018051000275.html
  20. 이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21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