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cessity of Korea-Japan Security Cooperation in order to Overcome North Korea's Nuclear Treats: Challenge & Conquest

북한 핵위협 극복을 위한 한일 안보협력 필요성 : 도전과 극복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29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In the year 2018, South Korea faces a crucial decision with regard to reunification. Starting from inter-Korean and US-North summits held from April through June, A rough journey for North Korea's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began. Although South Korea insists that North Korea's Nuclear 'CVID' is the only minimum condition in the process of peaceful reunification, North Korea and other countries who support North Korea, including China and Russia, will possibly claim that North Korea's Nuclear 'CVID' will minimize their political and military positions internationally. Despite representatives from each country agreeing to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it is inevitable that many challenges still need to be resolved during the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government, North Korea is not a country that stimulates international conflicts. Instead, China can utilize North Korea as their political and tactical leverage against the US in order to compete for hegemonic power in Asia. In order to reject the emerging supremacy of China and resolve uncertainties in the denuclearization agreement and implementation process, I suggest the necessity of 'Korea-Japan Security Cooperation' as a 'second alternative' to achieve the North Korea's Nuclear 'CVID'.

2018년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중대한 전환점에 서있다. 금년 4~6월에 남한 미국-북한간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북한 핵과 미사일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CVID)'를 위한 험난한 여정이 시작되었다. 한국에 있어 '북핵의 CVID'만이 평화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하한선) 이지만, 북한+중국+러시아 등에게 '북핵의 CVID' 달성은 그들의 정치 군사적 위상을 크게 축소시킨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남북-미북 정상 간에 북한 핵을 비핵화한다고 합의하더라고 그 실천과정에서 많은 난관이 예상된다. 중국에 있어서 북한의 존재는 단순히 국제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하나의 국가가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동북아에서 패권경쟁을 하는 미국과의 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레버리지를 제공하는 전략적 가치가 있는 국가이다. 북한은 미국으로 하여금 중국에게 자꾸 뭔가를 부탁하지 않으면 안 되게 만드는 존재이다. 이에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강압적인 패권행사를 거부하고, 비핵화 합의에 대한 이행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을 해소하여 '북핵의 CVID'달성을 위한 차선의 대안으로써 '한일 안보협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홍규, "시진핑 시기 중국외교와 중일관계 분석," 한일군사문화연구, 제18집, pp. 26-27, 2015.
  2. 박창희, "트럼프 행정부의 동아시아 정책과 미중관계 전망," 한일군사문화연구, 제24집, pp. 15-16, 22, 2017.
  3. 박휘락, "북핵 고도화 상황에서 미 확장억제의 이행 가능성 평가," 국제관계연구, 제22권, 제2호, pp. 97-98, 104, 2017.
  4. 이상우, "동북아 안보질서와 한일 협력," 신아시아, 제3호, pp. 14, 2014.
  5. 정한범, "제재이론으로 본 미국의 대북제재," 안보와 통일 연구, 창간호, pp. 13-14, 24, 2017.
  6. 김열수, '국가안보: 위협과 취약성의 딜레마', 법문사, 2015.
  7. David Albright,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ies: A Fresh Look,"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Report, pp. 1-3, 2017.
  8. Glenn H. Snyder, "The Security Dilemma in Alliance Politics," World Politics, Vol 36, No. 4, pp. 461-465, 1984. https://doi.org/10.2307/2010183
  9. Michael R. Chambers, "Farming the Problem: China's Threat 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Obligations," SSI, pp. 41, 2007.
  10. Stephen M. Walt, "Why Alliance Endure or Collapse?" Survival: Global Politics and Strategy. Vol. 39. No. 1, pp. 158-164, 2008.
  11. Department of Defence, 'Sustaining U.S. Grobal Leadership: Priorities for 21th Century Defence', Department of Defence, 2012.
  12. 중앙일보, 2017년 9월 14일.
  13. 한국일보, 2016년 1월 11일.
  14. 헤럴드 경제, 2015년 6월 9일.
  15. 한국무역협회 통계 (http://stat.kita.net/main.screen, 검색일: 2018년 4월 15일).